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비만 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연구 동향 보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외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Herbal Medicines for Obesity: Mainly since 2015 to 2019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30 no.4, 2020년, pp.89 - 103  

김수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서연호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이한솔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장호경 (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조재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고운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송미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frequently used herbs and herbal formulas to treat obesity in Korea during 2015 to 2019. Methods Pub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of obesity using herbal medicines from 2015 to 2019 were retrieved from 12 databases (PubMed, EMBASE, Scopus, China 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만에 쓰이는 한약 치료에 대한 논문 136편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비만 한약 치료의 연구 경향성 및 추세를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 필요성이 있는 한약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처방으로는 태음조위탕이 가장 많이 쓰였으며 전체 본초로는 마황, 처방의 형태가 아닌 단미로만 실험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본초는 인삼이었다.
  • 최근 5년간 비만 치료에서 한약을 사용한 논문을 정리, 분석하여 향후 비만의 한약 연구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한약에 관련된 기존 연구 중 2006년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비만에 쓰이는 한약 및 본초의 빈도를 계산한 Hang 등6)의 연구가 있으며, 이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 연구는 없다. 한의학계 전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거나7), 성인 비만의 한약 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8) 등 한약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 시험과 실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최신 경향을 반영하여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개년동안 한국에서 비만의 한약 치료에 대한 한의계에서의 연구 동향을 파악,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5년간 비만 치료에서 한약을 사용한 논문을 정리, 분석하여 향후 비만의 한약 연구에 도움이 될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얻은 결과는? 1. 태음조위탕은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비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한약이었으며, 이는 사상의학적으로 태음인이 비만하기 쉬운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에 따른 약물 구성이 비만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 모든 형태의 연구를 포함해서 비만 치료에 가장 많이 쓰인 본초는 이전 연구와 동일하게 마황이었으며, ephedrine의 안정성을 고려하며 사용해야 할 것이다. 3. 처방에 포함된 형태가 아닌 단미로만 가장 많이 실험한 본초는 인삼이었고, 연구자 기반의 비뚤림이 있을 수 있어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4.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한약에 대한 연구는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고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유의미한 수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5. 비만 치료에 한약을 사용한 논문은 국내에서는 한방 비만학회지, 해외에서는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비만이란?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로 유전 및 환경적 요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병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제2형 당뇨병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수반하는 질환이다1). 비만의 전 세계적인 유병률은 1975년엔 1% 미만이었으나 2016년에는 6-8%로 지난 4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만의 양방 치료는 무엇으로 나뉠 수 있는가? 비만의 양방 치료는 크게 생활 방식 치료, 약물적 치료, 수술로 나뉠 수 있는데 신체적 활동, 인지 행동 치료, 식이 조절 등의 생활 방식 치료가 실패하게 될 경우 약물 혹은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다3). 하지만 1997년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승인 후 널리 쓰였던 sibutramine (reductil)과 같이 심장마비나 뇌졸중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밝혀진 후 2010년 판매 중단되는 경우와 같이 양약의 부작용이 많이 보고되는 시점에서 약물적 사용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Van Gaal LF, Maggioni AP. Overweight, obesity, and outcomes: fat mass and beyond. Lancet. 2014;383(9921):935-6. 

  2. Lindsay M, Stefanie V, An P, Craig JM, Chelsea W, Fumiaki I. The obesity transition: stages of the global epidemic.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 2019;7(3):231-40. 

  3. Jensen MD, Ryan DH, Apovian CM, Ard JD, Comuzzie AG, Donato KA. 2013 AHA/ACC/TO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Obesity Society. Circulation. 2014;129(25):102-38. 

  4. James WP, Caterson ID, Coutinho W, Finer N, Van Gaal LF, Maggioni AP. Effect of sibutramin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N Engl J Med. 2013;363(10):905-17. 

  5. Chang SH, Carolyn S, Song JH, Esteban V, Christopher J, Graham C. The effectiveness and risks of bariatric surger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3-2012. JAMA Surg. 2014;149(3):275-87. 

  6. Hang MJ, Shin HD, Song MY. Review of literature on herbal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n Korea-mainly papers since 2000. J Oriental Rehab Med. 2006;16(3):65-81. 

