$\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2 no.3, 2020년, pp.146 - 152  

김도연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내과) ,  이순남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PC) educat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Since February 4th, 2018, withholding and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 end of life (EOL) has been permitted in Korea as put forth by law, the "Act 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의과대학은 학부과정에서부터 체계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임종돌봄 교육과정을 의과대학생들에게 제공하여, 학생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지식, 태도, 임상능력을 갖추어 졸업 후 말기 환자와 임종과정의 환자를 진료현장에서 마주할 때 적절한 진료를 할 수 있는 의사로 양성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발전과정과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교육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특히 국내에서 2018년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발효되어 환자에게 연명의료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허용하게 된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시급하게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을 보완하여 현장에서 진료능력을 갖춘 의사로 준비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생에게 충분한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한다. 저자는 의과대학 호스피스 완화의료 표준교육과정 안으로 교육내용에 7개 영역의 PEAT 60개 학습목표를 포함한 20시간 분량의 교육과정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을 각 의과대학 자율에 맡길 수도 있으나 필수적인 교육과정이라는데 우리나라의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 동의한 상태이므로 영국의 GMC, 미국의 LCME에서 의과대학 인증평가기준에 필수교육과정으로 제시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에 호스피스 완화의료/임종돌봄에 관한 교육과정을 필수항목으로 제시하여 모든 의과대학생에게 체계적이고 국제적인 표준교육과정을 제공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호스피스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진료가 먼저 발전하고 교육이 수반되는 형태로 발전하였으므로, 진료의 역사와 함께 살피기로 한다. 현대 호스피스는 간호사 출신 의사인 Cicely Saunders 박사가 창시자로 호스피스는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 영적 고통 등 총체적인 고통(total pain)을 조절하여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최상의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고 환자가 위엄을 갖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전인적(holistic)으로 돌보는 행위로 소개하고, 1967년 런던에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 병동을 열면서 시작되었다[11]. 우리나라는 그보다 2년 전 1965년 원주교구에 호주에서 파견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님들에 의해 강릉 갈바리의원을 개원하여 호스피스 활동을 시작한 것이 효시이다.
국외에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시 강의 뿐만이 아니라 어떤 방법들을 병행하는가? 그러나 2016년도 조사에 의하면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전래적으로 택하고 있는 강의 교육방법 이외에는, 소그룹학습(52%), 임상실습(44%), 역할극(15%), 비디오(7%), 증례 토의(4%) 등이 가끔 이용되었으며, 3개 의과대학에서는 오직 강의만을 교육방법으로 사용하였다[16]. 국외 보고에 의하면 교육방법으로는 강의를 주로 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함께 이루어지는데, 병실환자 호스피스 임상실습, 가정방문, 호스피스 팀 미팅 참석 등의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미국의 한 대학에서 임상 전 1학년 과정에서 자원 학생에게 선택과정으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로 호스피스환자를 방문하게 하는 조기 경험을 제공하였는데, 참여 학생들은 의학적인 면과 인간적인 면을 통합한 좋은 프로그램으로 평가하였고 교육효과도 좋아 우리나라에서도 시도해볼 만하다[19].
호스피스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진료가 먼저 발전하고 교육이 수반되는 형태로 발전하였으므로, 진료의 역사와 함께 살피기로 한다. 현대 호스피스는 간호사 출신 의사인 Cicely Saunders 박사가 창시자로 호스피스는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 영적 고통 등 총체적인 고통(total pain)을 조절하여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최상의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고 환자가 위엄을 갖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전인적(holistic)으로 돌보는 행위로 소개하고, 1967년 런던에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 병동을 열면서 시작되었다[11]. 우리나라는 그보다 2년 전 1965년 원주교구에 호주에서 파견된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님들에 의해 강릉 갈바리의원을 개원하여 호스피스 활동을 시작한 것이 효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Fitzpatrick D, Heah R, Patten S, Ward H. Palliative care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 far have we come? Am J Hosp Palliat Care. 2017;34(8):762-73. 

  2. Bharmal A, Morgan T, Kuhn I, Wee B, Barclay S.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junior doctors': a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BMJ Support Palliat Care. 2019:bmjspcare-2019-001954. 

  3. Walker S, Gibbins J, Paes P, Barclay S, Adams A, Chandratilake M, et al. Preparing future doctors for palliative care: views of course organisers. BMJ Support Palliat Care. 2018;8(3):299-306. 

