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섬진강 수계 호소의 규모별 어류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Fish Assemblage by Reservoir Size in Yeongsan·Seomjin River Watershed i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3 no.3, 2020년, pp.229 - 240  

박상현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김정희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백승호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최호승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김대운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  고의정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현우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영산강·섬진강 수계에 위치한 16개 호소에 대해서 어류군집을 조사하고 호소별, 호소 규모별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 방법과 지점수는 환경부의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 지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소형호, 중형호, 대형호로 구분하여 어류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2018년(7개 호소)에서 2019년(9개 호소)에 이루어진 조사에서 총 13과 4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 RA, 32.9%), 아우점종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RA, 31.4%)로 나타났다. 호소 규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형호에서는 평균(±표준편차) 11±2.9종이 채집되었으며, 중형호는 14.3±2.1종, 대형호는 22.7±0.6종으로 호소의 규모가 커질수록 출현 종수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호소 규모별 어류군집 요인은 총 6개 항목(총 종수, 총 개체수, 풍부도, 초식 성종 개체수 비율, 육식성종 개체수 비율, 외래종 종수)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호소별 어류군집 유사도 분석결과 16개 호소가 60%의 유사도에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유사도는 호소의 규모보다는 호소 간 거리, 수계, 호소의 발달 위치 및 환경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호소의 어류군집 구조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호소 관리 및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fish assemblage survey for 16 reservoirs in the Yeongsan·Seomjin-River watershed were presented with fish assemblage characteristics analysis in relation to reservoir size. The survey method including number of sampling sites was followed the "Biomonitoring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산강·섬진강 수계에 위치한 16개 호소에 대해서 어류군집을 조사하고 호소별, 호소 규모별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생태계에 대한 이해는 사람과 자연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며(Mertz et al., 2007), 생태계의 보전, 복원 및 이해를 위해 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영산강·섬진강 수계에 위치한 16개 호소에 대해서 어류군집을 조사하고 호소별, 호소 규모별 어류군집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조사 방법과 지점수는 환경부의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 지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소형호, 중형호, 대형호로 구분하여 어류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2018년(7개 호소)에서 2019년(9개 호소)에 이루어진 조사에서 총 13과 4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 RA, 32.9%), 아우점종은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RA, 31.4%)로 나타났다. 호소 규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형호에서는 평균(±표준편차) 11±2.9종이 채집되었으며, 중형호는 14.3±2.1종, 대형호는 22.7±0.6종으로 호소의 규모가 커질수록 출현 종수가 증가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호소 규모별 어류군집 요인은 총 6개 항목(총 종수, 총 개체수, 풍부도, 초식 성종 개체수 비율, 육식성종 개체수 비율, 외래종 종수)에서 차이를 보였다(P<0.05). 호소별 어류군집 유사도 분석결과 16개 호소가 60%의 유사도에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군집 유사도는 호소의 규모보다는 호소 간 거리, 수계, 호소의 발달 위치 및 환경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호소의 어류군집 구조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영산강·섬진강 수계의 호소 관리 및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호소의 어류군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석해야 할 요인은 무엇인가? 호소의 어류군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호소별 주요 요인(총 종수 및 개체수, 군집지수, 내성도 길드, 섭식 길드, 고유종 종수 및 개체수, 외래종 종수 및 개체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지수는 우점도(Simpson, 1949), 다양도(Shannon and Wiener, 1949), 균등도(Pielou, 1969) 및 풍부도(Margalef, 1958)를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n, K.G. and J.H. Han. 2007. A development of multi-metric approach for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in lentic ecosystem.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0(1): 72-81. 

  2. An, K.G. and S.J. Lee. 2018.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Using Fish Multi-Metric Model.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1(1): 86-95. 

  3. Byeon, M.S., H.K. Park, W.O. Lee and D. Kong. 2008.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lake Paldang and its inflow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 206-213. 

  4. Chae, B.S., H.B. Song and J.Y. Park. 2019. A field guide to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Seoul. 

  5. Choi, K.S, M.S. Han, D.W. Kang and M.H. Ko. 2020.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an Stream, a Tributary of the Han River Drainage System,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34(2): 142-156. 

