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코핑 고찰 방법을 통한 산욕기 산모 건강관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ostpartum-women Healthcare : A Scoping Revie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41 no.3, 2020년, pp.32 - 54  

이도은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  박한송 (국립중앙의료원 한방내과) ,  진준수 (국립중앙의료원 한방내과) ,  민백기 (국립중앙의료원 침구과) ,  윤인애 (국립중앙의료원 침구과) ,  서효원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서주희 (국립중앙의료원 한방신경정신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coping review is to describe the research trends of postpartum healthcare for postpartum women, as well as to identify further direction for research in the area of postpartum healthcar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Scoping Revie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체계적 문헌 고찰이 아니기에 질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들이 얼마나 유효성이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체 영역을 포괄적으로 살펴보아 현재까지 연구가 되지 않은 부분이 무엇인지, 연구 흐름에 어떤 변화 과정이 있었 는지, 앞으로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기에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추후 후속연구로 중재 프로그램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데이터를 정리하여 탐구하고, 질 평가를 통해 실질적으로 효과가 높은 프로그램들에 대한 탐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문헌고찰 방법 중 스코핑 고찰(Scoping review)을 활용하여 산후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요약된 결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 현황을 파악할 뿐 아니라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영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후 산후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서비스, 정책 방향을 세우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들의 산후 건강관리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 연구를 스코핑 고찰방법으로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로 스코핑 고찰은 연구 영역에서 관련 개념의 연구경향과 의미 있는 연구주제를 도출하기 위한 시도로써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모두 포함시키며 해당 영역의 기반이 되는 핵심 개념과 이용 가능한 근거의 주요 자원 및 그 유형을 빠르게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욕기 산모들의 산후 건강관리와 관련된 국내 학술지 연구현황 파악 및 향후 연구 및 정책 방향 제시를 위해 스코핑고찰을 하였으며, Arskey와 O’Malley의 framework에서 제시한 5단계를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 스코핑 고찰 방법은 탐구하고자 하는 연구 영역에서 관련 개념의 연구경향과 의미 있는 연구주제를 도출하기 위한 시도로써 다양한 유형의 연구를 모두 포함시키며 해당 영역의 기반이 되는 핵심 개념과 이용 가능한 근거의 주요 자원 및 그 유형을 빠르게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괄적이고 폭넓은 선택 기준을 가지기 때문에 대상 연구에 대한 엄격한 질 평가 과정은 거치지 않으나 2인 이상의 연구자가 분석 대상 연구의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적합한 대상 연구를 선정하도록 하며, 최종 분석 대상 연구를 선택할 때 모든 원문을 확보하여 읽을 것을 강조하고 논문의 초록만을 읽고 결정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요구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들의 산후 건강관리와 관련된 연구 동향은 어떠하며, 추후 필요한 연구 방향과 실질적인 도움이 요구되는 영역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것들을 바탕으로 추후 한의약 산후건강관리사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코핑 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산욕기 산모의 산후 건강관리’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1. 산후 건강관리와 관련한 국내 연구는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고, 특히 간호학과 한의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2. 지역적으로는 서울과 경기권의 연구가 많았고, 수도권 외 지방과 낙후지역의 산모관리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3. 연구 방법론적으로는 설문을 기반으로 한 조사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재 및 실험 논문이 많이 진행된 바 있으나 산후관리 사업에 반영할 수 있는 산모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볼 질적 연구 영역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4. 연구 주제로는 크게 산후관리 특성, 산후관리 중재 2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후관리 특성 영역에서는 산모들의 정신 건강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아 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산후관리 중재 영역에서는 한의학적 중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5. 향후 한의학적 산후 중재 프로그램에서 정신건강 관리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질적 연구를 통해 산모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들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산욕기란? 산욕기는 산모의 신체 회복과 모성으로의 역할 변화 등 신체와 심리의 재통합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로, 분만 후 첫 6주를 의미한다.1) 이러한 산욕기에 이루어지는 산후관리는 임신과 분만으로 인한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로부터 산모의 건강을 회복 하는 동시에 아기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산후관리란? 산욕기는 산모의 신체 회복과 모성으로의 역할 변화 등 신체와 심리의 재통합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로, 분만 후 첫 6주를 의미한다.1) 이러한 산욕기에 이루어지는 산후관리는 임신과 분만으로 인한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로부터 산모의 건강을 회복 하는 동시에 아기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1st ed. Seoul:Euiseongdang. 2012:691-2, 765-70, 798.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renatal and Postnatal Car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236(0):37-50. 

