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수계의 죽산보에 설치된 어도에서 어류의 이동성 평가
Fish Passage Assessments in the Fishway of Juksan Weir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Area of Youngsan-River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8, 2014년, pp.1513 - 1522  

박찬서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passage asssessments were conducted in the fishway at Juksan Weir, which was constructed as a four-major rivers project in the downstream area of Youngsan-River Watershed. For the research, fish-movements/migrations were analyzed for seven times from April ~ October, 2013 using an approach of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수계의 하류부에 설치된 죽산보의어도에서 어류 이동성 평가를 위해 계절별 이동성 특성 (Seasonal pattern), 일별 이동성 유형(Diel pattern) 및 어도의 구조적 위치에 따른 어류의 종 조성 및 이동 개체 수를 파악하여 어도 이용율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또한, 어도에서 관찰되는 희귀성 어류 및 특이종의 이동경로 및 현황을 분석하여 보 설치에 따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죽산보에서 장기간의 어류의 어도 이동효율성 평가에 대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영산강수계의 하류역에 건설 된 승촌보, 죽산보 및 어도 (Fishway)는 기존의 이러한 서식지 구조 특성, 이화학적 수질 특성에 대한 규명뿐만 아니라 수생 생물 중 먹이연쇄 단계 중 최상위에 있는 어류의 분포특성, 이동성 및 어도효율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생태 건강도(Ecological health) 평가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산강 수계의 하류부에 설치된 죽산보의어도에서 어류 이동성 평가를 위해 계절별 이동성 특성 (Seasonal pattern), 일별 이동성 유형(Diel pattern) 및 어도의 구조적 위치에 따른 어류의 종 조성 및 이동 개체 수를 파악하여 어도 이용율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또한, 어도에서 관찰되는 희귀성 어류 및 특이종의 이동경로 및 현황을 분석하여 보 설치에 따른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많은 소하천 및 4대강 유역의 농업용수 및 음용수 유량 확보를 위해 건설한 것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소하천 및 4대강 유역의 농업용수 및 음용수 유량 확보를 위해 중소형 보(Weir) 및 대형 인공댐을 지속적으로 건설해 왔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몬순강우 특성에 의한 계절 강우의 분포가 일정치 않고, 농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국가에서 농업용수와 식수확보라는 차원에서 강의 중·하류부에 보 건설 및 대형 댐 건설은 수자원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고려되어왔다(Yang 등, 2001).
보 혹은 댐 건설이 수환경에 미치는 물리적인 변화는? 중소형 보(Weir) 및 댐의 건설에 따른 국제적 생태평가 연구들에 따르면(Poff과 Hart, 2002; Sheer과 Steel, 2006; Han 등, 2012; Lee 등, 2013), 하천/강의 중하류 부에 보 혹은 댐 건설은 하천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변화및 물리적 서식지에 영향을 주어 하천 내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수생생물에게 지대한 생태학적 교란요소로 작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수생태계인 하천 및 강에 인공구조물의 건설은 1차적으로 유속, 유량, 수심, 수위, 탁도, 하상구조의 변화등과 같은 물리적인 수환경 변화를 유발하고(Hong 등 2004), 2차적으로는 화학적 수질에 영향을 주며, 3차적(최종)으로는 어류의 분포, 종 구성도 및 서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xter, 1977; Harris, 1984; Mallen-Cooper 등, 1995; An 등, 2007; Park과 An, 2007; Han 등, 2012).
중소형 보(Weir) 및 댐의 건설이 수생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중소형 보(Weir) 및 댐의 건설에 따른 국제적 생태평가 연구들에 따르면(Poff과 Hart, 2002; Sheer과 Steel, 2006; Han 등, 2012; Lee 등, 2013), 하천/강의 중하류 부에 보 혹은 댐 건설은 하천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변화및 물리적 서식지에 영향을 주어 하천 내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를 포함한 다양한 수생생물에게 지대한 생태학적 교란요소로 작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수생태계인 하천 및 강에 인공구조물의 건설은 1차적으로 유속, 유량, 수심, 수위, 탁도, 하상구조의 변화등과 같은 물리적인 수환경 변화를 유발하고(Hong 등 2004), 2차적으로는 화학적 수질에 영향을 주며, 3차적(최종)으로는 어류의 분포, 종 구성도 및 서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axter, 1977; Harris, 1984; Mallen-Cooper 등, 1995; An 등, 2007; Park과 An, 2007; Han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K. G., Kim, K. I., Kim, J. H., 2007,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in wastewater-impacted and non-impacted Streams, Korean J. Limnol., 40(1), 82-92. 