  7. Park B, Song Y, Lim H. An analysis of domestic oriental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focu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since 2006. J Soc Korean Med Obes Res. 2010;10(2):1-16. 

  8. Han K, Lee M, Kim H. Systematic review on herbal treatment for obesity in adults. J Oriental Rehab Med. 2016;26(4):23-35. 

  9. Kim D, Shin W, Jeong Y, Im H, Park W, Cha Y. An analysis of domestic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13;13(1):1-9. 

  10. Moon SH, S in SH, K im HJ, K im JY. A r elation-ship of the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y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Rehabil. 2002;12(4):1-10. 

  11. Kim DR, Baek TH.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319-35. 

  12. Hur HS, Kang OS. A review study of treatments for Taeeumin obeisity. J Sasang Constitut Med. 2019;31(4):28-40. 

  13. Han JS, Shin YO, Oh JK, Keum DH. Anorexigenic effect of Taey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in obese Zucker rat. J Oriental Rehab Med. 2005;15(4):131-45. 

  14. Park KM, Song YK, Lim HH. Review on the research relative to Tae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9;9(1):23-36. 

  15. Soni MG, Carabin IG, Burdock GA. Safety of ephedra: lessons learned. Toxicol Lett. 2004;150(1):97-110. 

  16. Jang IS, Hwang EH. The need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usage of mahuang in weight loss. J Soc Korean Med Obes Res. 2007;7(1):23-9. 

  17. Jo GW, Ok JM, Kim SY, Lim YW.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Mahuang and ephedr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focused on RCT-. J Korean Med. 2017;38(3):170-84. 

  18. Nam KY, Park JD. Usage and dosage of Ginseng Radix (panax ginseng C.A. Meyer) based upon traditional and recent scientific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0;24(2):99-105. 

  19. Dai D, Zhang CF, Williams S, Yuan CS, Wang CZ. Ginseng on cancer: potential role in modulating inflammation-mediated angiogenesis.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7;45(1):13-22. 

  20. Rastogi V, Santiago-Moreno J, Dore S. Ginseng: a promising neuroprotective strategy in stroke. Front Cell Neurosci. 2014;8:457. 

  21. Han LK, Kimura Y, Kawashima M, Takaku T, Taniyama T, Hayashi T, Zheng Y-N, Okuda H. Anti-obesity effects in rodents of dietary teasaponin, a lipase inhibitor.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1;25(10): 1459-64. 

  22. Karu N, Reifen R, Kerem Z. Weight gain reduction in mice fed Panax ginseng saponin, a pancreatic lipase inhibitor.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7;55(8):2824-8. 

  23. Kim JH, Hahm DH, Yang DC, Kim JH, Lee HJ, Shim I. Effect of crud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2005;97(1):124-31. 

  24. Shon M S, K im GN. A nti-obese f unction of p olysaccharides derived from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 in preventing obesity. Kor J Herbol. 2016;31(4):71-7. 

  25. Park HS, Cho JH, Kim KW, Chung WS, Song MY. Effects of Panax Ginseng on obesity in animal mode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8;e2719794. 

  26. Kim YH, Kim JJ, Seo BI. A philological study on poisoning and side effects of Platycodi Radix. The Journal of Applied Oriental Medicine. 2016;16(1):1-11. 

  27. Byun BH. Antiobesity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on body weight change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Korean J Life Sci. 2003;13(6):896-902. 

  28. Shin NR, Lim SK, Kim HJ.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fermentation with salt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change and anti-obesity activity. J Korean Med Obes Res. 2018;18(2):64-73. 

  29. Shin CG. Catechetical herbology. Seoul:Sungbosa. 1992:147-8. 

  30. Martel J, Ojcius DM, Chang CJ, Lin CS, Lu CC, Ko YF, Tseng SF, Lai HC, Young JD. Anti-obesogenic and antidiabetic effects of plants and mushrooms. Nat Rev Endocrinol. 2017;13(3):149-60. 

  31. Lee HY, Shim EH, Lee MS, Lee JA. Anti-adipogenesis effects of 3 herbal formula on blood stasis. Kor J Herbol. 2016;31(6):29-35. 

  32. Li Y, Chen K, Shi Z. Effect of xuefu zhuyu pill on blood stasis syndrome and risk factor of atherosclerosis.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1998;18(2):7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