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4 no.1, 2020년, pp.37 - 46  

최수길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진세영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박상민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남영재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대학원) ,  김시국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In this study, operation experiment using smoke detector sensitivity tester and paper fire experiment specified in UL 268 standards were conducted to 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실험만으로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분석하기에는 연구결과의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UL 268 실화재시험 중 국내 감도시험 시 사용되는 동양호지와 유사한 종이를 시험화원으로 사용하는 종이화재시험을 진행하여 경향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UL 268 시험기준(7)을 준용하여 실시하였다.
  • 기존 UL 268 관련 논문들의 경우 실험장의 규모 및 실험 조건들을 충족하지 못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UL 268에서 규정한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온·습도 조건 및 공기유동 조건 등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작업을 진행 후 실험을 실시하여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즉, IAQ S1 및 IAQ S2의 공기질 측정기의 감지능력 및 측정범위 등의 성능차이로 인해 동일 실험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값이 나타나 어떤 측정기가 정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여부 판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기질 측정인자들을 대상으로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하여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향후 본 연구에 사용된 종이화재 이외에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다양한 화원을 대상으로 실화재실험을 진행하여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및 활용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실내공기질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분석을 통해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실내공기질 측정 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 실험과 UL 268 종이화재 시험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 실험을 진행하여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National Fire Agency 119, "National Fire Information Center Fire Statistics" (2018). 

  2. NFSC 203, "Fire Safety Standards for Automatic Fire Alarm System and Visual Alarm Equipment" (2019). 

  3. C. H. Lee, H. S. Lee and S. K. Kim,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Chamber Due to Dust and Wind Velocity",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1, pp. 50-57 (2017). 

  4. H. S. Lee and S. K. Kim,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Chamber Due to Dust Colo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5, pp. 44-52 (2017). 

  5. H. Y. Jang and C. H. Hwang, "Revision of the Input Parameters for the Prediction Models of Smoke Detectors Based on the FD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2, pp. 44-51 (2017). 

  6.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2018). 

  7.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268 Standard for Safety Smoke Detectors for Fire Alarm Systems" (2016). 

  8. http://rm.samsungfire.com/pub/html/2002/2002wtr11.html. 

  9. Y. G. Park,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bustion Risk Characteristics of Industry Using Insulating Materials", Academy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oseo University, pp. 36-37 (2005). 

  10. J. H. Lee, "A Study on the Multi-optical Smoke Detector Chamber", Ph.D.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oseo University, pp. 1-118 (2013). 

  11. K. H. Kim and C. H. Hawng,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a Ionization Smoke Detector to Improve Predictive Performance of the Fire Mode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7, No. 4, pp. 27-34 (2013). 

  12. National Fire Agency 119 Notice (No. 2017-5), "Technical Standards for Formal Approval and Product Inspection of Fire Detector"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