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음인 비만의 치료에 대한 임상 논문 분석
A Review Study of Treatments for Taeeumin Obesity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1 no.4, 2019년, pp.28 - 40  

허한솔 (경희우리부부한의원) ,  강오석 (경희우리부부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obesity of Taeeumin have been treated. Methods We searched clinical studies from the databases including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KIS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OASI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태음인 처방을 이용한 비만 연구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졌으나 태음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치료에 관련된 연구는 28편의 논문 중 4편만이 해당되어 일부분만 다루어졌을 뿐이었다10. 현재도 비만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 중으로, 비만의 다수를 차지하는 태음인비만의 임상치료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과 함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란 무엇인가? 비만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로 지방 이 축적된 의학적 상태를 가리킨다1 .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의 2017년 국민 건강영양조사에서 체질량지수(kg/m2 ) 기준으로 25이상인 백분율을 조사한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34.
비만의 병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6%)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3 . 비만의 병인으 로는 의원성 원인, 과도한 음식 섭취, 신경 내분비성 원인, 심리적, 유전적 원인 등이 있는데, 특히 섭식 조절과 에너지의 비정상적 소모가 주요한 요소가 된다4 . 비만의 한의학적 치료와 관련하여 사상체질 중 태음인의 약재와 처방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5 , 사상 의학에서 태음인은 가장 체격이 크고 肌肉이 풍부하며, 肝大肺小한 성질로 吸聚之氣가 크고 呼散之 氣가 부족하여 비만해지기 쉽다고 볼 수 있다6 .
비만인의 약 70%가 태음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온 사상 의학적 이유는 무엇인가? 비만의 병인으 로는 의원성 원인, 과도한 음식 섭취, 신경 내분비성 원인, 심리적, 유전적 원인 등이 있는데, 특히 섭식 조절과 에너지의 비정상적 소모가 주요한 요소가 된다4 . 비만의 한의학적 치료와 관련하여 사상체질 중 태음인의 약재와 처방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5 , 사상 의학에서 태음인은 가장 체격이 크고 肌肉이 풍부하며, 肝大肺小한 성질로 吸聚之氣가 크고 呼散之 氣가 부족하여 비만해지기 쉽다고 볼 수 있다6 . 임상적으로 비만인의 약 70%가 태음인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으며7 , 류 등이 1,1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는 과체중군에서 태음인이 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aslam DW, James WP. Obesity. Lance. 2005;13(9492):1197-209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7. 2019. (Korean)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9. 2010. (Korean) 

  4. Hong EG. Pathophysiology of adult obesity and related-disease. J Korean Diabetes. 2008;9(3):148-52. (Korean) 

  5. Kwon MW, Kim IH, Park EJ, Kang BG. The clinical study on 66 cases of obese patient treated by Kamijowisengchungtang & acupunture. J Pediatr Korean Med. 2001;15(2):43-51. (Korean) 

  6. Moon SH, Sin SH, Kim HJ, Kim JY. A relation-ship of the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y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Rehabil. 2002;12(4):1-10. (Korean) 

  7. Kim DR, Baek TH.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 J Sasang Constitut Med. 1996;8(1):319-35. (Korean) 

  8. Ryu SM, Shin SU, Kim KS, Moon JS, Yoon YS. Analysis of obesity degree and comparision of weight control program among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Obes Res. 2005;5(1):21-9. (Korean) 

  9. Hwang MJ, Shin HD, Song MY. Literature review of herbal medicines on treatment of obesity since 2000-Mainly about Ephedra Herba. J Korean Med Obes Res. 2007;7(1):39-54. (Korean) 

  10. Yang GE, Lee MJ, Lee JS, Yoon DR, Noh HI, Ryu JH.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f Obesity Using Tae-eumin Prescriptions and Herbs-Based on Korean Literature. J Korean Med. 2011;32(5):12-24. (Korean) 

  11. Song MY, Lee JS, Kim SS, Shin HD. The clin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Chungpaesagan-tang and Taeumjowui-tang on the taeumin obesity after fasting therapy. J Korean Med Rehabil. 1998; 8(1):34-56. (Korean) 

  12. Go BH, Song IB. Study on Methodology of Sasang pattern identification. J Korean Med. 1987;8(1): 139-45. (Korean) 

  13. Heo MH, Go BH, Song IB. The body measuring method to classify Sasang Constitutions. J Sasang Constitut Med. 1989;1(1):29-39. (Korean) 