  3. Lee TK. A Literary Study of the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1;14(1):209-28. 

  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3rd ed. Seoul:Euiseongdang. 2016:765-7. 

  5. Bae GM, Lee IS.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n Postpartum Symptom among Korean, Korean resident in America and American.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10;23(2):131-44.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2017' Casebook on Maternity Support Policy of Korea Local Governments. Seoul: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332, 334, 337, 344-5. 

  7. Arksey H, O'malley L.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 J Soc Res Methodol, 2005;8(1):19-32. 

  8. Thomas A, Lubarsky S, Durning SJ, Young ME. Knowledge syntheses in medical education: demystifying scoping reviews. Acad Med. 2017;92(2), 161-166. 

  9. Zaza S, Wright-De Aguero LK, Briss PA, Truman BI, Hopkins DP, Hennessy MH, et al. Data collection instrument and procedure for systematic reviews in the Guide to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Am J Prev Med. 2000;18(1):44-74. 

  10. Ahn SH.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J Korean Acad Nurs. 2005;35(1):37-46. 

  11. Yoo EK. A Study on functional Status after Childbirth under the Sanhujori.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9;5(3):410-419. 

  12. Kim TK, Yoo EK.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r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98;4(2):145-61. 

  13. Cho EJ. Subjective Sleep Quality in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During the Late Postpartum Period.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9;15(2):108-20. 

  14. Song JE. Factors Related to the Childcare Stress among Primiparous Women who delivered at Women's Health Hospital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9;13(2):158-70. 

  15. Lee JY, Kim H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tpartum Care Mobile Application for First-time Mother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7;23(3):210-20. 

  16. Koh HJ, Lim KH.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Child Health Nurs Res. 2002;8(2):217-28. 

  17. Kim LH, Kwon BY, Kim SY. A Clinical Study on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of Postpartum blues and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12(2):27-35. 

  18. Kim ME, Hur MH.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 at Six Months after Delivery.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4;20(4):266-76. 

  19. Jung MH, Kim J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11(1):38-45. 

  20. Lee JW, Eo YS, Moon EH. Effects of Self Efficacy, Body Image and Family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Early Postpartum Mot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6):4011-20. 

  21. Lee SO, Yeo JH, Ahn SH, Lee HS, Yang HJ, Han MJ. Postpartum depressive score and related factors pre-and post-delivery.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0;16(1):29-36. 

  22. Bak JY, Park JK, Park KY, Kim TH. A Study about the Satisfaction of Oriental Medical Postpartum Care. The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2009;22(4):173-86. 

  23. Choi SW, Kim JY. Effect of Oriental Postpartum Management on the Hematology and Blood Chemistry in Puerperium Maternity. J Korean Oriental Med. 2001;22(4):121-30. 

  24. Moon SH, Kim JY. The Effect of the Oriental Postpartum Care in Hemoglobin Changes of Maternity. J Korean Oriental Med. 2002;22(4):112-19. 

  25. Park SM, Yoo DY, A Clinical Study on Three Cases of Anemia in Postpartum Women Treated by Gamisaengwha-tang with Deer Antler. J Korean Obstet Gynecol. 2011;24(3):212-21. 

  26. Lee EH, Short-term Clinical Observation of the Early Postpartum Low Back Pain in the Korean Medical Hospital. J Korean Obstet Gynecol. 2012;25(2):174-84. 

