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에서 프랙탈의 활용방안에 관한 소고
A Point of View on the Use of Fractals in Art Therap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354 - 367  

이현지 (차의과학대학교 임상미술치료 전공) ,  연옥현 (차의과학대학교 임상미술치료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통한 미술치료와 프랙탈의 적용 범위의 고찰에 관한 것이다. 복잡계는 유클리드계와는 상반된 개념으로 경계가 모호하고 분산적인 현상을 보이는 동시대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개념이다. 자연의 기하학인 프랙탈의 자기 유사성과 창발성은 나무줄기, 구름, 식물뿐 아니라 미술에서는 프랙탈 아트로 활용되며, 특히 미술치료에서 프랙탈은 만다라와 신경과학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 검토된다. 뇌기반 연구를 포함하여 만다라, 자연 패턴 노출, 프랙탈 분석을 통한 임상적 진단과 소프트웨어 개발에 이르기까지 프랙탈은 미술치료에서 개발 가능한 잠재적 요소를 지닌다. 이러한 특성상 컴퓨터와 연동이 용이한 프랙탈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비대면이 권장되는 현시점에 필요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프랙탈 미술치료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랙탈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이용하여 임상현장에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진단도구와 치료를 위한 근거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 the 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 therapy and fractal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t home and abroad. The complex system is the opposite of the Euclidean system, a concept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contemporaries with ambiguous boundaries and decentraliz...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프랙탈과 미술 치료에의 적용에 관한 것으로 문헌검토를 통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검색 기간은 2020년 2월부터 9월 23일까지며, 주요 검색 키워드는 ‘프랙탈(fractal)’, ‘프랙탈 미술치료(fractal art therapy)’, ‘프랙탈 치유(fractal healing)’, ‘프랙탈 미술(fractal art)’, ‘신경과학(neuroscience)’, ‘복잡계 이론(complexity theory)’, ‘만다라 프랙탈(mandala fractal)’, ‘미술과 수학’ 등이다.
  • 본 연구는 프랙탈을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 체계 구축과 발전 방향 모델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 논고를 기점으로 하여 분야별 프랙탈 연계 미술치료 방안에 관한 실증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체계를 완성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FD 1.5 수준의 만다라를 제시하기 위해 FD가 도출되는 소프트웨어(Fractal Dimension Estimator)에서 두 개의 만다라 이미지를 대입시켰다. [그림 1]은 FD 1.
  • 그 중 불교의 세계가 표현된 만다라를 철학적 차원으로 보고, 중앙을 둘러싼 대일여래의 반복성을 프랙탈의 자기 유사성으로 대입시켰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에서 만다라가 갖는 치료적 메커니즘을 프랙탈의 수학적 원리, 미술적 원리, 철학적 원리 등의 통합적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만다라에서 발견되는 FD 중 1.
  • 이 논고는 복잡계 이론의 프랙탈이 미술치료학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 문헌검토를 통해 그 활용방안을 도출하고 제안한 것이다. 국내 미술치료학에서 프랙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지만 해외에서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에 이론적 배경으로 프랙탈 용어의 의미, 프랙탈의 상위개념인 복잡계, 특성을 순차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렇게 미술치료에서 프랙탈이 다양한 관점으로 적용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미술치료와 프랙탈의 심리적, 진단적, 치료적 적용 범위에 대해 국내외 문헌검토를 토대로 살펴보고, 차후 국내 미술치료의 임상현장에서 활용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특히 현시점은 코로나바이러스-19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중시되는 현 인류에게 미술치료는 고립으로 인한 소외감과 스트레스 관리에 반드시 필요한 분야다[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최창현, 신과학 복잡계 이야기, 서울: 종이거울, 2010. 

  2. 김용운, 카오스의 날갯짓, 파주: 김영사, p.77, 1999. 

  3. T. A. Mattei, "Unveiling complexity: non-linear and fractal analysis in neuro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Frontiers in computational neuroscience, Vol.8, No.17, 2014. 

  4. 변청자, "잭슨 폴록 회화에서 창발과 공진화-복잡계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학논문집, 제15권, 제1호, pp.49-50, 2011. 

  5. 진상상, 중국 단화 문양에 나타난 프랙털 구조에 관한 연구 : 둔황 막고굴의 당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 송협주, 카오스이론에 바탕한 현대미술의 시각표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7. 송채경, 프랙탈의 창발성에 의한 플로랄패턴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 정경철, "미술작품을 통한 미술교육 : 수학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47-457, 2010. 

  9. 조혜미, 프랙탈 기하학이 중등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계영희, "만다라 색칠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논문집, 제29권, 제4호, pp.687-698, 2015. 

  11. 윤이상, 프랙탈(Fractal)이론을 통한 생애주기이론의 목회상담 구조화과정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제2판, 서울:학지사, p.23, 2014. 