  6. Choi, S.S., H.B. Song and S.O. Hwang. 1997.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Daech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2): 155-166. 

  7. Chong, V.C., P.K.Y. Lee and C.M. Lau. 2010. Diversity, extinction risk and conservation of Malaysian fishes. Journal of Fish Biology 76(9): 2009-2066. 

  8. Clarke, K.R. and R.M. Warwick. 1994. Similarity-based testing for community pattern: the two-way layout with no replication. Marine Biology 118(1): 167-176. 

  9. Daga, V.S., J.D. Olden, E.A. Gubiani, P.A. Piana, A.A. Padial and J.R. Vitule. 2019. Scale-dependent patterns of fish faunal homogenization in Neotropical reservoirs. Hydrobiologia 2019:1-14. 

  10. Diana, J.S. 1995. Biology and ecology of fishes. Biological sciences press, a division of Cooper publishing group. USA. pp. 390-391. 

  11. Eadie, J.M., T.A. Hurly, R.D. Montgomerie and K.L. Teather. 1986. Lakes and rivers as islands: species-area relationships in the fish faunas of Ontario.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15(2): 81-89. 

  12. Field, J.G., K.R. Clarke and R.M. Warwick. 1982. A practical strategy for analysing multispecies distribution pattern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8: 37-52. 

  13. Godinho, F.N., M.T. Ferreira and M.I.P. Castro. 1998. Fish assemblage composition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gradients in Portuguese reservoirs. Aquatic Living Resources 11(5): 325-334. 

  14. Han, J.H. and K.G. An. 2010. Analysis of fish fauna by sampling gear as a preliminary survey for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Jinya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Iimnology. 43(1): 103-116. 

  15. Hondzo, M. and H.G. Stefan. 1996. Dependence of water quality and fish habitat on lake morphometry and meteorology.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22(5): 364-373. 

  16. Hughes, R.M. and R.F. Noss. 1992. Biological diversity and biological integrity: current concerns for lakes and streams. Fisheries 17(3): 11-19. 

  17. Huse, I., S. Lokkeborg and A.V. Soldal. 2000. Relative selectivity in trawl, longline and gillnet fisheries for cod and haddock.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59: 1271-1282. 

  18. Irz, P., A. Laurent, S. Messad, O. Pronier and C. Argillier. 2002. Influence of site characteristics on fish community patterns in French reservoirs. Ecology of Freshwater Fish 11(2): 123-136. 

  19. Jang, Y.S., K.Y. Lee, J.K. Choi, J.W. Seo and J.S. Choi. 2006. Sampling effects on fishing gears in the Hoengse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9(2): 245-256. 

  20. Kim, C.H., W.O. Lee, J.K. Lee and K.E. Hong. 2005. The ichthyofauna in Lake Cheongpyeong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7(2): 124-130. 

  21. Kim, H.M., J.H. Kil, E.H. Lee and K.G. An.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s an Exotic Species, in Some Medium-to-Large Size Korean Reservoirs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Habitat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4): 541-550. 

  22. Kim, I.S. and E.J. Kang. 1993. Coloured fishes of Korea. Academy Pub. Seoul. 

  23.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 Hak Sa, Seoul. 

  24. Kim, J.H., S.H. Park, S.H. Baek, M.H. Jang, H.J. Lee and J.D. Yoon. 2020. Does Different Performance of Sampling Gears (Cast Net versus Gill Net) Bring the Inappropriate Estimation of Freshwater Fish in a Large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3(2): 156-164. 

  25. Kim, J.Y., G.J. Joo and Y. Do. 2018. Through 100 years of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publications: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earch topics and scientific collaborations. Ecosphere 9(2): e02109. 

  26. Kim, S.K., Y.H. Kang, G.B. Hong, D.U. Yoo, H.Y. Suk, B.S. Chae, H.S. Kim and U.W. Hwang. 2011.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from 21 Lakes in the Yeungnam Area including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3(4): 288-299. 

  27. Ko, D.G., J.H. Han and K.G. An. 2012. Length-Weight Relations and condition factor (K) of Zacco platypus along trophic gradients in reservoir ecosystem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5(2): 174-189. 

