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를 위한 나노 Fe° 담지 바이오차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Nano Fe°-impregnated Biochar for the Sta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50 - 362  

최유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안혜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광진 ((주)대일이앤씨) ,  주완호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양재규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윤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정가지 부산물과 one-pot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철 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인 INPBC(Iron Nano-Particles Impregnated BioChar)를 제조하고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INPBC는 전정가지 부산물과 Fe(III) 용액을 220℃에서 3시간 동안 수열반응하고 이후 N2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조하였으며 FT-IR, XRD, BET, SEM을 이용하여 INPBC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INPBC의 안정화 성능평가는 국내 E폐광산과 S폐광산의 인근 농경지에서 채취한 비소로 오염된 토양 Soil-E와 Soil-S를 채취하여 4주 동안의 배양실험을 실시하였다. 배양실험 후 토양중 비소의 안정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CLP와 SPLP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TCLP와 SPLP의 용출시험결과, INPBC의 적용 농도의 증가에 따라 토양 중 비소의 용출농도는 감소하여 안정화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Soil-E의 경우 SPLP 용출액 중 비소의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치 이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안정화 토양의 연속추출시험에서는 쉽게 용출되는 1단계 및 2단계의 분획비율이 감소되고 그 보다 용출이 어려운 3단계 및 4단계의 분획비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오염토양에 주입한 INPBC의 표면에 존재하는 철 나노입자로 인해 토양에서 용출된 비소가 sorption에 의해 안정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INPBC의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 효과는 대규모 비소 오염토양의 위해성 저감을 위한 안정화제로서 높은 적용 가능성을 보여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ano Fe°-impregnated biochar (INPBC) was prepared using pruning residues and one-pot synthetic method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s an amendment agent for the stabiliz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For the preparation of INPBC, the mixture of pruning residue and Fe (III...

Keyword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PLP는 일반적으로 산성강우에 의해 토양 및 지표수 내에서 폐기물의 용출 가능성과 오염물질 아래의 지하수면에 대한 오염물질의 이동성을 확인 방법이다. 따라서 안정화제의 적용이 비소의 이동과 이로 인한 오염물질 하부의 지하수 오염 가능성 방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SPLP 시험에서는 용출액의 비소 농도를 먹는물 관리법 제5조의 먹는물 수질기준치와 비교하였다. Figure 10(a),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안정화 이전 토양의 SPLP 용출액 중 비소의 농도는 Soil-E와 Soil-S가 각각 33, 141(μg/L)로 먹는물 수질기준치(10μg/L)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폐 바이오매스인 전정가지를 재료로 one-pot합성 방법에 의해 나노 Fe°담지 바이오차인 INPBC를 제조하여 현장 비소 오염 토양을 대상으로 오염토양의 안정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 중금속 뿐 아니라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에 바이오차를 활용하고자 철 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인 INPBC(Iron Nano-Particles Impregnated BioChar)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나노금속 담지 탄소 기반 물질의 제조방법은 (i) 나노 금속물질을 지지할 수 있는 탄소 기반 물질의 제조, (ii) 탄소기반 물질과 철 용액과의 혼합, (iii) 침전 등을 통해 표면의 금속을 고정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여러 단계를 포함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Ga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차는 어떤 특성으로 인해 토양 중 중금속의 이동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가? 바이오차는 높은 pH, 비표면적, CEC와 풍부한 산소 함유 관능기를 보유하고 있어 토양 중 중금속의 이동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금속 오염토양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Lehmann et al., 2011).
바이오매스의 폐기물 탄화과정에서 얻어진 바이오차는 음이온 형태의 오염물질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 2011). 그러나 이와 같은 양이온 중금속의 안정화에 효과적인 바이오차는 비소와 같은 음이온 형태로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안정화에는 효과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히려 이들 오염물질의 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ajor et al., 2010).
나노금속 담지 탄소 기반 물질의 제조과정은?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 중금속 뿐 아니라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에 바이오차를 활용하고자 철 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인 INPBC(Iron Nano-Particles Impregnated BioChar)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나노금속 담지 탄소 기반 물질의 제조방법은 (i) 나노 금속물질을 지지할 수 있는 탄소 기반 물질의 제조, (ii) 탄소기반 물질과 철 용액과의 혼합, (iii) 침전 등을 통해 표면의 금속을 고정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여러 단계를 포함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Gai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mad M, Lee SS, Lim JE, Lee SE, Cho JS. Moon DH, Hashimoto Y, Ok YS. 2014. Speciation and phytoavailability of lead and antimony in a small arms range soil amended with mussel shell, cow bone and biochar: EXAFS spectroscopy and chemical extraction. Chemosphere, 95, 433-444. 

  2. Eo YS. 2007. A study on the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in soil. Master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Seoul. 

