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지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Methods for Teaching Bar and Line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3 no.3, 2020년, pp.259 - 276  

김소민 (인하대학교) ,  이종학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이전과 현재의 교육과정에 따른 3~4학년군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그래프 지도에서 교수학적 지도 방법이 어떤 방식으로 발생하고 전개되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각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지도서를 대상으로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단원을 분석하였고, 그래프 지도에서 통계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적인 교육과정 변천에도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의 지도 시기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공학의 활용을 최근의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바에 비교해서 교과서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통계에서 유의미한 개념인 자료의 변동성, 분포, 표본, 표본추출 등을 실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그래프 지도 및 통계 영역에서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didactic trans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s occurred and developed in the teaching of graph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ccording to the previous and current curricula. In this study, we analy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경미 외, 2015).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3~4학년군 교과서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이 다루는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에 대해서 제 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에 대한 내용의 전개 방식을 그래프 지도와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 5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 교과서의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단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 따라서 그래프 단원에서의 바람직한 지도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 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그래프 단원의 지도 방법을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 그렇지만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연구는 제 1차 교육과정에서 제 7차 교육과정까지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통계그래프 지도 방법을 분석한 연구(임지애, 강완, 2003),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그래프 지도를 분석한 연구(유현주,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을 분석한 연구(박영희, 2016)등이 있지만, 이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7차 이전의 교육과정에서나 특정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통계 영역을 다루는 방식이며, 최근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 그래프 지도 방법의 구체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초등 통계교육의 핵심 영역인 자료와 가능성 영역의 3~4학년군이 다루는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에 대해서 제 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변천에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다만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꺾은선그래프의 마지막 차시에서 학생 스스로 자료를 수집하여 표로 나타낸 후에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는 내용이 생활에서 알아보기라는 한 번의 활동이 있었다. 이후의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활동이 단원에 구성되어 있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는 모둠별로 우리 반 학생들과 하고 싶은 경기 종목에 대해서 조사할 항목을 정하고 이 항목을 기반으로 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한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활동에서 모둠별로 조사한 경기 종목에 따라 결과가 달라 질 수 있다는 측면에 대한 직접적인 지도를 하고 이를 통해 표본추출에서 핵심이 되는 통계적 변이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활동은 모둠별로 우리 반 학생들과 하고 싶은 경기 종목을 다르게 하는 것이 표본추출이 함의하고 있는 무작위성과 그에 바탕을 둔 통계적 추론의 본질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다만 꺾은선그래프 지도에서는 분포에 대한 특성을 탐색하거나 변화의 정도를 진술하고, 변화 추이를 예측하는 등의 활동 등이 있었지만, 집단의 퍼짐을 알아보는 내용은 없었다.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자료의 드러나지 않는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체적인 형태, 대칭, 첨도, 정점의 개수 등의 모양, 평균과 표준편차와 관련된 중심 및 퍼짐을 살펴보고 전체적인 패턴에서 이상치를 보여주는 군집, 틈, 특이점을 갖는가를 다각도로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그래프를 보고 알 수 있는 내용을 찾는 활동에서 분포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도록 하거나 자료 집단의 퍼짐 정도를 비교해보도록 하는 활동들이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대그래프의 특징은? 먼저, 조사한 수를 막대 모양으로 나타낸 그래프를 막대그래프라고 한다. 분리된 개별 막대로 양을 나타내는 막대그래프는 여러 개의 변량을 한꺼번에 각각의 크기를 비교하기 수월한 특징이 있다. 즉, 막대는 크고 작거나 많고 적은 것을 한눈에 살펴보기에 가장 좋다.
통계그래프는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 통계그래프는 표나 수식에서 찾기 어려운 자료에 내재된 분포의 패턴과 경향성, 관련성 등을 시각적으로 드러내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변이성을 갖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자료의 분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계적 문제해결을 위한 유용한 통계적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오래 전부터 대상에 대한 그래프 표현은 일상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통계학이 발달한 18C에 들어서 그래프는 자료 표현 및 분석의 일반적인 도구로 여겨지게 되었고, 그 이후의 통계 이론에서 그래프 표현 방법은 더 다양화되면서 발달되어 왔다. 최근 들어 다양한 그래프들의 표현 방법이 어느 정도는 형식화되었음에도 적절한 그래프의 선정과 시각적인 형식이 자료의 분석과 결과의 도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통계그래프의 장단점은?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통계그래프들은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중심, 퍼짐, 밀도, 왜도와 같은 분포의 여러 측면들의 포착을 용이하게 하지만, 대체로 범주형 변수의 자료를 표현하는데 많이 활용된다는 특징을 지니면서 분포의 여러 측면에 대한 통계적 사고를 경험하고 개발하는데 제한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자료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갖는 데 장애물이 되기도 한다(고은성, 탁병주, 2019). 그렇지만 학교 수학에서 실제적으로 통계그래프는 분류하기를 통해 구성한 분포를 표현함으로써 자료집합 전체의 특성이 한눈에 드러나도록 하는 도구이고, 나아가 초등 수학의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서 통계그래프는 양적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면서 질적으로도 자료와 가능성 영역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문교부(1987a). 산수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9호. 

