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지역 관리를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
The biodiversity representation assessment in South Korea's protected area networ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1, 2020년, pp.77 - 87  

최혜영 (강원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주우영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권혁수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parks and other protected areas often do not adequately protect national biodiversity because they were originally created for socio-economic and/or aesthetic values. The Korean government has committed to expanding the extent of protected areas to fulfill its commitments to the Aichi Biod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호지역의 추가 지정에 고려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류군 측면에서 생물종의 보호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앞으로의 보호지역 추가 지정은 현재 보호지역의 상황을 평가하고 그에 맞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개별 생물종의 서식지가 보호지역 내 보호되고 있는 정도를 분류 군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 총 3,645종에 대해 종분포모형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서식적합 지역이 현재 보호지역 내 반영되고 있는 비율을 각각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보호지역이 각 분류군에 속한 생물종의 서식적합 지역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 총 3,645종에 대해 보호지역 반영 비율을 각각 분석하였다
  • GEO BON의 종보호지수 SPI는 생물종의 적절한 서식지가 보호되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고 지역과 지구 규모에서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의 생물종에 대해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생물종들의 서식지를 평가하고 각각의 서식지가 보호지역에 의해 현재 얼마나 보호되고 있는지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고, 보호지역의 현황을 파악하는 갭분석(gap analysis)을 통해서 (Scott et al.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종의 서식적합 지역이 보호지역에 반영되고 있는 정도를 평가하여 분류군별 보전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상황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 추후 보호지역의 계획에 필요한 공간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이용한 종분포모형은 생물종과 서식지 간 관계가 일정하고, 종조사 자료는 공간적으로 균일하게 조사되었으며, 위치자료 간 독립적임을 가정하였다(Guisan et al., 2017). 본 연구에서 환경변수 공간자료 등 자료의 한계를 이유로 모든 분류군에 대해 같은 환경변수를 이용한 것과 생물종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로 생각한다 (Franklin,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EO BON의 종보호지수 SPI의 용도는? 특히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종보호 지수(Species Protection Index; SPI)를 이용할 수 있다. GEO BON의 종보호지수 SPI는 생물종의 적절한 서식지가 보호되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고 지역과 지구 규모에서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의 생물종에 대해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생물종들의 서식지를 평가하고 각각의 서식지가 보호지역에 의해 현재 얼마나 보호되고 있는지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지구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를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지구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The Group on Earth Observations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GEO BON)는 지구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보고하는 목적으로 일련의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국제적인 활동이다(GEO BON, 2015). GEO BON 생물다양성 지표들을 이용하여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일부 항목에 대해 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종보호 지수(Species Protection Index; SPI)를 이용할 수 있다. GEO BON의 종보호지수 SPI는 생물종의 적절한 서식지가 보호되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고 지역과 지구 규모에서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반영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지구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란? 지구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크(The Group on Earth Observations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GEO BON)는 지구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보고하는 목적으로 일련의 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국제적인 활동이다(GEO BON, 2015). GEO BON 생물다양성 지표들을 이용하여 아이치 생물다양성 목표의 일부 항목에 대해 평가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mano T. Szekely T. Koyama K. Amano H and Sutherland WJ. 2010. A framework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populations: an example from wader populations in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Biological Conservation 143(9) : 2238-2247. 

  2. Aguirre-Gutierrez J. Carvalheiro LG. Polce C. van Loon EE. Raes N. Reemer M and Biesmeijer JC. 2013. Fit-for-purpose: species distribution model performance depends on evaluation criteria-Dutch hoverflies as a case study. PloS one 8(5) : e63708. 

  3. Busby JR. 1991. BIOCLIM - A bioclimatic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Nature Conservation: Cost Effective Biological Surveys and Data Analysis (eds C.R. Margules & M.P. Austin), pp. 64-68. CSIRO, Canberra, Australia. 

  4. Choe H and Thorne JH. 2017. Integrating climate change and land use impacts to explore forest conservation policy. Forests 8(9) : 321. 

  5. Choe H. Thorne JH. Hijmans R and Seo C. 2019. Integrating the Rabinowitz rarity framework with a National Plant Inventory in South Korea. Ecology and Evolution 9 : 1353-1363. 

  6. Choe H. Thorne JH. Huber PR. Lee D and Quinn JF. 2018. Assessing shortfalls and complementary conservation areas for national plant biodiversity in South Korea. PloS one 13(2) : e0190754. 

  7. Choe H. Thorne JH and Seo C. 2016. Mapping national plant biodiversity patterns in South Korea with the MARS species distribution model. PloS one 11(3) : e0149511. 

  8. Chung K. Gye M and Song J. 2000. Herpetofauna Biodiversity of Chin-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1) : 113-1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10. Strategic Plan for Biodiversity 2011-2020 and the Aichi Targets. 

  10. Dudley N and Stolton S. 2008. Defining protected area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in Almeria, Spain. Gland, Switzerland: IUCN. 

  11. Elith J. Graham CH. Anderson RP. Dudik M. Ferrier S. Guisan A. Hijmans RJ. Huettmann F. Leathwick JR. Lehmann A. Li J. Lohmann LG. Loiselle BA. Manion G. Moritz C. Nakamura M. Nakazawa Y. Overton JM. Peterson AT. Phillips SJ. Richardson K. Scachetti-Pereira R. Schapire RE. Soberon J. Williams S. Wisz MS and Zimmermann NE. 2006. Novel methods improve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s from occurrence data. Ecography 29(2) : 129-151. 

