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학습을 활용한 하절기 기온 및 폭염발생여부 예측
Prediction of Temperature and Heat Wave Occurrence for Summer Season Using Machine Learning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3 no.2, 2020년, pp.27 - 38  

김영인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동현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승오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이상기후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피해, 재산피해와 같은 큰 피해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정확한 기온 및 폭염발생여부 예측이 필수적이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폭염에 대한 정보를 단기예보를 통해 제공하는데, 단기예보를 위한 기온예측은 수치예보모델을 통해 수행된다. 과거 15년간(1998~2012년) 인구대비 폭염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군에 대하여 2019년도 기온 예보자료와 관측 자료를 비교한 결과, 평균제곱근오차가 1.57℃ 발생하였고, 관측 값이 33℃이상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비교한 결과, 평균제곱근오차가 1.96℃ 발생하였다. 예보시간은 4시간이고 예보과정에는 약 3~4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요시간과 예측 정확도를 고려하여, 기계학습방법의 일종인 LSTM을 이용한 기온 및 폭염발생 예측 방법론을 제시한다.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한 4시간 기온예측결과 1.71℃의 평균제곱근오차가 발생하였고, 관측 값이 33℃ 이상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비교한 결과 1.39℃의 평균제곱근오차가 발생하였다. 전 범위의 오차는 수치예보모델이 더 작은 값을 가지지만, 33℃이상의 경우에는 기계학습모델 예측의 정확도가 더 높았다. 또한 수치예보를 이용한 경우 예상 소요시간이 4시간가량인 반면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온예측에는 평균 9분26초의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적이라 판단하였다. 향후 공간적인 범위를 확대하거나 대상 지역을 변경하는 일반적인 방안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imate variations have become worse and diversified recently, which caused catastrophic disasters for our communities and ecosystem including economic property damages in Korea. Heat wave of summer season is one of causes for such damages of which outbreak tends to increase recently. Related shor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그러나 지역별로 폭염으로 인한 영향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대비 폭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기온예측을 수행하였고 4시간 예측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예보업무규정 부칙 제 17조에 따르면 현재 국내 폭염특보발표기준은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가 있으며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기온 33°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폭염경보는 일 최고기온 35°C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발령한다(KMA,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온예측모델을 제안한다. 기계학습의 학습방법으로는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예측하고자 하는 값이 기온이므로 기온과 각 변수들과의 관계의 선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은 상관성분석의 결과이며 각 값은 상관계수이다.
  • 기온예측에 소요되는 계산 시간을 단축시킨다면 기상예보 및 피해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수치예보모델보다 계산 시간이 짧고, 데이터 가공 과정이 불필요한 기온예측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외로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후예측모델에 관한 연구는 수차례 수행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계학습의 학습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기온예측모델을 제안한다. 기계학습의 학습방법으로는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학습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답이 주어진 상태에서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지도학습방법이란 무엇인가? 기계학습의 학습방법으로는 지도학습, 비지도 학습, 강화학습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도학습방법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답이 주어진 상태에서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지도학습은 분류와 회귀로 나뉘는데, 분류는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방식이며 회귀는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이의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연속된 값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예보관의 데이터 가공 과정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기상청의 기상예보는 관측 장비로부터 온도, 습도 등 대기 상태의 관측 값을 수신하여 수치예보모델을 통해 분석 자료를 만들어내고, 이를 예보관이 분석하여 발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자료동화 하는데 약 2~3시간이 소요되며 수치예보모델을 통해 분석 자료를 만드는데 약 1시간 정도 소요된다(KMA, 2018). 이에 더하여 예보관의 분석과정에도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예보관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기상예보까지 최소 3~4시간이 소요되며 예보관의 데이터 가공 과정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J. and Jeong, C. (2018). Numerical Simulation of the Flood Event Induced Temporally and Spatially Concentrated Rainfall - On August 17, 2017, the Flood Event of Cheonggyeche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11(2): 45-52. 

  2. Ahn, S. (2016). Deep Learning Architecture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2(2): 127-142. 

  3. Choi, J. (2019). Proposal of Early-Warning Criteria for Highway Debris Flow Using Rainfall Frequency (1): Proposal of Rainfall Criter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12(2): 1-13. 

  4. Choi, M. H. and Yun, J. I. (2009). On Recent Variations in Solar Radiation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Summe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185-191. 

  5. Joints of Related Ministries (2018) Abnormal Weather Report.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6. Kim, J., Lee, D. G., Park, I. S., Choi, B. C., and Kim, J. S. (2006). Influences of Heat Waves on Daily Mortality in South Korea. Atmosphere. 16(4): 269-278. 

  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8). Evaluation of Contribution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to Weather Forecasts.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Forecast Services Regulations APPENDUM Article17.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9). A Study on the Diagno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Forecasting System.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 Lee, S. G., Jung, S. G., Lee, W. S., and Park, G. H. (2011). A Predictive Model for Urban Temperature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1): 129-142. 

  11. Park, J.E., Heo, B.Y., and Sunwoo, Y. (2016). A Study on Human Damage due to Heat Wave by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1): 103-109. 

  12. Qing, X. and Niu, Y. (2018). Hourly Day-ahead Solar Irradiance Prediction Using Weather Forecasts by LSTM. Energy. 148: 461-468. 

  13. Sharma, N., Sharma, P., Irwin, D., and Shenoy, P. (2011). Predicting Solar Generation from Weather Forecasts Using Machine Learning. In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Grid Communications (SmartGridComm). 528-533. 

  14. Won, Y. J., Yeh, S. W., Yim, B. Y., and Kim, H. K. (2017). Relationship between Korean Monthly Temperature during Summer and Eurasian Snow Cover during Spring. Atmosphere. 27(1): 55-65. 

  15. Yoo, H., Lee, S. O., Choi, S., and Park, M. (2019). A Study on the Data Driven Neural Network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ime Series Data: Application of Water Surface Elevation Forecasting in Hangang River Brid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12(2): 73-82. 

  16. Yoon, J.W. and Jeon, M.G. Temperature Forecasting Model b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LSTM. Proceeding of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Conference. 912-915. 

  17. Zhang, Q., Wang, H., Dong, J., Zhong, G., and Sun, X. (2017). Predic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Long Short-term Memory.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14(10): 1745-1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