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 상보성 평가
Complimentary Assessment for Conserving Vegetation on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5, 2020년, pp.436 - 445  

박진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  최혜영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모용원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11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보호지역은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되어왔으며, 추가 지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목원 완충지역이 상보성이 높아 보호지역으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경우가 적은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기존 또는 잠재 보호지역 외 지역에 추가로 보호지역을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별 보호지역이 보호지역으로서 고유한 생태계 또는 생물종 보전이 가능한지 각 보호지역의 생태적 대표성을 확인하고, 공간적으로 추가 보호가 필요한 지역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동물종까지 포함한 상보성 평가를 통한 보호지역의 질적 개선과 계속적으로 조사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보호지역의 효과성평가 연구 등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protected area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in Korea to achieve Aichi Target 11, and there are studies on potential protected areas that required additional design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n insufficient assessment of the complementarity of protected areas to conserve biodivers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정된 법정 보호지역과 Hong et al.(2017b)에서 제안된 잠재보호지역인 OECMs을 대상으로 상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물종 출현지점 자료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식물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한편, 상보성 평가는 보호지역 내에 있는 출현여부 또는 풍부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 개별종이 어떻게 보호가 되고 있는지는 개별 자료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은 개수의 보호지역이 보호하고 있는 식물종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보호지역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용한 본 연구의 방법은 총 16개 보호지역 중에서 8개 이하 개수가 포함하고 있는 식물종을 선별하고, 각 식물종의 전체 잠재서식지 면적 중에서 각 보호지역 내 포함되는 면적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 이를 위해 생물종 출현지점 자료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식물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적은 개수의 보호지역이 보호하고 있는 식물종의 공간분포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이 식물종을 보호하기 위해 어떠한 보호지역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지도 확인하였다.
  • 보호지역 분류간의 상보성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개별 보호지역의 상보성을 살펴보았다. 전체 보호지역 중 국립수목원 완충지역(KNA)의 Jaccard 지수, Sorenson 지수가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Figure 2).
  • 본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의 식물종 보전을 위한 상보성을 평가함으로써 국내 보호지역의 질적평가를 통해 추후 우선적으로 선정이 필요한 잠재 보호지역과 보전비율이 낮은 개별 식물종 보전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지역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종분포모형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모형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어 실제로 보전이 필요한 지역을 찾고자 한다면 추가 식물종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식물종의 출현자료를 이용하여 도출한 잠재 서시지역을 입력 자료로 기존 법정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OECMs의 상보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보호지역 제안(Hong et al.
  • (2017b)에서 발굴한 국내 OECMs 목록을 이용하였다. 이 목록 중에서 2017년 이후 IUCN에 등재된 보호지역과 아직 등재가 되지 못한 보호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어 이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한 방법은 무엇인가? 하지만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상보성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식물종을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잠재서식지역을 도출하고,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내 잠재서식지역이 포함되는 종의 풍부도를 유사도 지수인 Jaccard, Sorenson, Bray-curti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기존 보호지역과 잠재보호지역 대부분이 상보성이 낮아 유사한 식물종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효과적인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해서는 보호지역의 면적증가와 같은 양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보호지역의 대표성, 상보성, 효과성 등 질적인 향상 또한 중요하다. 보호지역은 해당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하여 전체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모든 지역이 지정될 필요가 있다(Moilanen et al.
상보성은 어떤 특성인가? , 2006). 즉, 하나의 보호지역이 어떤 종들을 보호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각 보호지역별로 서로 다른 생물종을 보호하고 있는지 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호지역의 특성을 상보성이라고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e, H.(2015) Biodiversity conservation planning for South Korea: Predicting plant biodiversity dynamics under climate change and the impacts from forest conversion scenarios.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10036024pp. 

  2. Choe, H., J.H. Thorne, R. Hijmans, J. Kim, H. Kwon and C. Seo(2017) Meta-corridor solutions for climate-vulnerable plant species groups in South Korea. Journal of Applied Ecology 54: 1742-1754. 

