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육상동물 서식지 가치평가 방안 연구
A Study on Fauna Habitat Valuation of Urban Ecological Map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77 - 390  

박민규 (공간생태연구소 라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시(市)단위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비오톱지도라고 한다. 그 동안 비오톱지도 관련 연구는 식생유형, 식생자연성, 토지이용, 경관생태학 배경으로 이루어 졌으며, 비오톱의 구성요소인 동물서식지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성을 개선하기 위해 육상동물 잠재서식지 개념을 도입하여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상동물의 잠재서식지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공간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종풍부도로 변환하였다. 비오톱 유형평가는 식생학적 가치, 동물서식지 가치로 구분하여 가치합산 하였다. 식생학적 가치는 식생의 자연성과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하였고, 동물 서식지 가치는 머신러닝으로 예측한 종풍부도를 5단계로 구분하여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비오톱 유형평가에 소극적으로 반영된 육상동물 현장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도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도시생태현황 지도 작성 매뉴얼 개정 시 고려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ECOLOGICAL MAPS must be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by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maps are generally called biotope map. So far, biotope maps study w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type of vegetation, naturalness, land use, landscape ecology theories. However, biotope relate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오톱유형은 식생, 토지이용만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서식처 가치도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는 비오톱의 정의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동안 비오톱 유형평가에 소극적으로 반영되었던 육상동물 현지 조사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하여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적 제한성을 통계적 추론방식인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서식지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비오톱 유형평가에의 기준이었던, 식생자연성, 토지이용과 더불어 육상동물 서식지 정보에 경관생태학적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비오톱지도의 국내 연구 경향을 반영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실무자의 시각으로 시작되었다. 비오톱유형은 식생, 토지이용만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의 서식처 가치도 함께 평가되어야 한다는 비오톱의 정의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동안 비오톱 유형평가에 소극적으로 반영되었던 육상동물 현지 조사 결과를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하여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기존 도시생태현황지도에서 적용하지 못했던 육상동물 서식지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과정 중 비오톱 유형평가 과정부터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오톱지도 관련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떠한 한계를 지녔는가?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시(市)단위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비오톱지도라고 한다. 그 동안 비오톱지도 관련 연구는 식생유형, 식생자연성, 토지이용, 경관생태학 배경으로 이루어 졌으며, 비오톱의 구성요소인 동물서식지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성을 개선하기 위해 육상동물 잠재서식지 개념을 도입하여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도시생태현황지도란 무엇인가?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시(市)단위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비오톱지도라고 한다. 그 동안 비오톱지도 관련 연구는 식생유형, 식생자연성, 토지이용, 경관생태학 배경으로 이루어 졌으며, 비오톱의 구성요소인 동물서식지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육상동물 현황정보를 비오톱 유형평가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이 의무화되고 국립생태원에서 업무 참고용으로 배포한 ‘도시생태현황지도 매뉴얼’1)에서도 육상동물 현황정보를 비오톱 유형평가에 반영할 수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은 육상동물조사 결과가 점(point) 형태인 반면 비오톱 유형은 면(polygon)이기 때문에 포인트 정보를 유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론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육상동물의 포인트 데 이터를 활용한 서식지 지도화 (Wright 1995; Coops & Catling 1997; Wintl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llouche O, Tsoar A, Kadmon R. 2006. Assessing the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prevalence, kappa and the true skill statistic (TS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3, 1223-1232. 

  2. d'Amen M, Dubuis A, Fernandes RF, Pottier J, Pellissier L, Guisan A. 2015. Using species richness and functional traits predictions to constrain assemblage predictions from stack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Journal of biogeography 42, 1255-1266. 

  3. Andersen MC, Watts JM, Freilich JE, Yool SR, Wakefield GI, McCauley JF, Fahnestock PB. 2000. Regression-tree modeling of desert tortoise habitat in the central Mojave Desert. Ecological Applications 10, 890-900. 

