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만배후단지 성과평가와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Revitalization of Korea Port Distripark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6 no.3, 2020년, pp.137 - 154  

김승철 (영남대학교 무역학부) ,  강효원 (안동대학교 경제무역학부 무역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5개 항만배후단지의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과분석은 단순한 물동량이나 입주기업의 유치수에서 벗어나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활성화, 항만물동량 기여, 국가경제기여 등 3개로 성과를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입주기업 물동량 생산성, 총항만물동량 대비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비율(컨테이너 화물, 총화물), 항만물동량 성장 기여율, 항만물동량 성장기여도,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액, 일자리 창출 등 7개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지표에서 있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곳은 광양항, 울산항으로 나타났으며 광양항의 경우 5개 항만 중 가장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유일한 항만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항만배후단지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고부가가치 창출 배후단지 및 지역경제 기반한 특성화 배후단지 구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five major port distriparks and present a development plan. The analysis groups the performance into three categories: revitalization of companies in port distriparks, contribution to the port volume, and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economy. The key pa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항만배후단지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크게 3가지 분야 총 6개의 지표로 구성하였다. 3가지 분야는 항만배후단지의 기본적인 역할인 물동량 창출능력과 더불어 배후단지의 항만활성화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창출되는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구성되었다.
  • 따라서 앞으로 항만배후단지는 항만 배후부지 및 글로벌 물류센터 등을 건설하여 고부가가치 물류산업활성화, 인접항만과의 협조체제 유지,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하여 항만 이용자를 적극 유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5대 항만의 배후단지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배후단지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관련 기존 연구 대부분이 항만 배후단지 성과지표로 활용한 물동량, 유치입주기업수, 매출액 등의 효율성평가 중심이었던 점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 기여율은 합계 값 또는 평균값의 증감에 대하여 그 구성항목이 전체를 증감시키는 데 얼마나 공헌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각 항목의 변화의 크기를 전체의 증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항만배후단지 항만물동량 성장 기여율은 항만의 총화물 증감율에서 배후단지 물동량이 얼마나 기여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또한 기여도는 통계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가 전체 증감률에 얼마나 기여하는 지를 나타낸 것으로 총 항만물동량의 증감율에 배후단지 항만물동량 성장기여율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달리 항만배후단지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물동량 창출능력뿐만 아니라 국가경제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이는 항만배후단지의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사회적 가치 기여도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계량적, 효율적 경영 성과 위주의 성과분석과 함께 항만배후단지의 국가 및 지역의 사회적 가치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5개 항만배후단지의 성과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과분석은 단순한 물동량이나 입주기업의 유치수에서 벗어나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활성화, 항만물동량 기여, 국가경제기여 등 3개로 성과를 분류하고 세부적으로 입주기업 물동량 생산성, 총항만 물동량 대비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비율(컨테이너 화물, 총화물), 항만물동량 성장 기여율, 항만물동량 성장기여도,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액, 일자리 창출 등 7개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 첫 번째 분야로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입주기업 물동량 생산성지표를 활용하였다. 본 지표는 임대면적당 배후단지물동량의 비율로서 배후단지면적당 입주기업이 얼마만큼의 물동량을 창출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두 번째로 항만배후단지의 물동량 기여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총항만물동량 대비 배후단지 물동량 비율(컨테이너, 총화물),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성장 기여율, 항만배후단지 물동량성장 기여도를 활용하였다.
  • 항만배후단지 물동량의 부가가치 발생성과는 배후부지에 입주한 기업의 컨테이너 물동량으로 인한 부가가치 발생성과를 측정하여 지역경제와 항만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본 지표에서는 임대면적당 배후단지 물동량에 따른 부가가치 발생액을 추정하였다.
  • 마지막으로 항만배후단지 국가경제기여도를 측정하였다. 이는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액 및 일자리 창출 실적을 평가함으로써 국가경제에 얼마만큼 기여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만배후단지 물동량 부가가치 발생액은 (배후단지 물동량×1TEU당 부가가치발생액)/임대면적로 산정하였으며, 배후단지 일자리 창출(임대면적당 고용창출효과)은 고용인원/입주기업 임대면적으로 산정하였다.
  • 특히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관련 기존 연구 대부분이 항만 배후단지 성과지표로 활용한 물동량, 유치입주기업수, 매출액 등의 효율성평가 중심이었던 점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이 창출한 사회적가치라고 할 수 있는 입주기업 활성화성과, 항만물동량 기여성과, 국가경제기여성과 등을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주요 5대 항만의 배후단지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배후단지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관련 기존 연구 대부분이 항만 배후단지 성과지표로 활용한 물동량, 유치입주기업수, 매출액 등의 효율성평가 중심이었던 점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이 창출한 사회적가치라고 할 수 있는 입주기업 활성화성과, 항만물동량 기여성과, 국가경제기여성과 등을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윤호, 김보영(2018), 정부 간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리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부산항 신항중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2권, 제3호, pp.227-236 

  2. 김율성, 김상열(2011),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3-90 

  3. 김율성, 유지원, 정상원, 박호(2018), 한국 주요 항만 배후단지 효율성 비교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25-227 

  4.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20), 코로나19 주요국의 경제통상정책 동향 

  5. 박길영, 하명신(2015), 부산항 신항 북컨테이너 배후단지의 경쟁력 제고 -AHP 기법을 토대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3호, pp.75-91 

  6. 박홍균(2011), 광양.부산항의 항만물류배후단지 효율성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3-30 

  7. 이성우, 이홍원, 송주미(2013), 우리나라 항만배후단지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9권, 특집호, pp.803-825 

  8. 항만법 제2조 제11항, 2020. 1. 29., 전부개정 

  9. 해양수산부 (2019), 제3차(2017-2030)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변경, 해양수산부 고시 제2019-13호 

  10. 해양수산부 (2020), 제3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및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개발계획 변경 고시, 해양수산부 고시 제2020-105호 

  11. 해양수산부(2015), 항만배후단지 고부가가치화 발전 전략 

  12. 해양수산부(2019),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실태조사 및 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13. Bird, J. H. (1963). The major seaports of the United Kingdom. Hutchinson. 

  14. Fleming, D. K., & Hayuth, Y. (1994).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hubs: centrality and intermediacy.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2(1), 3-18. 

  15. Gereffi, G., & Lee, J. (2012). Why the world suddenly cares about global supply chains.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48(3), 24-32. 

  16. Notteboom, T. E., and Rodrigue, J. P. (2005). Port regionalization: towards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itime Policy & Management, 32(3), 297-313. 

  17. OECD (2013) Interconnected economies: benefiting from global value chains. 

  18. OECD (2013) Interconnected economies: benefiting from global value chains. 

  19. Porter, M.E. (1985).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Simon and Schuster 

  20. UNESCAP (2006). Free Trade Zone and Port Hinterland Development. Research report of the UNESCAP, New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