  3. Choe, H., J.H. Thorne, W. Joo and H. Kwon(2020) The biodiversity representation assessment in South Korea's protected area network. J. Korean Env. Res. Tech. 23: 77-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as, A., H. Nagendra, M. Anand and M. Bunyan(2015) Topographic and bioclimatic determinants of the occurrence of forest and grassland in tropical montane forest-grassland mosaics of the Western Ghats, India. PLoS One 10: 1-19. 

  5. Elith, J. and J. Leathwick(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museum and herbarium records using multiresponse models fitted with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 265-275. 

  6. Fabricius, C., M. Burger and P.A.R. Hockey(2003) Comparing biodiversity between protected areas and adjacent rangeland in xeric succulent thicket, South Africa: Arthropods and reptile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0: 392-403. 

  7. Fielding, A.H. and J.F. Bell(1997) A review of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prediction errors in conservation presence/absence models. Environmental Conservation 24(1): 38-49. 

  8. Gonzalez-Maya, J.F., L.R. Viquez-R, J.L. Belant and G. Ceballos(2015)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for representing species and populations of terrestrial mammals in Costa Rica. PLoS One 10: 1-16. 

  9. Heo, H.Y., D. Cho, Y. Shim, Y. Ryu, J.P. Hong and G. Shim(2017) A Study on the Expanding Protected Areas through Identifying Potential Protected Areas­focusing on the experts' recognition with regard to protected area­. Korean J. Environ. Ecol. 31: 586-5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ijmans, R.J., S.E. Cameron, J.L. Parra, P.G. Jones and A. Jarvis(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 1965-1978. 

  11. Hirzel, A.H. and G. Le Lay(2008) Habitat suitability modelling and niche theory.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5): 1372-1381. 

  12. Hong, J.P.(2018) Evaluating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of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Integrated System. J. Korean Env. Res. Tech. 21: 57-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ong, J.P. and Y.J. Shim(2018)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Based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1: 83-94. 

  14. Hong, J.P., Y. Shim and H.Y. Heo(2017a) A Study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Focused on Quanti tative Expansion Goals and Quali tative Improvement Goals of Protected Areas-. J. Korean Env. Res. Tech. 20: 43-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Hong, J.P., Y. Shim and H.Y. Heo(2017b)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J. Korean Env. Res. Tech. 20: 93-105. 

  16. Kukkala, A.S. and A. Moilanen(2013) Core concepts of spatial prioritisation in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Biological Reviews 88: 443-464. 

  17. Leathwick, J.R., D. Rowe, J. Richardson, J. Elith and T. Hastie(2005) Using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to predict the distributions of New Zealand's freshwater diadromous fish. Freshwater Biology 50: 2034-2052. 

  18. Lee, G.G.(2011)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for Wildlife Protection Areas in South Korea. J. Environ. Impact Assess 20: 685-695. 

  19. Levin, N., T. Mazor, E. Brokovich, P.E. Jablon and S. Kark(2015) Sensitivity analysis of conservation targets in systematic conservation planning. Ecological Applications 25: 1997-2010. 

  20.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Third Guidelines for National Ecosystem Survey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1. Ministry of Environment(2014)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Vegetation). 

  22. Mo, Y.(2018) Aichi Target 11 and Endangered Species, Finding the Protected Area Candidates to Achieve the Two Goals.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9: 322-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Nenzen, H.K. and M.B. Araujo(2011) Choice of threshold alters projections of species range shifts under climate change. Ecological Modelling 222(18): 3346-3354. 

  24. Possingham, H.P., K.A. Wilson, S.J. Andelman and C.H. Vynne(2006) Protected areas: Goals, limitations, and design. In M.J. Groom, G.K. Meffe and C.R. Carroll(Eds.), Principles of Conservation Biology(3rd ed.).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 pp. 509-533. 

  25. Su, C.J., D.M. Debinski, M.E. Jakubauskas and K. Kindscher(2004) Beyond Species Richness: Community Similarity as a Measure of Cross-Taxon Congruence for Coarse-Filter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18: 167-173. 

  26. Torontow, V. and D. King(2012) Forest complexity modelling and mapping with remote sensing and topographic data: A comparison of three methods.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4): 387-4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