  2. Baxter, R. M., 1977, Environmental effects of dams and impounment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8, 255-283. 

  3. Choi, J. Y., Lee, G. J., 2004, Fish Ways at Rivers and Dams: Current Status, and Futur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Korea Environment Institute., 65-94. 

  4. Choi, J. W., An, K. G., 2008, Characteristics of fi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1(3), 301-310. 

  5. Choi, J. W., Park, C. S., Lim, B. J., Park, J. H., An, K. G., 2013, Fish passage Evaluations in the fishway constructed on Seungchon weir, Korean J. Environ. Sci. Int., 22(2), 215-223. 

  6. Fausch, K. D., Young, M. K., 1995, Evolutionary significant units and movement of resident stream fishes: a cautionary tale, Evolution and the aquatic ecosystem: defining unique units in population conservation, Ed. J. L. Nielson, American Fisheries Society, Symposium, 17, Bethesda, Maryland. 

  7. Gleick, P. H. 2001, Making every drop count. Scientific American 284(2), 40-46. 

  8. Harris, J. H., 1984, Impoundment of coastal drainages of south-eastern Australia, and a review of its relevance to fish migrations, Aust. Zool, 21, 235-250. 

  9. Han, J. H., Ko, D. G., Lim, B. J., Park, J. H., An, K. G., 2012,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Korean J. Environ. Impact Assessment, 21(6), 879-891. 

  10. Hong, J. S., Seo, I. S., Yoon, K. T., Hwang, I. S., Kim, C. S., 2004,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2(2), 341-350. 

  11. Kim, I. S., Kang, E. J., 1993, Colored fishe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2. Kinsolving, A. D., Bain, M. B., 1993, Fish assemblage recoveryalong a riverine disturbance gradient. Ecological Application, 3, 531-544. 

  13. Kim, I. S., Park, J. Y., 2002, Freshwater fish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14. KIWE(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2008, Monitoring of efficiency on the fish conservation facilities in Jangheung Dam watershed, Korea Water Resource Corporation. 

  15. Ko, D. G., Choi, j. W., Lim, B. J., Park, J. H., An, K. G., 2012, Fish Distribution, Compositions and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s during Juksan Weir Construc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Environ. Eco., 26(6), 892-901. 

  16. Lee, J. H., Han, J. H., Lim, B. J., Park, J. H., Shin, J. K., An, K. G.,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artificial weir construction in the mainstreams and tributaries of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103-115. 

  17. Mallen-Cooper, M., Stuart, I. G., Hides-Pearson, F., Harris, J. H. 1995, Fish migration in the Murray River and assessment of the Torrumbarry fishway. Final Report, NRMS Project N002. 

  18. Nilsson, J., Gerritsen, M., Younis, R., 2005, A Novel AdaptiveAnisotropic Grid Framework for Efficient Reservoir Simulation. Paper SPE93243 presented at the SPE Reservoir Simulation Symposium, The Woodlands,Texas, 31 January-2 February. 

  19. MOE/NIER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Passage route survey of migratory fish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weirs and the fishway''s effects.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5pp. 

  20. Park, H. J., An, K. G., 2007,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e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 Limnol., 40(1), 14-30. 

  21. Park, S. B., Lee, J. Y., Jang, M. H., Kim, H. W., Jeong, J. M., Kim, J. W., Joo, G. J., 1999,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a weir reach of the Yangsan Stream (1993-1996). Korean J. Limnol., 32(4), 331-340. 

  22. Park, L. H., Cho, Y. K., Cho, C., Sun, Y. J., Park, K. Y., 2001, Hydrography and circulation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in Summer, 2000, The Sea, Korean J. Society of Oceanography, 6(4), 218-224. 

  23. Poff, N. L., Hart, D. D., 2002, How dams vary and why it matters for the emerging science of dam removal, BioScience, 52, 659-668. 

  24. Sheer, M. B. Steel, E. A., 2006, Lost watersheds: barriers, aquatic habitat connectivity, and salmon persistence in the Willamette and lower Columbia River basin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5, 1654-1669. 

  25. Yang, H. J., Kim, K. H., Kum, J. D.,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Korean J. Limnol., 34(3), 251-258. 

  26. Yun, S. T., Go, Y. G., Oh, G. H., Mun, B. C., Kim, H. G., 2003, Water quality assesment of the lower Yeongsan River System,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2(4), 259-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