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건축인증을 위한 설계단계 건설사업관리자의 세부 업무(역할)별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 from Detailed Work (Role) of the Construction Manager for G-SEED Certification in the Design Phas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6, 2020년, pp.103 - 112  

이두환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기술연구소) ,  강성미 ((주)아이티엠코퍼레이션건축사사무소 공공사업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업무수행 사례를 바탕으로 친환경 관련 건설사업관리 업무관리방안을 주요 단계별로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심의단계, 인/허가단계, 실시설계단계의 운영 및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업무 세부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녹색건축인증 공사비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를 통해 추가되는 공사비와 획득 점수 비중을 근거로 주요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녹색건축인증의 주요 항목에 대한 건설사업관리 업무 세부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의단계에서는 행정적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녹색건축인증과 관련한 반영 요소의 확인, 인/허가단계에서는 설계도서 적정성, 각 단계별 설계의 연계성, 실시설계단계에서는 시공단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항들에 대한 검토 및 확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녹색건축인증의 주요 항목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관련 기술의 철저한 반영, 적정성 검토 및 확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단계 건설사업관리자 업무(역할) 세부 내용을 토대로 녹색건축인증의 운영/관리 프로세스와 주요 항목의 측면에서 효율적인 관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based on actual project implementation cases, task management plan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relate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were derived in major stages. Accordingly, the importance from details of construction management task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process of the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2014)은 설계와 친환경 인증의 프로세스 분리로 인해 제한된 설계 적용 및 무리한 설계 변경과 공사비 상승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 밖에도 국내 인증기준의 일괄적인 설계기준 적용으로 융통성과 효율성이 부족한 것을 지적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완으로 국내 설계 현황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건축설계를 위한 지침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증기준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Jang and Lee (2014)는 업무시설의 사례를 통해 인증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언하였다.
  • 이를 위해 현행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를 기준으로 녹색건축인증에서 필요한 수행 방안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친환경 인증수행을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세부업무(역할) 도출 및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제도 내에서 친환경 인증 관리를 위해 필요한 방안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통해 친환경 인증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무리한 설계변경 및 공사비 상승의 리스크를 최소화시키며, 현행 제도 외에도 추가적인 개선 방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 중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기존 친환경 건설사업관리 수행 사례를 통한 성공적인 운영/관리 프로세스와 선행 연구 사례로부터 추가 공사비 발생이 예상되는 주요 항목을 도출하여 건설사업관리자의 관점에서 필요한 세부 업무(역할)별 중요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미시적인 접근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기존 선행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 또한, 혁신적인 설계 분야의 제로에너지건축물 항목을 통해 건축물 에너지효율 1++등급, BEMS 설치(또는 에너지원별 원격검침계량기 설치), 신재생에너지 적용으로 에너지자립율 20% 이상인 경우 추가적인 점수 획득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 인증제도 및 관련기준을 포괄하는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기존 친환경 건설사업관리 수행 사례를 통한 성공적인 운영/관리 프로세스를 도출하며, 건설사업관리 세부 업무(역할)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 및 강화되고 있는 친환경 기준의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 아직 제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건설사업관리자의 관점에서 국내 친환경 인증의 대표적인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설계단계에서 수행 가능한 효율적인 건설사업관리 방안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 및 강화되고 있는 친환경 기준의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 아직 제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건설사업관리자의 관점에서 국내 친환경 인증의 대표적인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하여 목표 등급 달성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를 기준으로 녹색건축인증에서 필요한 수행 방안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친환경 인증수행을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세부업무(역할) 도출 및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제도 내에서 친환경 인증 관리를 위해 필요한 방안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 및 강화되고 있는 친환경 기준의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 아직 제도적으로 정비되지 않은 건설사업관리자의 관점에서 국내 친환경 인증의 대표적인 녹색건축인증을 중심으로 하여 목표 등급 달성 및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를 기준으로 녹색건축인증에서 필요한 수행 방안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 친환경 인증수행을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세부업무(역할) 도출 및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제도 내에서 친환경 인증 관리를 위해 필요한 방안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통해 친환경 인증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무리한 설계변경 및 공사비 상승의 리스크를 최소화시키며, 현행 제도 외에도 추가적인 개선 방향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Ahn and Kang (2019)은 녹색건축인증과 관련한 업무가 이미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범위에 포함되어 있으며, 검토 및 확인 결과가 인증서류에 반드시 수록되므로 책임이 따른다고 하였다. 이에 건설사업관리자의 녹색건축인증에 대한 업무범위 증가 부분을 고려하여 업무의 검토에 대한 사항을 법령에 포함하는 것과 책임 증가를 고려한 추가 대가산정의 반영을 통해 질적 향상 도모를 제안하였다. 일례로 공공발주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에서는 친환경건축물인증, 지능형건축물인증,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의 각 인증등급에 따라 가산되는 설계업무 대가의 비율을 고시하였다(MOLIT, 2015).
  • 이러한 항목별 점수의 구성은 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 목표등급에 최적화된 구성으로 추가 공사비를 최소화한 적용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선행 연구사례를 통해 추가 공사비와 점수 비중에 근거하여 녹색건축인증의 주요 항목으로 도출하며, 건설사업관리 세부 업무(역할)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한다.
  • 친환경 인증에서 대표되는 녹색건축인증 역시도 설계단계에서 반영되어야 할 항목의 비율은 녹색건축인증 업무시설의 배점을 기준으로 약 65%이상8)이므로 친환경 인증의 성공적인 목표등급 달성을 위해서는 기획설계 단계부터 접근이 필요하며, 예비인증 완료시까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증에서 핵심적인 적용요소가 결정되는 설계단계를 기준으로 친환경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으로 한다.
  • 현행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관련 법규 및 최근의 공공 건축물 건설사업관리 입찰안내서(과업지시서 등)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 범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친환경 인증에 대한 건설사업관리의 선행 연구 사례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고하고 방향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J.W., and Kang, S.Y. (2019). "The Role of Construction Manager in G-SEED Certifica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20(1), pp. 26-30. 