  28. Lee, E.H., K.H. Jang, D.I. Seo, J.Y. Choi, G.J. Joo, M. Kim, J.H. Shin, M.S. Son and G.S. Nam. 2014.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and Food Web in Eutrophic Agricultural Reservoir, Jeonda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2(4): 319-326. 

  29. MacArthur, R.H. and E.O. Wilson. 2001.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Vol. 1).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Margalef, D.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General Systems 3: 36-71 

  31. Matthews, W.J. 1998. Patterns in freshwater fish ecology, New York, NY: Chapman and Hall. 

  32. Minns, C.K. 1989. Factors affecting fish species richness in Ontario lake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18(5): 533-545. 

  33. Mertz, O., H.M. Ravnborg, G.L. Lovei, I. Nielsen and C.C. Konijnendijk. 2007. Ecosystem services and biodiversity in developing countri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6(10): 2729-2737. 

  34. MOE. 2001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reservoir environment research technique.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35. MOE. 2001b. Survey manual of reservoir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36. MOE. 2009. Revised survey manual of reservoir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37. MOE/NIER. 2017.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38. Moyle, P.B. and J.J. Cech. 2000.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Prentice Hall. USA. 612 pp. 

  39. Nelson, J.S. 2016. Fishes of the world. Wiley, New York. 

  40. Oberdoff, T., J.F. Guegan and B. Hugueny. 1995. Global scale patterns of fish species richness in rivers. Ecography 18(4): 345-352. 

  41. Park, S.H., J.W. Lee, J.H. Kim, S.H. Baek, J.D. Yoon, K.R. Choi and M.H. Jang. 2013. Fish Distribution and Salinity in the Saemangeu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1(4): 411-418. 

  42. Parker, I.M., D. Simberloff, W.M. Lonsdale, K. Goodell, M. Wonham, P.M. Kareiva, M.H. Williamson, B. Von Holle, P.B. Moyle, J.E. Byers and L. Goldwasser. 1999. Impact: toward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effects of invaders. Biological Invasions 1: 3-19. 

  43.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44. Seong, C.N., K.S. Baik, J.H. Choi, H.W. Cho and J.H. Kim. 1997. Water quality and fish community in streamlets of Jua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2): 107-118. 

  45. Shannon, C.E. and W. Wien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4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4148): 688-688. 

  47. Son, Y.M., H.B. Song, H.K. Byeon and J.S. Choi. 1997. Study on the dynamics of fish community in the Lake Paldang.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9(1): 141-152. 

  48. Wilson, M.A. and S.R. Carpenter. 1999. Economic valuation of freshwater ecosystem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1971-1997. Ecological Applications 9(3): 772-783. 

  49. Yoo, D.G., G.S. Lee, G.Y. Kim, N.K. Kang, B.Y. Yi, Y.J. Kim, J.H. Chun and G.S. Kong. 2016.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histor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a tide-dominated setting: An example from the eastern Yellow sea.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73: 212-227. 

  50. Yoo, D.J., K.H. Han, S.H. Lee, H.S. Yim, J.H. Hwang, J.H. Lee and K.W. Kang. 2008. Ichthyofauna collected from reservoirs in Pohang-si, Gyeongsangbuk-do.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41(5): 363-370. 

  51. Yoo, D.J., K.H. Han, H.S. Yim, W.I. Seo and S.H. Lee. 2009. Ichthyofauna from reservoirs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1(1): 38-46. 

  52. Yoon, J.D., J.H. Kim, M.S. Byeon, H.J. Yang, J.Y. Park, J.H. Shim, H.B. Song, H. Yang and M.H. Jang. 2011. Distribution patterns of fish communities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gradients in Korean streams. In Annales de Limnologie-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63-71. 

  53. Yoon, J.D., J.H. Kim, S.H. Park and M.H. Jang. 2018.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reshwater Fishes i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1(1): 71-85. 

  54. Yoon, J.D., M.H. Jang, M.C. Kim, G.S. Nam, S.J. Hwang and G.J. Joo. 2006. The characterization of fish communiti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9(1): 131-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