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 진천 송두리 유적 출토 노벽의 재료과학적 분석
Materials Analysis of Furnace Wall Excavated from Songdu-ri Site in Jincheon, Chungbuk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5, 2020년, pp.421 - 429  

장원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진천 송두리 유적에서 출토된 노벽을 대상으로 총 11개의 층위별로 물리화학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노벽의 층위 간 재료학적 차이 및 제작방법을 추론하였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출토 노벽의 층위는 크게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며, 1층은 과소성층, 2~9층은 일부 피열이 관찰되는 소성층, 10~11층은 비소성 토양층으로 구분되었다. 입도분석 결과, 소성층은 굵은 모래의 함량이 비소성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곡률계수 분석결과에서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구성광물 분석결과, 전체적인 XRD 회절 패턴은 유사하나 저온성 광물과 고온성 광물의 강도가 층위 간 차이가 발생하여 피열의 정도가 달랐으며, 열분석 결과에서 1층과 2층에서만 뮬라이트 발열피크가 발견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사용된 층위로 추정하였다. 결과적으로 노벽의 층위 간 재료학적 차이가 크지 않아 노벽 제작 시 기존 주변의 토양과 성분이 유사한 점토를 사용하여 축로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나, 층위 간 구성입자의 형상과 특징이 일부 다른 것으로 보아 수비를 하거나 석립을 일부 첨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furnace wall excavated from the Songdu-ri Site in Jincheon, and the difference in material composition between the 11 layers of the wall using physicochemical analyses. Based on microstructure observations, these layers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는 층위가 구분되는 노벽의 특성을 고려했을때 특정 층위를 노벽 전체의 특징으로 결론짓는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때문에 노벽의 특성을 고려한 시료 선정 및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충청북도 진천 송두리 유적 출토 노벽의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료학적인 접근을 실시하고 층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고자 한다. 층위의 구성에 사용된 재료, 층위 간 재료 특성 변화 유무, 어떠한 피열 특성을 통해 층위를 구성하는 광물이 변화하였는가 등을 연구하여 송두리 유적 노벽의 제작기술을 확인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진천 송두리 유적에서 출토된 노벽의 층위 간 특성을 분석하여 고대 노벽의 재료학적 특징과 축로기술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이번 연구는 충청북도 진천 송두리 유적 출토 노벽의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료학적인 접근을 실시하고 층위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고자 한다. 층위의 구성에 사용된 재료, 층위 간 재료 특성 변화 유무, 어떠한 피열 특성을 통해 층위를 구성하는 광물이 변화하였는가 등을 연구하여 송두리 유적 노벽의 제작기술을 확인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이 축적되면 향후 타지역 출토 노벽과의 비교를 통한 지역 간 노벽 제작 기술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20, Songdu-ri Site, Jincheon. 5, 570-572. (in Korean) 

  2. Cheongju National Museum, 2001, Jincheon Gusan-ri Iron Production Site. 1-12. (in Korean) 

  3. Cheongju National Museum, 2004, Jincheon Seokjang-ri Iron Production Site. 227-234. (in Korean) 

  4. Cho, H.K., Cho, N.C. and Kang, D.I., 2013, Scientific Analysis of Slags and Furnace Wall collected from Iron Production Site at Suryong­ri Wonmorongi in Chu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 139-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ng, J.H., 2015, Metallurgical study of slag from Gwanbuk-ri remains, Buyeo.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6, Scientific Analysis Report on the Specimens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Iron Sites in Gyeongsang Region. 1-183.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7.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8, Scientific Analysis Report on the Specimens Excavated from Archaeological Iron Sites in Jeonra Region. 1-202.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8. Kim, S.M., 2017, Advent of Iron Making Technologies in Korea and Their Development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Trend of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in Northeastern Asia,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49. (in Korean with English) 

  9. Lee, E.W., Lee, J.J., Chae, M.H. and Kim, E.J., 2015, Examination of Smelting and Smithing Slags Excavated from the Iron Production Site of the Nogye Villag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 411-427. (in Korean with English) 

  10. Liu, H.F., Qian, W., Chen, J.L., Chen, H.L., Matthew, L.C. and Michael R.N., 2017, Cast iron-smelting furnace materials in imperial China : Macro-observation and microscopic stud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86, 50-59. (in Engish) 

  11. Shin, J.H., 2018, Discussion on the Reexamination of Ancient Iron Production Sites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 Progress and Significance of Recent Excavations of Ancient Iron Production Sites in North Asia,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52-15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