  12. FAO. IIASA. ISRIC. ISSCAS and JRC. 2012. Harmonized World Soil Database (version 1.2). FAO, Rome, Italy and IIASA, Laxenburg, Austria. 

  13. Fielding AH and Bell JF. 1997. A review of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prediction errors in conservation presence/absence models. Environmental Conservation 24(1) : 38-49. 

  14. Franklin J. 2010.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Game ET. Lipsett-Moore G. Saxon E. Peterson N and Sheppard S. 2011. Incorporat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into national conservation assessments. Global Change Biology 17(10) : 3150-3160. 

  16. GEO BON. 2015. Global Biodiversity Change Indicators. Version 1.2. Group on Earth Observations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Secretariat. Leipzig. 

  17. Guisan A. Thuiller W and Zimmermann N. 2017. Habitat Suitability and Distribution Models: With Applications in 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ernandez PA. Graham CH. Master LL and Albert DL. 2006. The effect of sample size and species characteristics on performance of differ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methods. Ecography 29(5) : 773-785. 

  19. Hijmans RJ. 2012. Cross-validati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removing spatial sorting bias and calibration with a null model. Ecology 93(3) : 679-688. 

  20. Hijmans RJ. Cameron SE. Parra JL. Jones PG and Jarvis A. 2005. Very high resolution interpolated climate surfaces for global lan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A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25(15) : 1965-1978. 

  21. Hong JP. 2018. Evaluating Quantitative Expansion Goals of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Integrated System.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1(3) : 57-6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Hong JP. Shim YJ and Heo HY. 2017a. A Study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5) : 43-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Hong JP. Shim YJ and Heo HY. 2017b. Identifying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for Expanding National Protected Areas. 20(6) : 93-10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Lee SJ. Lee HW. Kim CK. Hong HJ. Kim SY. Kang KR and Kim BH. 2015. Strategy and Measures to Enlarge the Protected Area in Korea.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Lee WH and Abdullah SA. 2019. Framework to develop a consolidated index model to evaluate the conservation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Ecological Indicators 102 : 131-144. 

  26. Moores N. 1999. Survey of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shorebirds in south Korea during 1998-1999. The Stilt 34 : 18-23. 

  27. Kim G. Kong S. Kim O. Son S and Lee E. 2017. A Strategy on Extracting Terrestrial Protected Areas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6(3) : 407-42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8. Constructing basic data for the protected areas in Korean Peninsula. NPRI 2018-22. (in Korean) 

  29. Kwon H. Kim J and Seo C. 2015. Selecting Protected Area Using Species Richn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1) : 14-20. 

  30. Manzoor SA. Griffiths G and Lukac M. 2018. Species distribution model transferability and model grain size-finer may not always be better. Scientific reports 8(1) : 7168. 

  31.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Fourth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2019-2023). (in Korean) 

  32.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The guidelines for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s. (in Korean) 

  33. Nenzen HK and Araujo M. 2011. Choice of threshold alters projections of species range shifts under climate change. Ecological Modelling 222(18) : 3346-3354. 

  34. Oldfield TE. Smith RJ. Harrop SR and Leader-Williams N. 2004. A gap analysis of terrestrial protected areas in England and i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policy. Biological Conservation 120(3) : 303-309. 

  35. Phillips SJ. Anderson RP and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3-4) : 231-259. 

  36. Prendergast JR. Quinn RM. Lawton J. Eversham B and Gibbons D. 1993. Rare species, the coincidence of diversity hotspots and conservation strategies. Nature 365(6444) : 335-337. 

  37. Pressey RL. 1994. Ad hoc reservations: forward or backward steps in developing representative reserve systems? Conservation Biology 8(3) : 662-668. 

  38. Rodrigues AS. Akcakaya HR. Andelman SJ. Bakarr MI. Boitani L. Brooks TM. Chanson JS. Fishpool LD. Da Fonseca GA and Gaston KJ. 2004. Global gap analysis: priority regions for expanding the global protected-area network. Bioscience 54(12) : 1092-1100. 

  39. Schneider RR and Bayne EM. 2015. Reserve design under climate change: from land facets back to ecosystem representation. PloS one 10(5) : e0126918. 

  40. Scott JM. Davis F. Csuti B. Noss R. Butterfield B. Groves C. Anderson H. Caicco S. D'Erchia F and Edwards Jr TC. 1993. Gap analysis: a geographic approach to protection of biological diversity. Wildlife monographs : 3-41. 

  41. Shin MS. Seo CW. Lee MW. Kim JY. Jeon JY. Adhikari P and Hong SB. 2018. Prediction of Potential Species Richness of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7(6) : 562-58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2. van Proosdij AS. Sosef MS. Wieringa JJ and Raes N. 2016. Minimum required number of specimen records to develop accurat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Ecography 39(6) : 542-552. 

  43. Venter O. Fuller RA. Segan DB. Carwardine J . Brooks T. Butchart SH. Di Marco M . Iwamura T. Joseph L and O'Grady D. 2014. Targeting global protected area expansion for imperiled biodiversity. PLoS biology 12(6) : e1001891. 

  44. Watson JE. Dudley N. Segan DB and Hockings M. 2014. The performance and potential of protected areas. Nature 515(7525) : 67-73. 

  45. Wiens JA. Seavy NE and Jongsomjit D. 2011. Protected areas in climate space: What will the future bring? Biological Conservation 144(8) : 2119-2125. 

  46. Zellweger F. Roth T. Bugmann H and Bollmann K. 2017. Beta diversity of plants, birds and butterfli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climate and habitat structure.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26(8) : 898-9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