  4. Andren H, Angelstam P. 1988. Elevated predation rates as an edge effect in habitat islands: experimental evidence. Ecology 69, 544-547. 

  5. Araujo MB, New M. 2007. Ensemble forecasting of species distribution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2, 42-47. 

  6. Attrill MJ, Rundle SD. 2002. Ecotone or ecocline: ecological boundaries in estuari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5(6), 929-936. 

  7. Bascompte J, Jordano P. 2007. Plant-animal mutualistic networks: the architecture of biodiversity. Annu. Rev. Ecol. Evol. Syst. 38, 567-593. 

  8. Bleyhl B, Sipko T, Trepet S, Bragina E, Leitao PJ, Radeloff VC. Kuemmerle T. 2015. Mapping seasonal European bison habitat in the Caucasus Mountains to identify potential reintroduction sites. Biological Conservation 191, 83-92. 

  9. Breininger DR, Provancha MJ, Smith RB. 1991. Mapping Florida scrub jay habitat for purposes of land-use management. 

  10. Buckley LB, Urban MC, Angilletta MJ, Crozier LG, Rissler LJ, Sears MW. 2010. Can mechanism inform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logy letters 13, 1041-1054. 

  11. Chetkiewicz C-LB, St. Clair CC, Boyce MS. 2006. Corridors for Conservation: Integrating Pattern and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37, 317-342. 

  12. Choi IK, Ahn GY, Lee EH. 2007. A Comparative Study of Biotope Mapping between Korea and German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565-575. [Korean Literature] 

  13. Choi N, Kil J, Shin Y. 2017. Exploring the Application of Impact Mitigation Regulations through Biotope Map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4, 237-244. [Korean Literature] 

  14. Choi IK, Lee EH.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in German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 73-81. [Korean Literature] 

  15. Choi IK, Oh CH, Ahn GY, Lee E-H. 2009. The suggestion for evaluation items and system for assessment of biotop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 594-602. [Korean Literature] 

  16. Choi IK, Oh CH, Lee EH. 2008.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 666-678. [Korean Literature] 

  17. Coops NC, Catling PC. 1997. Predicting the complexity of habitat in forests from airborne videography for wildlife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8, 2677-2682. 

  18. Distler T, Schuetz JG, Velasquez-Tibata J, Langham GM. 2015. Stack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macroecological models provide congruent projections of avian species richness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Biogeography 42, 976-988. 

  19. Druon JN. 2010. Habitat mapping of the Atlantic bluefin tuna derived from satellite data: Its potential as a tool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pelagic fisheries. Marine Policy 34, 293-297. 

  20. Fortuna MA, Bascompte J. 2006. Habitat loss and the structure of plant-animal mutualistic networks. Ecology letters 9, 281-286. 

  21. Franklin J, Steadman DW. 1991. The potential for conservation of Polynesian birds through habitat mapping and species translocation. Conservation Biology 5, 506-521. 

  22. Graham CH, Moritz C, Williams SE. 2006. Habitat history improves prediction of biodiversity in rainforest fau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3, 632-636. 

  23. Hao T, Elith J, Guillera-Arroita G, Lahoz-Monfort JJ. 2019. A review of evidence about use and performance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ensembles like BIOMOD.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5, 839-852. 

  24. Haslett JR. 1990.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new approach to habitat definition and the study of distribution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5, 214-218. 

  25. Jarvis PJ, Young CH. 2005. The mapping of urban habitat and its evaluation. Wolverhampton, University of Wolverhampton 19. 

  26. Jordano P, Bascompte J, Olesen JM. 2003. Invariant properties in coevolutionary networks of plant-animal interactions. Ecology letters 6, 69-81. 

