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기록조직 연구의 성과와 과제
Research Outcomes and Limitations of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4, 2020년, pp.129 - 146  

이은주 (동의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노지현 (부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조직의 의미와 지식 범주에 대해 고찰하고, 기록조직과 관련된 그간의 연구성과를 분석하여 학문적 공과(功過)를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록조직의 범주로 간주되는 150편의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여 이들로부터 정제된 키워드를 추출한 다음, 이를 대상으로 기록조직에 사용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용어 분석에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통해 통시적인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 등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록조직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함께 방법론이나 연구대상, 연구주제가 갖는 한계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come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studies on records and archives organization published in Korea. In particular, it will serve a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ontribution of this area of research to the improvements and changes in the country's records manag...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작업을 수행하였다.6) 이를 통해 추출된 키워드의 특성과 그들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록조직과 관련된 연구가 어떤 부분에 주된 관심을 가져왔으며, 각 용어별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용어 분석에 이어, 키워드가 사용된 맥락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동일한 키워드가 출현한 연구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 앞으로도 기록관 간의 협력체계나 공유를 위한 논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또 지속되어야 하겠지만, 이러한 논의는 반드시 더 큰 세계로의 개방과 공유, 연결을 지향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기록관리 표준을 RiC과 같은 개체-관계 모델로 변환하고, 기록관리 데이터를 온톨로지나 링크드 데이터를 발행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결과적으로는 더 큰 세계(웹)에 연결함으로써 기관의 정체성을 극명하게 드러내 보이고 데이터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록조직 연구에서도 앞으로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실험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 이러한 기록조직의 목적은 첫째,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둘째, 기록에 대한 이용자의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는데 있다. 기록의 생산맥락과 내용, 구조, 관리이력, 관련 기록물 등의 정보를 분석하여 관리함으로써 기록의 진본성과 증거 가치를 유지하고, 또 그러한 정보를 검색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현재 혹은 미래의 잠재적 이용자가 원하는 기록을 쉽게 찾아 그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있도록 하는데 기록조직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생산 혹은 수집된 기록의 관리와 활용에 있어 기록조직이 핵심 역할을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기록조직 연구에 등장한 용어 분석 결과를 보완하여 해석해 보기 위해, 이번에는 연구에서 다룬 실제 내용에 대한 분석도 시도하였다. 용어만으로는 실제 다루어진 내용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또 동일한 용어가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그 맥락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용어 분석의 결과를 참조하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추가하였다.
  • 이에 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세 가지 유형의 연구로 집약되었다. 먼저, 메타데이터를 키워드로 가진 연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구는 구술사 기록물, 축제 기록물, 인권 기록물, 대통령 기록물, 사진 기록물, 시청각 기록물, 영상기록물, 위안부 관련 기록물, 성적 소수자 기록물 등과 같이 대상을 달리하면서 이들 기록을 기술하기 위한 요소 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였다. 연구과정도 일반적으로 ① 해당 기록물의 특징과 유형 분석, ② 관련 표준 및 사례 분석, ③ 메타데이터 요소 제안 등의 순으로 패턴화 되어 있었으며, 요소 개발에 그치지 않고 메타데이터 스키마나 데이터 모델링까지 다룬 연구들도 있었으나 연구의 핵심은 여전히 요소 개발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앞서의 선행연구 분석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수집범위를 특정 학술지에 국한시키지 않고 기록조직을 주제로 삼고 있는 관련 연구를 망라적으로 수집하고자 하였다. 이에 2장의 <그림 2>에서 정리한 기록조직 범주에 포함되는 다양한 용어들을 검색 키워드로 활용하여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RISS 등에서 광범위한 검색을 실시하였고, 해당 논문의 참고자료를 추적해 가면서 그 범위를 확장해 나갔다.
  • 용어 분석을 통해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명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를 중시하면서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지금부터는 기록조직 연구들이 보였던 학문적 공과(功過)에 대해 짧게나마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학술지 논문 150편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용어 분석을 통해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명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를 중시하면서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지금부터는 기록조직 연구들이 보였던 학문적 공과(功過)에 대해 짧게나마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이에 기록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성과를 세밀하게 살펴보되, 이 과정에서 이들 연구가 우리나라 기록관리 현장의 개선이나 이에 필요한 이론적 논의의 확장에 얼마나 기여하여 왔는지를 염두에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학술지 논문 150편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용어 분석을 통해서는 기록조직 연구에서 자주 사용된 키워드와 그 관계를 명시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내용 분석에서는 용어 분석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맥락과 의미를 중시하면서 연구의 실제적인 내용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 5) 공공영역과 민간영역, 영구기록물관리기관과 공공기관의 기록관, 현용기록과 보존기록 등에 따라 기록조직의 적용 범위와 방식, 내용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록조직의 범주로 간주할 수 있는 주요 내용을 정리하여 도식화한 결과는 <그림 2>와 같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장에서는 그간의 기록조직 연구에서 특히 관심을 가져왔던 분야가 무엇이며 주로 어떠한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는지 보다 깊숙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록관리 연구동향을 다룬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기록관리학 전반에 대한 거시적 접근을 시도했을 뿐 세부적인 연구동향 파악에는 소홀했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기록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기존의 연구성과를 세밀하게 살펴보되, 이 과정에서 이들 연구가 우리나라 기록관리 현장의 개선이나 이에 필요한 이론적 논의의 확장에 얼마나 기여하여 왔는지를 염두에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발표된 학술지 논문 150편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용어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 1)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의 교과과정이나 공공기록물법 시행규칙에서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양성을 위한 핵심 영역으로 ‘기록조직론’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 및 실무에 기반하여 기록조직의 의미와 지식 범주를 도출하고, 기록조직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그간의 학문적 공과(功過)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Ro-Sa & Kim, You-Seung (2009).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87-100. 

