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실함수의 특성에 따른 UNet++ 모델에 의한 변화탐지 결과 분석
Analysis of Change Detection Results by UNet++ Mode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oss Func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2, 2020년, pp.929 - 937  

정미라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호성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최재완 (충북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딥러닝 기술 중의 하나인 UNet++ 모델을 이용하여 다시기 위성영상의 변화지역을 탐지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손실함수에 대한 학습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진 교차 엔트로피, 자카드 변수에 의하여 학습된 UNet++ 모델에 의한 변화탐지 결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딥러닝 모델의 결과는 WorldView-3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기존의 화소기반 변화탐지 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손실함수의 특성에 따라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기존 기법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manuscript, the UNet++ model,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semantic segmentation, was used to detect changes in temporal satellite images. To analyze the learning results according to various loss functions, we evaluated the change detection results using 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학습된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화소기반 변화탐지 기법들과의 비교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CVA(Change Vector Analysis) 기법,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 IRMAD(Iteratively Reweighted Multivariate Alteration Detection) 기법을 WorldView-3 영상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함께 비교하고자 하였다. CVA, PCA, IRMAD 기법의 경우에는 학습된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변화탐지의 결과물은 변화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index)로 표현된다.
  • 2와 같이 활성함수가 포함된 2차원 합성곱레이어(Conv2D) 와 배치 정규화(batch normalization, BN)로 구성된 이전의 모든 합성곱 유닛으로 구성되며, 합성곱 유닛의 입력 레이어에 추가(addition)하는 잔류 네트워크(residual network)의 형태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모델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UNet++는 합성곱 유닛을 통하여 딥러닝 모델의 깊이를 증대시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잔류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Fig.
  • 특히, 딥러닝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해상도 및 특성을 가진 영상을 이용하여 훈련자료를 생성하고, UNet++ 모델의 깊이를 증대시켜, 다양한 위성영상에 딥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해당 모델을 학습함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손실함수들을 적용하여 보고, 이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모델학습 시에 손실함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센서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딥러닝 모델을 향후 국내에서 발사 예정인 국토관측위성과 같은 차세대중형위성에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특히, 다양한 공간적/분광적 특성을 가지는 위성영상에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3, 3A호에서 취득된 영상들을 모두 활용하여 훈련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훈련자료 내에는 계절이 다른 시기에 취득된 다시기 영상도 포함하여 변화탐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절적 영향에 따른 오탐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료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특히, 세 종류의 센서에서 취득된 영상들을 훈련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생성된 딥러닝 모델은 KOMPSAT과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위성영상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모델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UNet++ 모델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변화탐지에 적용하여 보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딥러닝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해상도 및 특성을 가진 영상을 이용하여 훈련자료를 생성하고, UNet++ 모델의 깊이를 증대시켜, 다양한 위성영상에 딥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UNet++ 모델을 이용하여 다시기 위성영상의 변화지역을 탐지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양한 손실함수에 대한 네트워크의 학습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훈련자료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 및 센서 특성에 대한 다시기 영상에 적용할 경우의 결과를 분석하여 딥러닝 모델의 활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생성된 훈련자료를 통하여 학습된 손실함수에 따른 UNet++의 성능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자료를 구성하였다. 특히, 생성된 UNet++ 모델은 다양한 KOMPSAT 위성영상에서 취득된 훈련자료를 통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UNet++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OMPSAT 위성영상을 제외한 타 위성센서에서 취득된 영상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손실함수는 딥러닝 모델 내의 변수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지표이며, 일반적으로, 평균 제곱 오차(mean squared error)와 교차 엔트로피 오차(cross entropy error)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UNet++ 모델의 학습에 있어서 손실함수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화탐지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손실함수들을 모델학습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 또한, 해당 모델을 학습함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손실함수들을 적용하여 보고, 이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모델학습 시에 손실함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센서에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딥러닝 모델을 향후 국내에서 발사 예정인 국토관측위성과 같은 차세대중형위성에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1과 같으며, UNet과 비교하여 UNet++는 인코더 네트워크의 각 단계별로 동일한 스케일을 가지는 특징맵들을 서로 통합하는 스킵 경로(skip connection)를 구성하여 망과 같은 형태를 구성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를 통하여, 특정 스케일에서 추출할 수 있는 영상 내의 특징들을 세분화하고 딥러닝 모델 내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하였다. UNet ++의 스킵경로들은 Fig.
  • 특히, 생성된 UNet++ 모델은 다양한 KOMPSAT 위성영상에서 취득된 훈련자료를 통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UNet++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OMPSAT 위성영상을 제외한 타 위성센서에서 취득된 영상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토관측위성(CAS 500-1/2) 등과 같은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영상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영상은 WorldView-3 센서를 이용하여 취득된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센서의 제원은 Table 1과 같다.
  •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변화 전/후에 대한 위성영상 및 해당 영상 내의 변화지역을 마스킹한 참조자료(reference data)를 제작하였다. 참조자료의 효과적인 생성을 위하여 딥러닝 모델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변화지역은 인공구조물의 변화로 한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시기 위성영상에서 판독될 수 있는 농경지와 같은 토지의 계절적 변화, 식생의 생장 등에 의한 변화, 차량과 같은 이동체 및 소규모 객체들의 변화는 미변화지역으로 가정하였다.
  • 변화탐지를 위한 UNet++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훈련자료를 제작하였다. 특히, 다양한 공간적/분광적 특성을 가지는 위성영상에 딥러닝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KOMPSAT-2, 3, 3A호에서 취득된 영상들을 모두 활용하여 훈련자료를 제작하였다. 또한, 훈련자료 내에는 계절이 다른 시기에 취득된 다시기 영상도 포함하여 변화탐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절적 영향에 따른 오탐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료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UNet++ 모델을 이용하여 다시기 위성영상의 변화지역을 탐지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양한 손실함수에 대한 네트워크의 학습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훈련자료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 및 센서 특성에 대한 다시기 영상에 적용할 경우의 결과를 분석하여 딥러닝 모델의 활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학습된 UNet++ 모델은 기존의 화소기반 변화탐지 기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변화탐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UNet++ 모델을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변화탐지에 적용하여 보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딥러닝 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해상도 및 특성을 가진 영상을 이용하여 훈련자료를 생성하고, UNet++ 모델의 깊이를 증대시켜, 다양한 위성영상에 딥러닝 모델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해당 모델을 학습함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손실함수들을 적용하여 보고, 이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UNet++는 합성곱 유닛을 통하여 딥러닝 모델의 깊이를 증대시켜 모델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잔류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Fig. 2와 같이 3개의 Conv2D 연산으로 합성곱 유닛을 구성하여 네트워크의 깊이를 더욱 증가시켜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영상에서 의미 있는 개체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UNet++ 모델은 Fig.
  • 본 연구에서 생성된 훈련자료를 통하여 학습된 손실함수에 따른 UNet++의 성능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평가자료를 구성하였다. 특히, 생성된 UNet++ 모델은 다양한 KOMPSAT 위성영상에서 취득된 훈련자료를 통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UNet++ 모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OMPSAT 위성영상을 제외한 타 위성센서에서 취득된 영상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국토관측위성(CAS 500-1/2) 등과 같은 센서에 의하여 취득된 영상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또한, 훈련자료 내에는 계절이 다른 시기에 취득된 다시기 영상도 포함하여 변화탐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계절적 영향에 따른 오탐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료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특히, 세 종류의 센서에서 취득된 영상들을 훈련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생성된 딥러닝 모델은 KOMPSAT과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위성영상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른 모델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Fig.
  • 한편, 학습된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화소기반 변화탐지 기법들과의 비교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CVA(Change Vector Analysis) 기법,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 IRMAD(Iteratively Reweighted Multivariate Alteration Detection) 기법을 WorldView-3 영상에 적용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함께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참조자료의 효과적인 생성을 위하여 딥러닝 모델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변화지역은 인공구조물의 변화로 한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시기 위성영상에서 판독될 수 있는 농경지와 같은 토지의 계절적 변화, 식생의 생장 등에 의한 변화, 차량과 같은 이동체 및 소규모 객체들의 변화는 미변화지역으로 가정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학습을 위하여, 생성된 훈련자료들은 256×256크기의 영상 패치(image patch)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랜덤한 순서로 재구성하였으며, 총 2,336개의 영상 패치를 제작하였다.
  • 여기서 ti는 참조자료 내의 i번째 화소를 의미하며, 본 논문에서 변화지역의 화소는 1의 값, 미변화지역의 화솟값은 0의 값을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BCE는 참조자료의 화솟값 ti를 기준으로 로그함수에 의하여 계산되며, 딥러닝 모델에 의하여 변화지역을 추정한 결과가 참조자료에 근접할수록 0에 가까운 값을 가지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drinarayanan, V., A. Kendall, and R. Cipolla, 2017. SegNet: A deep convolutional encoder-decoder architecture for image seg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39(12): 2481-2495. 

