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3, 2020년, pp.111 - 133  

허영선 (광산중학교) ,  김남은 (금사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병행 삼각 설계(concurrent triangulation design)의 절차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기준틀(UNESCO의 TLO)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TLO의 9가지 주제에 대해 빈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시민교육 내용은 2015 개정 가정과 12종 교과서 전체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제가 다뤄진 비율 중 사회·정서적 영역은 54.6% 정도를 차지하였다. 특히, TLO 4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TLO 5, TLO 1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2종 가정과 교과서에서 추출된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를 가정과 학습 영역별로 분류해 본 결과 아동·가족생활 영역(94개)은 모든 학습 주제와 가장 큰 관련성을 보였으며, 식생활(13개), 의생활(13개), 주생활(15개), 소비생활(14개)은 비슷한 분포로 학습 주제를 나타내었다. 아동·가족생활 영역은 청소년기 발달과 특징, 가족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 양립,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에서, 식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에서, 의생활 영역은 의복 관리와 재활용에서, 주생활 영역은 주생활 문화와 주거 공간 활용, 주거생활과 안전에서, 소비생활 영역은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내용 요소가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와 관련성이 있었다. 이처럼 세계시민교육 학습 주제와 가정과 모든 학습 영역별 학습 내용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가정과에서는 세계시민교육과 가정교과와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어떻게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ion of Home Economics textbook and examine the relev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To this end,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cluded in th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5 가정과 중학교 교과서의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2015 가정과 교과서에는 세계시민교육의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 교과 영역별로 차이는 있는지, 세계시민교육 주제별 학습 내용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 따라서 가정과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현장에서 가정교과가 세계시민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직접적인 방안 마련을 위하여 가정과 교과서에서 담고 있는 내용 요소 간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교과와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세계시민교육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이렇듯 세계시민성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맥락, 세계시민성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발현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성을 전 인류의 번영과 기본권 향상을 위해 서로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Dower, 2002)를 만들기 위해 전 세계 공동의 사회문제와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필수역량(Cogan, 2000)으로 정의한다.
  • 본 연구는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가 세계시민교육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그 관련성을 살펴 가정교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가 세계시민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치나 태도 역량을 폭넓게 해석하였고, 국가적⋅세계적 관점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제시되지 않더라고 내포된 의미에서 맥락적 관련성까지 추출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가정과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세계시민교육이 현장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적용될지 파악하여 앞으로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개선 및 교과서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세 번째 분석 단계에서는 분석 결과를 코딩에 따른 수량적인 측면에서 해석하거나 질적인 측면에서 내용이 분류된 범주의 내용 및 서술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각 내용과 자료들의 분류된 결과를 통해 각 교과서의 내용들이 TLO의 내용들이 각각 어느 비중으로 다루어지는지 살펴보았고,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어떠한 관점을 다루고 있는지에 관련된 의미를 해석하고 그 서술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특성을 토대로 세계시민교육을 학습자들이 실생활 속 실천적 문제를 통해 세계적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보다 나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이라 정의하였다.
  • ‘지역⋅국가⋅세계의 체계와 구조’ 영역과 관련된 가정과 교과서 내용에서는 청소년기 발달과 특징, 가족 관계, 성폭력과 가정 폭력 예방, 변화하는 가족과 건강가정,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 양립,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 내용 요소에 쳐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진로탐색과 세계시민의 본보기 및 사례에서 존 우드의 예시를 제시하여 진로 탐색의 의미나 이론적인 과정을 넘어서 우리 삶에서 개인만을 위한 삶의 가치가 아니라 사회와 세계를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인간이 살아가는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하였다. 하지만 가정과 교과서에서 이런 학습 내용이 많이 제시되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과 교육에서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가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 이유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성격에서 “자신과 가족, 지역사회, 자원, 환경과의 건강한 상호작용을 통해...(중략)...이웃 공동체, 자원과 환경으로까지 확대하여 건강하게 관계 맺는 능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MOE, 2015, p. 3).”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역량 강화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면서 교과 교육의 가치⋅태도 측면에서 목표와 관련 있는 정의, 배려, 공동체 의식, 책임 등 세계시민 교육의 요소를 내용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과 교육에서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가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시민교육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정책 및 방안 등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들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세계시민교육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정책 및 방안 등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세계시민교육이 강화된 배경에는 유엔(United Nations[UN])과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Cho, Kwak, Lee, Lee, & Seo, 2016).
UNESCO가 가지는 철학은? 세계시민교육이 강화된 배경에는 유엔(United Nations[UN])과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Cho, Kwak, Lee, Lee, & Seo, 2016). 세계시민교육을 이끌고 있는 UNESCO는 창립 이래 ‘영구적 세계평화는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평화교육, 인권교육, 국제이해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활동을 하며 세계시민교육의 토대를 마련해 왔다(Jung,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Seoul: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2.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2017). 새로운 교육과정에 담은 세계시민교육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new curriculum]. Seoul: Asia-Pacific Centre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under the auspices of UNESCO. 