  3. Fan J, Chen X, Xu Z, Xu X, Zhao L, Qiu L, Cao X. 2020. One-pot synthesis of nZVI-embedded biochar for remediation of two mining arseniccontaminated soils: Arsenic immobilization associated with iron transforma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98, 122901. 

  4. Gai C, Zhang F, Lang Q, Liu T, Peng N. 2017. Facile one-pot synthesis of iron nanoparticles immobilized into theporous hydrochar for catalytic decomposition of phenol.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204, 566-576. 

  5. Haque S. 2007. Hydrogeochemical Evolution of Arsenic Along Groundwater Flow Paths: Linking Aqueous And Solid Phase Arsenic Speciation.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Texas. 

  6. Hayashi Y. 2016. Pot economy and one-pot synthesis, Chem. Sci., 7, 866-880. 

  7. Kabata-Pendias A, Pendias H. 2020. Trace elements in soil and plants CRC Press, BocaRaton, Florida. 

  8. Kim JD. 2002, Soil Washing of Mine Tailings and Contaminated Soil in the Vicinity of Disused Mine.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9. Kim YH, Kong MS, Lee EJ, Lee TG, Jung GB. 2019. Statu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from 2001 to 2017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8(3), 213-218. 

  10. Koh IH, Kim JE, Kim GS, Park MS, Kang DM, Ji WH. 2016. Stabilization of Agricultural Soil Contaminated by Arsenic and Heavy Metals using Biochar derived from Buffalo Weed. J. Soil Groundw. Environ., 21(6), 87-100. 

  11. Kumpiene J, Larerkvist A, Maurice C. 2008. Stabilization of As ,Cr, Cu, Pb and Zn in soil using amendments - a review. Waste Management, 28, 215-225. 

  12. Kumpiene J, Ore S, Renella G, Mench M, Lagerkvist A, Maurice C. 2006. Assessment of zerovalent iron for stabilization of chromium, copper, and arsenic in soil. Environmental Pollution. 114(1), 62-69. 

  13. Lehmann J, Rillig MC, Thies J, Masiello CA, Hockaday WC, Crowley D. 2011. Biochar effects on soil biota - A review. Soil Biol. Biochem., 43, 1812-1836. 

  14. Lyu H, Tang J, Huang Y, Gai L, Zeng EY, Liber K. 2017. Removal of hexavalent chromium from aqueous solutions by a novel biochar supported nanoscale iron sulfide composite. Chem. Eng. J., 322, 516-524. 

  15. Major J, Lehmann J, Rondon M, Goodale C. 2010. Fate of soil-applied black carbon: downward migration, leaching and soil respiration. Global change biol., 16, 1366-1379. 

  16. Mandal S, Pu S, Wang X, Ma H, Bai Y. 2020.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d polysulfide supported nZVI/biochar and efficient immobilization of selenium in the soil.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08, 134831. 

  17.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The 2nd soil conservation plan(2020-2029). 

  18. Moon DH, Cheong KH, Khim JY, Wazne M, Hyun SH, Park JH, Chang YY, Ok YS. 2013. Stabilization of $Pb^{2+}\;and\;Cu^{2+}$ contaminated firing range soil using calcined oyster shells and waste cow bones, Chemosphere, 91. 1349-1354. 

  19. NAA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20. Nelli ST, Ramsurn H. 2018. Synthesis and formation mechanism of iron nanoparticles in graphitized carbon matrix using biochar from biomass model compounds as a support, Carbon, 134, 480-490. 

  21. Park JH, Lamb D, Paneerselvam P, Choppala G, Bolan N, Chung JW. 2011. Role of organic amendments on enhanced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loid) contaminated soi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85, 549-574. 

  22. Qiao JT, Liu TX, Wang XQ, Li FB, Lv YH, Cui JH, Zeng XD, Yuan YZ, Liu CP. 2018. Simultaneous Alleviation of Cadmium and Arsenic Accumulation in Rice by Applying Zero-Valent Iron and Biochar to Contaminated Paddy Soils, Chemosphere, 195, 260-271. 

  23. Samsuri AW, Sadegh-Zadeh F, Seh-Bardan BJ. 2013. Adsorption of As(III) and As(V) by Fe coated biochars and biochars produced from empty fruit bunch and rice husk. J. Environ. Chem. Eng., 1(4), 981-988. 

  24.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2. USEPA method 1311. 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25.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4. USPEA method 1312 Synthetic Precipitation Leaching Procedure. 

  26. Wenzel WW, Kichbaumer N, Prohaska T, Stingeder G, Lombi E, Adriano DC.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ica Acta, 436, 309-323. 

  27. Wu M, Ma J, Cai Z, Tian G, Yang S, Wang Y. 2015. Rational synthesis of zerovalent iron/bamboo charcoal composites with high saturation magnetization, RSC Adv., 5, 88703-8870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