  2. Fang, B., L. Pan, and R. Kou, 2019. Dual learningbased siamese framework for change detection using bi-temporal VHR optical remote sensing image, Remote Sensing, 11(11): 1292. 

  3. Hou, B., Q. Liu, H. Wang, and Y. Wang, 2020. From W-Net to CDGAN: Bitemporal change detection vis deep learning technique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8(3): 1790-1802. 

  4. Lee, S., H. Yoo, and M. Kim, 2011. Requirements analysis on the acquisition and sharing of land-monitoring data, Seoul Studies, 12(3): 185-201. 

  5. Li, L., C. Wang, H. Zhang, B. Zhang, and F. Wu, 2019. Urban building change detection in SAR images using combined differential image and residual U-Net network, Remote Sensing, 11(9): 1091. 

  6. Liu, J., K. Chen, G. Xu, X. Sun, M. Yan, W. Diao, and H. Han, 2020.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transfer learning for optical aerial images change detection,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7(1): 127-131. 

  7. Lu, D., P. Mausel, E. Brondizio, and E. Moran, 2004. Change detection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5(12): 2365-2401. 

  8. Lu, D., G. Li, and E. Moran, 2014.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change detection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Image and Data Fusion, 5(1): 13-38. 

  9. Peng, D., Y. Zhang, and H. Guan, 2019. End-to-end change detection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using improved UNet++, Remote Sensing, 11(11): 1382. 

  10. Zhan, Y., K. Fu, M. Yan, X. Sun, H .Wang, and X. Qiu, 2017. Change detection based on deep siamese convolutional network for optical aerial images,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4(10): 1845-1849. 

  11. Zhang, W. and X. Lu, 2019. The spectral-spatial joint learning for change detection in multispectral imagery, Remote Sensing, 11(3): 240. 

  12. Zhou, Z., M.M.R. Siddiquee, N. Tajbakhsh, and J. Liang, 2018. Unet++: A nested u-net architecture for medical image segmentation. In Deep Learning in Medical Image Analysis and Multimodal Learning for Clinical Decision Support, Springer, Cham, pp. 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