  27. Park KY, Lee AY, Ban JH, Park JK, Lee EH. Effects of Herbal Medicine on Breast-feeding - Analysis of Marker Substances in Saenghwa -tang by HPLC and LC/MS/MS -,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4):48-65. 

  28. Kim PW, Kim AN, Jang HC, LEE EH.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Symptoms of the Postpartum Women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during Six Weeks after Childbirth. J Korean Obstet Gynecol. 2017;30(4):111-34. 

  29. Lee AY, Park GY, Lee EH. Changes of Depression and Fatigue Level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in Early Postpartum Women. J Korean Obstet Gynecol. 2013;26(2): 33-45. 

  30. Hwang YS, Park NC, Lee JW, Yang HR, Park SH, Hwang DS, et al. Analysis on Outpatients with Postpartum Disease at the Korean Gynecology Clinic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Hospital.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3):61-78. 

  31. Choi SY, Kim CW, Kim NH, Park KS, Hwang DS, Lee JM, et al. A Study on the Changes of Early Puerperium Symptoms and Blood Stasis Index of Women Taking Gungguijohyeol-eum-gamiba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1):1-19. 

  32. Kim ES, Lee JM, Lee CH, Cho JH, Jang JB, Lee KS. A Case Report of Postpartum Disease Induced by Inadequate Postpartum Care. J Korean Obstet Gynecol. 2007;20(3):238-45. 

  33. Kim GH, Lee JH, Cho HB, Choi CM, Kim SB. A Study on the Effect of Omibaekchul-san on Postpartum Edema-Comparison with Saenghwa-tang. J Korean Obstet Gynecol. 2015;28(2):91-108. 

  34. Kim JH, Park MK, Park MH. Effects of a Postpartum Care Program for Postpartum Women on Postpartum Activity and Postpartum Discomfort in Primiparous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8;14(1):36-43. 

  35. Park MK, Lee YS. Effects of a Postpartum Care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of Postpartum Recovery in Primiparous Wome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06;11(2):127-36. 

  36.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3;19(3):129-41. 

  37. Bang KS, Huh BY, Kwon MK.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Child Health Nurs Res. 2014;20(1):11-19. 

  38. Shin HS, Kim SH, Kwon SH. The Effects of Education on Primiparas' Postpartal care.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0;6(1):34-45. 

  39. Kim JK, Choi HM, Ryu EJ.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1):90-99. 

  40. Yun SE, LEE HK.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2;18(2):75-84. 

  41. Kim DH, Ahn HS. Th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Six Months Postpartum on Body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11;17(6):1048-58. 

  42. Choi MS, Lee EJ. Effects of Foot-Reflexology Massage on Fatigue,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J Korean Acad Nurs. 2015;45(4):587-94. 

  43. Lee SO.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the Postpartum Mother.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4;10(3):244-51. 

  44. Lee SO, Kim MO, Ahn SH, Cho YR.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Mental Health.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4;10(1):15-22. 

  45. Jeong NO. Effects of an Incontinence Prevention Program on Postpartum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9;15(3):177-85. 

  46. Kim SH, Sung KM.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Depression and Fatigue among Early Postpartum Mothers. J. East-West Nurs. Res. 2019;25(2):91-102. 

  47. Yun SE. Lee SO. Lee HK.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Stres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 2011;14(2):45-54. 

  48. Park YC, Song JY, Choe BK, Park JH, Oh DJ, Lim OG, et al. Somatization and Poor Adherence to 'Doing the Month' Practices in Korean Women with Somatoform Disorders. Korean J Psychosomatic Med. 2008;16(2):103-11. 

  49. Kim MJ, Kang KJ. Effects of Sanhujori and Menopausal Adaptation on Health-related QOL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4;20(1):62-71. 

  50. Yoo EK, Lee SH, Kim M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Traditional Postpartal Care in Korea and Present Health Status of Chronic Arthritis Female Patient. Korean J Women Health Nurs. 1998;4(2):217-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