  2. Choi, Yi-Lang (2015).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al studi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3, 147-177. 

  3. Kim, Geon, Kim, Soojung, Youn, Eunha, & Hui, Jeong Han (2013). Research trends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3(3), 199-229. http://dx.doi.org/10.14404/JKSARM.2013.13.3.199 

  4. Kim, Gyu-Hwan & Nam, Young-Joon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217-239. http://dx.doi.org/10.4275/KSLIS.2009.43.4.217 

  5. Kim, Gyu-Hwan, Jang, Bo-Seong, & Yi, Hyun-Jung (2009).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3), 417-439. 

  6. Kim, Hee-Jung (2005). A study on comparison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207-224. 

  7. Kim, Heesop & Kang, Bora (2018).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s of the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4), 183-204.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4.183 

  8. Kim, Ik-Han (2004). Evaluating records and their descriptive elements in the records management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record and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0, 3-26. 

  9. Kim, Jung-Ha (2009). A study on the concept of records-archives and on the definition of archival term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3-40. 

  10. Kim, Pan Jun & Suh, Hye-Ran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of electronic records research in Korea using profi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29-50. 

  11. Kim, Sung Hwan & Oh, Hyo-Jung (2018).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analysis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based on online public international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2), 165-189. http://dx.doi.org/10.4275/KSLIS.2018.52.2.165 

  12. Korea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008). Dictionary of records and archival terminology. Seoul: The Institute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13. Korea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18). Record and archives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Seoul: JoEunGlTer. 

  14. Kwag, Jeong (2007). Metadata for records management in the current and semi-current stag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6, 3-37. 

  15. Lee, Jae-Yun, Moon, Ju-Young, & Kim, Hee-Jung (2007).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al science in Korea with text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45-372. 

  16. Lee, Ju-Yeon (2010). A case study on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193-214. 

  17. Lee, Soo-Sang (2014).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ung. 

  18. Lee, Yedana (2020). A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17(1), 253-273. 

  19. Nam, Tea-Woo & Lee, Jin-Young (200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451-472. http://dx.doi.org/10.16981/kliss.40.2.200906.451 

  20.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20). Guidelines for managing records. Daujeon: National Archives of Korea. 

  21. Park, Hee Jin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in North America through the review of Archivar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4), 99-125. http://dx.doi.org/10.14404/JKSARM.2014.14.4.099 

  22. Park, Jun Hyeong, Ryu, Pum mo, & Oh Hyo-Jung (2018). Timeline-based topic trend analysis of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8(1), 29-47. http://dx.doi.org/10.14404/JKSARM.2018.18.1.029 

  23. Park, Sun-hee (2019). A study on improving record contextual information and developing integrated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Information and Cultural Studies, 9, 55-96. 

  24. Seol, Moon-Won & Cho, Eun-Hee (2010). An evaluation of practical implementability of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0(2), 215-243. 

  25. Seol, Moon-Won (2012).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records and archives classifi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3), 203-232. 

  26. Sohn, Hye In & Nam, Young Joon (2016).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of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1), 85-110. http://dx.doi.org/10.3743/KOSIM.2016.33.1.0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