  4. Chen CA, Kotliar D, Drolet BC.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do residents feel prepared? Perspect Med Educ. 2015;4(4):181-5. 

  5. Horowitz R, Gramling R, Quill T. Palliative care education in U.S. medical schools. Med Educ. 2014;48(1):59-66. 

  6. Chiu N, Cheon P, Lutz S, Lao N, Pulenzas N, Chiu L, et al. Inadequacy of palliative training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J Cancer Educ. 2015;30(4):749-53. 

  7. Kim DY, Kim KJ, Shin SJ, Heo DS, Lee SN, Nam EM.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mong medical students: nationwide survey for fourth-year Korean medical students. Am J Hosp Palliat Care. 2019;36(6):460-5. 

  8. Act on Decision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Law No. 14013 (Feb 3, 2016). 

  9.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 Annual report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t the end of life [Internet]. Seoul: National Agency for Management of Life-Sustaining Treatment; 2019 [cited 2020 Jun 30]. Available from: https://www.lst.go.kr. 

  10. Kim JS, Yoo SH, Choi W, Kim Y, Hong J, Kim MS, et al. Implic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ct on end-of-life care for Korean terminal patients. Cancer Res Treat. 2020;52(3):917-24. 

  11. Korean Socie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extbook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joo: Koonja; 2018. 

  12. Hong YS.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spic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8;51(6):509-16. 

  13. Kim CG. The histor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9;22(1):1-7. 

  14. Kim NC. Guidelines for teach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J Korean Med Assoc. 1998;41(11):1135-40. 

  15. Kim DY.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and training certification program.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nual Conference: 2009 Dec 4; Seoul, Korea. Seoul: Korean Socie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09. 

  16. Kim KJ, Kim DY, Shin SJ, Heo DS, Nam EM. Do Korean medical schools provide adequate end-of-life care education?: a nationwide survey of the Republic of Korea's end-of-life care curricul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9;22(4):207-18. 

  17. Schiessl C, Walshe M, Wildfeuer S, Larkin P, Voltz R, Juenger J. Undergraduate curricula in palliative medicine: a systematic analysis based on the palliative education assessment tool. J Palliat Med. 2013;16(1):20-30. 

  18. Meekin SA, Klein JE, Fleischman AR, Fins JJ. Development of a palliative education assessment tool for medical student education. Acad Med. 2000;75(10):986-92. 

  19. Mott ML, Gorawara-Bhat R, Marschke M, Levine S. Medical students as hospice volunteers: reflections on an early experiential training program in end-of-lifecare education. J Palliat Med. 2014;17(6):696-700. 

  20. Gadoud A, Lu WH, Strano-Paul L, Lane S, Boland JW. A pilot study of interprofessional palliative care education of medical students in the UK and USA. BMJ Support Palliat Care. 2018;8(1):67-72. 

  21. Head BA, Furman CD, Lally AM, Leake K, Pfeifer M. Medicine as it should be: teaching team and teamwork during a palliative care clerkship. J Palliat Med. 2018;21(5):638-44. 

  22. Nakamura Y, Takamiya Y, Saito M, Kuroko K, Shiratsuchi T, Oshima K, et al. A survey of palliative medicine education in Japan's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BMC Palliat Care. 2017;16(1):38. 

  23. Kim HK, Nam E, Lee KE, Lee SN.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after end-of-lif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30-5. 

  24. Kim DY, Kim KJ, Shin SJ, Kwon I, Nam EM, Heo DS, et al. The necessity for end-of-life care education: a preliminary analysis with intern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7;20(2):111-21. 

  25. Billings ME, Engelberg R, Curtis JR, Block S, Sullivan AM. Determinants of medical students' perceived preparation to perform end-of-life care, quality of end-of-life care education, and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J Palliat Med. 2010;13(3):319-26. 

  26. General Medical Council. Tomorrow's doctors; outcomes and standards for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ternet]. London: General Medical Council; 2020 [cited 2020 Jun 30]. Available from: https://www.gmc-uk.org/education/standards-guidance-and-curricula/standards-and-outcomes. 

  27.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Functions and structure of a medical school: standards for accreditation of medical education programs leading to the MD degree [Internet]. Washington (DC): Liaison Committee for Medical Education; 2019 [cited 2020 Jun 30]. Available from: https://lcme.org/publications/. 

  28. National Hospice Center, National Cancer Center. Manual for standard curriculum for hospice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Internet]. Goyang: National Hospice Center; 2020 [cited 2020 Jun 30]. Available from: http://hospic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