  2. 문교부(1989b). 국민학교 3-1, 3-2, 4-1, 4-2 산수 교과서. 문교부. 

  3. 문교부(1989c). 국민학교 3-1, 3-2, 4-1, 4-2 산수 교사용 지도서. 문교부. 

  4. 교육부(199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5. 교육부(1995b). 국민학교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부. 

  6. 교육부(1995c). 국민학교 3-1, 3-2, 4-1, 4-2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7. 교육부(199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 

  8. 교육부(2000b). 초등학교 3-가, 3-나, 4-가, 4-나 수학 교과서. 교육부. 

  9. 교육부(2000c). 초등학교 3-가, 3-나, 4-가, 4-나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10. 교육인적자원부(2007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9호. 

  11. 교육인적자원부(2009b). 초등학교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12. 교육인적자원부(2009c). 초등학교 3-1, 3-2, 4-1, 4-2 수학 교사용 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13. 교육과학기술부(2011a).수학과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제2011- 361호. 

  14. 교육과학기술부(2013b).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5. 교육과학기술부(2013c).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수학교사용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16. 교육부(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7. 교육부(2018b). 초등학교 3-4학년군 3-1, 3-2, 4-1, 4-2 수학 교과서. 교육부. 

  18. 교육부(2018c). 초등학교 3-4학년군3-1, 3-2, 4-1, 4-2 수학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19. 강윤지, 백석윤(2020).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 정의 및 문장제에 사용된 표현의 문장 복잡성 비교 분석. 한국초둥수학교육학회지, 24(2), 231-257. 

  20. 고은성(2017). 실용 통계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한국과학창의재단. 

  21. 고은성, 탁병주(2019). 점그래프와 상자그림의 교수학적 분석: 통계적 추리 지도를 위한 교육적 효용성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29(4), 577-605. 

  22. 김응환(2004). 학교수학에서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51-65. 

  23. 남승인, 류성림, 권성룡, 김남균, 신준식(2017). 2015 개정교육과정에 의한 초등수학 교육론. 경문사. 

  24. 박경미, 박선화, 권점례, 윤상혁, 강현영, 이경진, 최지선, 강은주, 김민정, 이광상, 김재영, 이관연, 한준철, 김선희, 방정숙, 이경은, 도종훈, 이문호, 황선미, 임해미, 이화영, 조혜정, 박정숙, 이승훈, 박문환, 김성여, 임미인, 권영기, 서보억, 이은정, 김완일, 장혜원, 이만근, 권오남, 안현정, 이지윤, 강성권, 강태석, 김화경, 신동관, 오택근, 전인태(2015). 2015 개정 수학과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20005. 

  25. 박영희(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26. 배혜진, 이동환(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 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27. 안병곤(2015).현행초등수학교과서에대한 개선점과개선방향.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289-304. 

  28. 우정호(201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9. 유현주(2013). 2007 개정 초등수학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영역 교과서 분석-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81-97. 

  30. 이자미, 고은성(2019).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그래프 지도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2), 247-272. 

  31. 이경화(2016). 통계, 통계교육, 그리고 통계교육연구로의 시간여행. 수학교육학논총, 49, 41-56. 

  32. 이종학(2011).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99-327. 

  33. 임지애, 강완(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통계 그래프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65-86. 

  34. 장혜원, 박혜민, 김주숙, 임미인, 유미경, 이화영(2017). 비례식과 비례배분에 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분석. 학교수학, 19(2), 229-248. 

  35. 정은실(2012).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수학교육학연구, 14(3), 377-394. 

  36. 조난심, 김주훈, 김수동, 김진숙(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2종 교과용 도서 검정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원 연구보고서 99-2. 

  37. 조영미(2001). 학교수학에 제시된 정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탁병주, 이경화(2017).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39. 탁병주(2018). 통계적 소양으로서 자료의 분류 및 표현 활동의 의의 분석: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3), 221-240. 

  40. Franklin, C., Kader, G., Mewborn, D., Moreno, J., Peck, R., Perry, M., & Scheaffer, R.(2007).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instruction in statistics education (GAISE) report: A preK-12 curriculumframework. VA: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1. Konold, C., & Pollatsek, A. (2002). Data analysis as the search for signals in noisy process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 259-289. 

  42. Peebles, D., & Ali, N. (2015). Expert interpretation of bar and line graphs: the role of graphicacy in reducing the effect of graph format. Frontiers in Psychology, 6, 1-11. 

  43. Tukey, J.W. (1976). Exploratory Data Analysis, Princeton University and Bell Telephone Laboratories. 

  44. Watson, J., & Fitzallen, N. (2010). The Development of Graph Understanding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New South Wale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45. Weissgerber, T. L., Milic, N, M., Winham, S. J., & Garovic, V. D. (2015). Beyond Bar and Line Graphs: Time for a New Data Presentation Paradigm. PLOSBiology 13(4), 1-10. 

  46. Whitaker, D., & Jacobbe, T. (2017). Students' Understanding of Bar Graphs and Histograms: Results From the LOCUS Assessment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25(2), 90-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