  3. Bae, U. (2020). A Study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process to foster Sustainable Housing Val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4. Bae, Y. (2013). The roles of World Citizens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2), 145-167. 

  5. Berg, B. L., & Lune, H. (2001). An introduction to content analysis. In B. L. Ber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4th ed. (pp. 238-267). Boston, MA: Ally and Bacon. 

  6. Cho, J., Kwak, Y. S., Lee, H. W., Lee, J., & Seo, M. H. (2016). 세계시민교육의 측정 지표 개발 및 국제적 확산 지원방안 탐색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able indica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shared uses].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7. Choi, S. Y., Lee, Y. S., Kim, E. J., Kim, S. H., Lee, J. S., & Cho, J. S. (2019). Analysi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nd 'Housing' contents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1), 115-136. 

  8. Cogan, J. J. (2000). Citizenship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Setting the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education, 1. 

  9. Dower, N., & Williams, J. (Eds.). (2002). Global Citizenship: A Critical Introduction. Taylor & Francis. 

  10. Han, J. (2018). Analysis of the democratic civic competencies of activity tasks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according 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1), 79-97. 

  11. Han, K. G. (2019). 한국인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Global Citizenship Eduation for Korean]. Journal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14(2), 1-4. 

  12. Hanson, W. E., Creswell, J. W., Plano Clark, V. L., Petska, K. S., & Creswell, J. D. (2005).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s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224-235. 

  13. Heo, Y. S. (2020).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14. Huh, Y. S. (2004). An essay on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 A theoretical ba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5(3), 165-196. 

  15. Hur, C. S. (2017). Understand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Critical Pedagog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9), 225-234. 

  16. Hyun, J. G. (2020). A comparative stud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Content analyses of ethic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7. Jang, D. W., Lee, Y. J., & Lee, S. Y. (2020). Analysis of ESD related content in clothing management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1), 89-105. 

  18. Ju, S. E. (2016). The analysis of content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ed on the units of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2), 79-93. 

  19. Jung, M. A. (2016). A content analysis on old ag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Jung, W. T. (2015). 글로벌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014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추계학술대회 (pp. 1-79). Seoul: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1. Kim, E. K., & Cho, J. S.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DGs-ES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area of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2), 77-97. 

  22. Kim, G. (2017). Re-reading migration in World Geography textbook: Towards just Global Citize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5(3), 123-138. 

  23. Kim, H., Yu, K., Jung, J., Shin, J., & Kim, D. (2020).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contents of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in South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1973-2020. Korea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Association, 68, 223-254. 

  24. Kim, J. H. (2015). Critical understanding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ost 2015 context.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47(1), 59-88. 

  25. Kim, N. E. (2020). Contents analysi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family life field of Practical Arts Education: Focused on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textbook.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3), 65-86. 

  26. Kim, N. J., & Park, C. G. (2015).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hich cosmopolitanism and Global Citizenship should we follow? Ethics Research, 1(105), 1-34. 

  27. Kim, Y. H. (2004).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home and education: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mong cross-curricular learning. 2003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pp. 69-81). Seoul: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 Lee, H. N.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Family Life' area.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4), 81-95. 

  29. Lee, S, H., Kim, M. S., Jung, B. W., Park, Y., Jeo, Y. J., Seong, S. H., & Lee, S. J. (2015).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 과제[The Actual Conditions and Practices of Global Citizen Educatio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R2015-25. 

  30. Lee, Y. S., & Jang, S. O. (2011). Content Analyses of Housing Area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2), 131-148. 

  31. Min, D. S. (2016). 세계시민에게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What is the education needed for the Global Citizens?]. Media & Education, 6(1), 40-46. 

  32.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해설 [Commentary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Notice No. 11-1342000-000226-01). Sejong: Author. 

  33. Ministry of Education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cs curriculum I]. Notice No. 2015-74 [Separate 10]. Sejong: Author. 

  34. Park, H. B., & Cho, H. S. (2016).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97-227. 

  35. Park, N. R., & Cho, J. S. (2010).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Sustainable Residence Created with Neighbo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3), 1-18. 

  36. Sim, H. J., & Kim, C. M. (2018). Research trends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 An analysis and its implication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5(3), 5-29. 

  37.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3).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 Emerging Perspective. Paris: Author. 

  38.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4).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eparing learners for the challen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Paris: Author. 

  39.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5). Incheon Declaration. Incheon: Author. 

  40. Yang, D. H. (2018). The effects on developing Global Citizenship of Pro-Con class utilizing global issu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41. Yang, J. S., & Yoo, T. (2019). OECD analysis on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key competencies propos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1(2), 113-135. 

  42. Yoo, H. R. (2015). A textbook analysis of financial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3. Yoon, N. A. (2019). Critical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teacher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ward a typology of perceptions and practi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4. Yuk, K. M. (2020).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design thinking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Focused on the units of sustainable consumptio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1), 145-16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