  27. Jung SH, Kim DU, Lim BS, Kim AR, Seol J, Lee CS. 2019. Classification, Analysis on Attributes and Sustainable Management Plan of Biotop Established in Pohang City.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2, 245-265. [Korean Literature] 

  28. Ki KS. 2011. Application of Green Recreation Opportunity Based on Biotope Evaluation of Rural Reg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A Case of Yangpeong-Gun, Gyeonggi-Do. Dissertation for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n Literature] 

  29. Kim HS. 2012. Classification Biotope Type and Evaluation Value of Individual Biotop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Dissertation for Ph.D. Thesis. Dongguk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30. Kim HS, Jang NR. 2019. Gyeonggi-do's Biotope Map Issues and Alternatives. Issue & Diagnosis, 1-26.[Korean Literature] 

  31. Kim JS, Jung TJ, Hong SH. 2015.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 454-461.[Korean Literature] 

  32. Liu C, White M, Newell G. 2013. Selecting thresholds for the prediction of species occurrence with presence-only data. Journal of biogeography 40, 778-789. 

  33. Magura T. 2002. Carabids and forest edge: spatial pattern and edge effec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7, 23-37. 

  34. McComb WC, McGrath MT, Spies TA, Vesely D. 2002. Models for mapping potential habitat at landscape scales: an example using northern spotted owls. Forest Science 48, 203-216. 

  35. Miyamoto A, Tamura N, Sugimura K, Yamada F. 2004. Predicting habitat distribution of the alien Formosan squirrel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english edition- 8, 13-22. 

  36. Mykra H, Aroviita J, Kotanen J, Hamalainen H, Muotka T. 2008. Predicting the stream macroinvertebrate fauna across regional scales: influence of geographical extent on model performance.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7, 705-716. 

  37. Naimi B, Araujo MB. 2016. sdm: a reproducible and extensible R platform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Ecography 39, 368-375. 

  3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9. Guidelines on urban ecological maps. URL http://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176310. [Korean Literature] 

  39. Oh JH, Cho JH, Cho HJ, Choi MS, Kwon J. 2008. A Study on the Biotope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Urban Forests for Landscape Ecological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 101-111. [Korean Literature] 

  40. Pereira J, Itami R. 1991. GIS-based habitat modeling using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A study of the Mt. Graham red squirrel.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7, 1475-1486. 

  41. Pineda E, Lobo JM. 2009. Assessing the accurac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to predict amphibian species richness patterns. Journal of Animal Ecology 78, 182-190. 

  42. QGIS org. 2020. Q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Project. from http://qgis.org/. 

  43. R Core Team. 2020.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 https://www.R-project.org/. 

  44. Raes N, Roos MC, Slik JF, Van Loon EE and Steege H ter. 2009. Botanical richness and endemicity patterns of Borneo derived from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graphy 32, 180-192. 

  45. Randin CF, Dirnbock T, Dullinger S, Zimmermann NE, Zappa M, Guisan A. 2006. Are nichebas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transferable in space? Journal of biogeography 33, 1689-1703. 

  46. Sukopp H, Weiler S. 1988. Biotope mapping and nature conservation strategies in urban areas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 39-58. 

  47. Vazquez DP, Bluthgen N, Cagnolo L, Chacoff NP. 2009. Uniting pattern and process in plant-animal mutualistic networks: a review. Annals of botany 103, 1445-1457. 

  48. Wintle BA, Elith J, Potts JM. 2005. Fauna habitat modelling and mapping: a review and case study in the Lower Hunter Central Coast region of NSW. Austral Ecology 30, 719-738. 

  49. Wright JF. 1995. Development and use of a system for predicting the macroinvertebrate fauna in flowing waters. Australian Journal of Ecology 20, 181-197. 

  50. Yahner RH. 1988. Changes in wildlife communities near edges. Conservation biology 2, 333-339. 

  51. Zhang C, Ma Y (Eds.). 2012. Ensemble machine learning: methods and application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2. Zimmermann NE, Edwards TC, Graham CH, Pearman PB, Svenning JC. 2010. New trends in species distribution modelling. Ecography 33, 985-98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