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Kern의 교육과정개발 모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
A Critical Review of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Kern'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2 no.3, 2020년, pp.173 - 188  

이이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안신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MHE) is as essential as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al medicine educ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MHE, MHE curriculum development (CD) has proven to be challenging. This critical review examines the MHE CD at one medical school. The critical review methodology w...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연세의대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인 DMH 교육과정의 개편과정을 David Kern이 제안한 6단계 교육과정 개편모델에 근거하여 성찰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개편과 새로운 도입을 위한 자원들은 늘 부족하고, 교육과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교육과정 개편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개편전략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반대로 인문학 전공을 한 비의료인 교수를 투입하는 경우 임상적 현실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인식 때문에 그들의 주장에 힘이 실리지 않는다[7]. 셋째로, 교육과정 구성상의 어려움이다. 교육할 내용에 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시간이 늘 부족한 의학교육과정의 특성상 의료인문학 교육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문학 관점에서의 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발전에 따라 생의학적 측면(bio-psycho-social)이 강조되어왔지만, 1970년대 이후로 의학의 인문학적 측면의 필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 흐름을 선도 했던 Pellegrino [1]는 의학을 “가장 인간적인 과학이며 가장 경험적인 예술이고 가장 과학적인 인문학이다”라고 정의함으로써 의학을 과학이자 인문학으로서 볼 수 있는 관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 의료인문학(또는 인문사회의학)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이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직업적 정체성 형성, 공감능력 함양, 모호함의 수용, 비판적 사고능력 함양 등을 교육성과로 삼고, 의학과 문학, 의학의 역사 등의 여러 가지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전통적인 강의 외에 의료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글쓰기와 성찰활동과 같은 인문학적인 특징이 드러나는 다양한 교수설계를 적용하고 있다[2-4].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은 어떤 주제를 다루는가? 그 흐름을 선도 했던 Pellegrino [1]는 의학을 “가장 인간적인 과학이며 가장 경험적인 예술이고 가장 과학적인 인문학이다”라고 정의함으로써 의학을 과학이자 인문학으로서 볼 수 있는 관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 의료인문학(또는 인문사회의학)의 개념을 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이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직업적 정체성 형성, 공감능력 함양, 모호함의 수용, 비판적 사고능력 함양 등을 교육성과로 삼고, 의학과 문학, 의학의 역사 등의 여러 가지 주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전통적인 강의 외에 의료에 대한 내러티브적 접근, 글쓰기와 성찰활동과 같은 인문학적인 특징이 드러나는 다양한 교수설계를 적용하고 있다[2-4]. 국내 40개 대학 전부가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의과대학 교육목표에도 의료인문학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의료인문학 교육과정 구성상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로, 교육과정 구성상의 어려움이다. 교육할 내용에 비하여 교육과정을 운영할 시간이 늘 부족한 의학교육과정의 특성상 의료인문학 교육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Pellegrino ED. The humanities in medical education: entering the post-evangelical era. Theor Med. 1984;5(3):253-66. 

  2. Kosik RO, Huang L, Cai Q, Xu GT, Zhao X, Guo L, et al.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education in Chinese medical schools: humanities and medical ethics. Chin Educ Soc. 2014;47(3):74-87. 

  3. Reis S, Urkin J, Nave R, Ber R, Ziv A, Karnieli-Miller O, et al. Medical education in Israel 2016: five medical schools in a period of transition. Isr J Health Policy Res. 2016;5:45. 

  4. Singh S, Barua P, Dhaliwal U, Singh N. Harnessing the medical humanities for experiential learning. Indian J Med Ethics. 2017;2(3):147-52. 

  5.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of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Internet].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9 [cited 2020 Jun 24]. Available from: http://www.kimee.or.kr/board/data/?uid1171&moddocument&pageid1. 

  6. Wear D, Zarconi J. A humanities-based capstone course in medical education: an affirming and difficult look back. J Learn Arts. 2006;2(1):8. 

  7. Shapiro J, Coulehan J, Wear D, Montello M. Medical humanities and their discontents: definitions, critiques, and implications. Acad Med. 2009;84(2):192-8. 

  8. An S, Bu S.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12;14(1):25-36. 

  9. An S. A diachronic study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8. 

  10. Chen BY, Kern DE, Kearns RM, Thomas PA, Hughes MT, Tackett S. From modules to MOOCs: application of the six-step approach to online curriculum development for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9;94(5):678-85. 

  11. Clark ML, Hutchison CR, Lockyer JM. Musculoskeletal education: a curriculum evaluation at one university. BMC Med Educ. 2010;10:93. 

  12. Orale RL, Uy ME. When the spiral is broken: problem analysis in the implementation of spiral progression approach in teaching mathematics. J Acad Res. 2018;3(3):14-24. 

  13. Peterkin A. Curating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twelve tips. Med Humanit. 2016;42(3):147-8. 

  14. Shapiro J, Duke A, Boker J, Ahearn CS. Just a spoonful of humanities makes the medicine go down: introducing literature into a family medicine clerkship. Med Educ. 2005;39(6):605-12. 

  15. Sandars J. The use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44. Med Teach. 2009;31(8):685-95. 

  16. Sobral DT. An appraisal of medical students' reflection-in-learning. Med Educ. 2000;34(3):182-7. 

  17. Niemi PM. Medical students' professional identity: self-reflection during the preclinical years. Med Educ. 1997;31(6):408-15. 

  18. Trumbo SP. Reflection fatigue among medical students. Acad Med. 2017;92(4):433-4. 

  19. Anseel F, Lievens F, Schollaert E. Reflection as a strategy to enhance task performance after feedback. Organ Behav Hum Decis Process. 2009;110(1):23-35. 

  20. De la Croix A, Veen M. The reflective zombie: problematiz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reflection in medical education. Perspect Med Educ. 2018;7(6):394-400. 

  21. Wald HS, Borkan JM, Taylor JS, Anthony D, Reis SP. Fostering and evaluating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developing the REFLECT rubric for assessing reflective writing. Acad Med. 2012; 87(1):41-50. 

  22. Isaacson JH, Salas R, Koch C, McKenzie M. Reflective writing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 Perm J. 2008;12(2):82-8. 

  23. Ousager J, Johannessen H. Humanities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Acad Med. 2010;85(6):988-98. 

  24. Gonzalo JD, Caverzagie KJ, Hawkins RE, Lawson L, Wolpaw DR, Chang A. Concerns and responses for integrating health systems science into medical education. Acad Med. 2018;93(6):84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