  14. Hwang HY, Song YS, Park YH. The effect of fasting therapy on the body fat in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Rehabil. 1998;8(1):267-82. (Korean) 

  15. Jang YJ, Cho JH, Song BJ. Effect of Taeyeumjowee-Tang and Electroacupuncture Combined-therapy on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01;1(1)95-105. (Korean) 

  16. Kim EY, Kim JW. A Clinical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 and Obesity. J Sasang Constitut Med. 2004;16(1):100-11. (Korean) 

  17. Seo DM, Lee SH, Lee JD. Clinical Observation on Effects and Adverse Effects of Choweseuncheng-tang on Obesity Patients. J Acupunct Res. 2005;22(3): 145-53. (Korean) 

  18. Yoo JH, Song IB, Lee EJ, Back SR, Koh BH, Lee HY.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in Taeumin Childhood Obesity. J Korean Med. 2005;26(1)103-14. (Korean) 

  19. Lee EJ, Kwak CK, Sohn EH, Yoo JH, Koh BH, Song IB. Research and developement of herbal medicine(Taeumbiman-tang) on obesity.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5;19(2):530-35. (Korean) 

  20. Lee JB, Youn SS, Cho CS, Kim CJ. The Effects of Zymolysis-Dietotherapy with Herbal medicine on Obesity in Sasang Constitution. J of Haehwa Medicine. 2011;19(2):179-86. (Korean) 

  21. Kim HJ, Ahn HS, Oh EH, Kim YL. Effect of Taeeumjoweetang on the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3):391-401. (Korean) 

  22. Pak YS, Shin HS, Lee JH, Lee EJ, Koh BH. Approaching obesity through constitutional therapy: a series of 4 obesity cases who were classified as the Taeeum constitutional type.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2):263-74. (Korean) 

  23. Lim SY, Kim DJ, Choi WS, Kim SR , Joo JH, Park SW. The Effects of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on Obesity in Sasang Constitution. The J of East-West Medicines. 2012;37(4):109-16. (Korean) 

  24. Han SK, Kim DC. The Effect of Galgeunsogan-tang on Body Composition in Taeumin Obese Patients. The Journal of Jeahan Oriental Medical Academy. 2014;12(1):1-8. (Korean) 

  25. Shirin H, Neda N, Bagher L, Mohammad A.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s used in the treatment of obesity. World J Gastroenterol. 2009;15(25):3073-85. 

  26. Caveney E, Caveney BJ, Somaratne R, Turner JR, Gourgiotis L. Pharmaceutical interventions for obesity: a public health perspective. Diabetes Obes Metab. 2011;13:490-7. 

  27. Kim CS. Amylin Analogu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 Obes Metab Syndr. 2010;19(2):39-47. (Korean) 

  28. James WP, Caterson ID, Coutinho W, Finer N, Van Gaal LF, Maggioni AP, et al. Effect of sibutramine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N Engl J Med. 2010;363:905-917. 

  29. Lee JS, Lee SH. The reductiv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on the body fat and abdominal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01;1(1):33-42. (Korean) 

  30. Kim KN, Lim HH. The study of theses related to obesity. J Korean Med Rehabil. 1999;9(2):9-35. (Korean) 

  31. Kim SK, Lee SW, Lee JH,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Examination of Sasangin Disease and Diagnosis for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2015; 27(1):110-24. (Korean) 

  32. Jeong YJ, Koh BH, Lee EJ. The origin,change of the time and constructive principle of Taeumjowitang. J Sasang Constitut Med. 2009;21(2):42-47. (Korean) 

  33. Kim JY, Kim KY. A Study on the medical and pharmacological theory of Interior-Overheated-Disease of Taeumin. J Sasang Constitut Med. 1998;10(2):111-50. (Korean) 

  34. Li JE, Song YK, Lim HH. Clinical Trial of Tae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on Obese Patients -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Korean Med Rehabil. 2010;20(4):197-213. (Korean) 

  35. Faith MS., Fontaine KR, Cheskin LJ, Allison DB. Behavioral approaches to the problems of obesity. Behav Modif. 2000;24(4):459-93. 

  36. Joo JW, Nam SS, Lee JD, Choi DY, Ahn BC, Park DS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effect of electrotherapeutic current on human body. J Acupunct Res. 1996;13(2):335-66 (Korean). 

  37. WHO Expert Consultation.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2004;363:157-63 

  38. Jee SH, Sull JW, Park JY, Lee SY, Ohrr HC, Eliseo G, et al.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 Engl J Med. 2006;355:779-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