  2. Choi, H.C. (2010). "The Role and Performance of Construction Manager for LEED Certification of Construction Projects."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3. Frederick, E.G. (2002). "Managing the Construction Process, Prentice Hall." p. 18. 

  4. Gyeonggi Province (2017). Notice 2017-264, Standard for Design of Green Buildings. 

  5. Gwangju City (2018). Notice 2018-273, Standard for Design of Green Buildings. 

  6. Hong, S.K. (2015).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Guideline for Sustainable Building Project."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7. Jang, H.S., and Lee, S.H. (2014). "A study on Problems of the G-SEED Process and their Improvements(Focusing on case studies of office building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4(1), KIEAE, pp. 91-99. 

  8.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9). Notice 2019-126, Standard for Design of Green Buildings. 

  9. Kang, S.M. (2020). "Improved Model for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in Domestic Construction Management."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10. Kang, S.M., Cha, M.S., Lee, W.J., Ji, W.J., Cho, H.H., and Yoo, W.S. (2020). "Improved Model for Index of Construction Engineer's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in Domestic Construction Management."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21(2), pp. 47-58. 

  11. Kim, H.A. (2014).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SEED to Office Buildings for Sustainable Architectural Design."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Kim, J.M., Shin, S.J., and Hur, I. (2014). "Estimate of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as Certifying G-SEED of Office Building in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KIEAE, 14(5), pp. 21-28. 

  1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20). "Detailed Rules of Operation for G-SEED(G-SEED 2016-5)" 

  1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20). "G-SEED Certification Support System." (Aug. 18, 2020). 

  15. Lee, D.H., and Kim, J.M. (2019). "A Study on the Cost Impact of Additional Construction as Rating G-SEED Certification of Medium-Sized Office Building in Kore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AIK, 35(10), pp. 225-234.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International Environmental Trend." pp. 18-20.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Notice 15728, The Green Building Development Support Act. 

  1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The 2nd Green Building Basic Plan. 

  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Notice 2013-383,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2013).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Notice 2016-341,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G-SEED 2016).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Notice 2015-911, Architect's scope of work and standard of cost for public order projects. 

  2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 Notice 2019-42, Standard for Design of Green Buildings. 

  23. Son, G.G. (2011). "A Plan for Performing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for Sustainable Building Projects."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24. Ulsan Metropolitan (2019). Notice 2019-273, Standard for Design of Green Building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