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항만 도입에 대한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 간의 인식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 광양항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ntroducing Smart Port between Port Operators and Users in Gwangyang Port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6 no.3, 2020년, pp.99 - 114  

최성희 (순천대학교 미래융합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외 선진항만들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중심으로 터미널의 완전자동화뿐만 아니라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항만은 항만 자동화를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으로 항만 운영의 효율성 증대 및 이익 극대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 및 친환경 항만 구축 등을 지향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항만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해외 선진항만에 비해 다소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비용, 서비스, 시간, 안전·환경 등 스마트항만의 도입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자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항만의 도입 결정요인과 도입의 찬성과 반대 의견에 있어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변수가 투입되었을 때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용, 시간, 안전·환경요인에서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서비스 요인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항만 운영자의 경우 스마트항만 구축으로 효율적인 작업 및 시간 관리, 안전사고 감소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나, 항만 이용자의 경우 스마트 항만이 가져올 부정적인 효과가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결론에서 스마트항만 도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seas advanced ports are promoting smartification, as well as full automation of the terminals surrounding container terminals. A smart port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pursues increased operational efficiencies, maximization of profit, efficient use of energy, and constru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용, 서비스, 시간, 안전, 환경 등 스마트항만 도입 결정요인이 광양항의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변수가 투입되었을 때, 도입 찬성과 반대 의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용, 서비스, 시간, 안전·환경 등 광양항의 스마트항만 도입 결정요인과 도입 찬성과 반대 의견 간의 관계에 있어 항만 운영자와 이용자의 조절변수가 투입되었을 경우 조절작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를 분석해 보면, 스마트항만의 구축 필요성 및 도입 효과, 전략, 해외 선진항만의 스마트항만 운영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항만을 관리·운영하고 있는 항만 운영자와 항만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간의 스마트항만 도입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현명.홍상태.문상영(2019), 항만 자동화 터미널의 효율성 분석 연구, 물류학회지, 제29권 제5호, 11-22. 

  2. 관계부처 합동(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1-49. 

  3. 관계부처 합동(2019),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안) 1-24. 

  4. 관계부처 합동(2020),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 해상물류를 중심으로, 1-16. 

  5. 김근섭.이기열.김보경(2018), KMI 동향분석, Vol.74, 1-14. 

  6. 김학소(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항만물류 대응전략, 국제상학, 제33권 제4호, 239-254. 

  7. 김형근(2018), 중국 로보틱 항만 현황과 우리나라 자동화 항만 구축 필요성 연구, 중국학, 제64집, 283-296. 

  8. 박귀분.최용석.김선구(2020), 스마트 광양항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6권 제1호, 101-116. 

  9. 박문수.김장현(2018), 4차 산업혁명과 인천시 항만의 스마트 물류 적용에 관한 탐색적 접근, 물류학회지, 제28권 제4호, 47-59. 

  10. 원승환.조성우(2020), 컨테이너 터미널 자동화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8권 제2호, 1-22. 

  11. 웨이치.원승환(2018), 컨테이너 터미널에 적용 가능한 인ㅌ더스트리 4.0 기반 제품/서비스의 개념 설계 및 중요성 분석, 로지스틱스연구, 제26권 제3호, 91-110. 

  12. 유지원.김율성(2020),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에 대한 관련 주체별 인식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4권 제3호, 195-202. 

  13. 이언경외 4인(2017), 4차 산업혁명시대 항만물류산업 고도화 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 이언경.이수영(2019), 4차 산업혁명시대 국내 스마트항만 수준 측정과 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5권 제2호, 323-348. 

  15. 이태휘(2020), 스마트항만의 해외사례 분석과 정책 시사점; 유럽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집 제1호, 77-90. 

  16. 장명희.김윤미(2019), 해운항만산업의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혁신저항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5집 제4호, 121-146. 

  17. 전상현외 3인(2020), 컨테이너 터미널의 사물인터넷(IoT)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집 제2호, 1-18. 

  18. 정영환외 3인(2008), 우리나라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발전을 위한 핵심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4호, 97-114. 

  19. 정태원(2018), 스마트 항만의 선진사례 분석과 시사점, 해운물류연구, 제34권 제3호, 489-510. 

  20. 조성우.원승환(2014), 유럽의 자동화 항만 구축 성공사례를 통한 우리나라의 미래형 항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EU연구, 제38호, 205-236. 

  21. 조성우.최상희.원승환(2017), 저탄소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긴급상황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제15권 제2호, 93-115. 

  22. 차상현.노창균(2018),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2권 제3호, 217-226. 

  23. 채기영.이철용(2020), SWOT.AHP를 이용한 부산항 경쟁력 평가요인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6권 제1호, 105-128. 

  24. 최상희.이언경.강무홍(2017), KMI 동향분석, Vol.31, 1-19. 

  25. 최형림(2017), 4차 산업혁명과 해운항만물류산업의 대응방안, 부산발전연구원, 21-22. 

  26.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8), KMI 인포그래픽, 통권 제5호, 5. 

  27. 홍관수(2018), SPSS 회귀분석, 경문사. 

  28. 홍종욱(2018), 스마트항만 도입 결정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황진회.안영균.김주현(2017), 4차 산업혁명과 해운산업 정책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0.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1. Khaled, E. S.(2016), Smart Seaports Logistics Roadmap, Journal of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2(2), 91-95. 

  32. Vonck, I.(2017), Ports of the Future, Baltic Ports Conference. 

  33. http://www.mpa.gov.sg(Maritime and Port Autho- rity of Singapore)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