  13. C. A. Malchiodi, Handbook of art therapy, Guilford Press, 2003. 

  14. F. F. Kaplan, Art, Science and Art Therapy,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5. 

  15. 박윤희, ETC 모형에 기반한 미술치료의 신경과학적 접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6. Y. Joye, "Some reflections on the relevance of fractals for art therapy,"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3, No.2, pp.143-147, 2006. 

  17. A. V. Averchenko, P. V. Korolenko, and A. Y. Mishin, "Optical-physical aspects of fractal art therapy," In 2017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Symposium-Spring (PIERS), IEEE, pp.3418-3421. 2017. 

  1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http://www.riss.kr/index.do, 2020.08.13. 

  19. 국회전자도서관, http://dl.nanet.go.kr/index.do), 2020.08.13 

  20. P. V. Korolenko, The physical nature of the fractal beauty, Material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Scientific research of the SCO countries: synergy and integration, Scientific publishing house Infinity Beijing, pp.160-165, 2020.04.10. 

  21. D. Mattson, "On The Nature of Healing: A Fractal Setting for Pediatric Trauma Therapy," https://cardinalscholar.bsu.edu/handle/123456789/202123, 2020. 

  22. A. Patuano and A. Tara, "Fractal geometry for Landscape Architecture: Review of methodologies and interpretations," Journal of Digital Landscape Architecture, Vol.5, pp.72-80, 2020. 

  23. M. Braus and B. Morton, "Art therapy in the time of COVID-19," Psychological Trauma: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Vol.12, No.S1, pp.267-268, 2020. 

  24. B. Mandelbrot, Fractals and chaos: the Mandelbrot set and beyond,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194, 2013. 

  25. 계영희, 오진경, "카오스의 관점에서 본 르네상스의 수학과 미술," 한국수학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59-76, 2006. 

  26. 윤영수, 채승병, 복잡계 개론, 삼성경제연구소, 2005. 

  27. N. Lesmoir-Gordon and W. Rood, Introducing fractal geometry, 이충호 옮김, 프랙탈 기하학, 파주: 김영사, 2009. 

  28. R. P. Taylor, B. Spehar, P. H. Van Donkelaar, and M. Caroline, "Perceptu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Jackson Pollock's Fractals," Front Hum Neurosci, Vol.5, No.60, pp.1-13, 2011. 

  29. G. Rohitha and A. C. Ray, "Fractals, Self-Similarity and Beyond," Mathmatics Teaching Research Journal, Vol.12, No.1, pp.17-44, 2020. 

  30. https://ko.wikipedia.org/wiki/창발, 2020.08.15. 

  31. 문철, 김가이, "창발적 사고를 위한 확장된 드로잉 교육 모형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제6호, pp.201-211, 2016. 

  32. 강태희, 정한진, 민혜숙, 김수현, 윤자정, 이성훈, 황유경, 미술.진리.과학, 서울: 재원, 1996. 

  33. J. Bertrand, (La) Renaissance de l'architecture, 김 택 옮김, 건축의 르네상스, 서울: 시공사, 1997. 

  34. C. Bovill, Fractal geometry in architecture and design, Boston: Birkhauser, 1996. 

  35. R. H. Steven, Digital Mantras: The languages of abstract and virtual worlds, MIT Press, 1995. 

  36. https://archive.newmuseum.org/exhibitions/185, 2020.08.15 

  37. 권기준, "Jackson Pollock의 드리핑 작업과 난화 사이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22권, 제6호, pp.1649-1672, 2015. 

  38. L. Eun-Mi and L. Kang-Hee, "Proposal of Jackson Pollock's Art Therapy Recommendation System for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s, Vol.9, No.10, pp.75-84, 2015. 

  39. 노현진, 미술치료로서의 '반복'의 자기치유적 특성 연구-Kusama Yayoi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0. 김순자, "강박장애의 관점에서 본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세계," 미술치료연구, 제23권, 제2호, pp.633-654, 2016. 

  41. 정여주, 만다라와 미술치료-내적 고요와 창의적 자아를 찾아가는 여행, 서울: 학지사, pp.13-20, 2014. 

  42. M. Eliade, Image and Symbols, 정여주, 만다라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13. 

  43. J. Murai, "Diffusion processes on mandala," Osaka Journal of Mathematics, Vol.32, No.4, pp.887-917, 1995. 

  44. 정경철, "미술작품을 통한 미술교육 : 수학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47-457, 2010. 

  45. C. G. Jung and A. Jaffe, Memories, Dreams, Reflections, 조성기 옮김, 카를 융-기억 꿈 사상, 파주: 김영사, 2007. 

  46. J. T. Kiehl, "The Mandala as Portal to Healing," ARAS Connections, Issue.2, pp.1-49, 2020. 

  47. R. M. Simion, "The Fractal Technique-A Way to Acces the Unconscious and to Reduce Stress," Journal of Experiential Psychotherapy, Vol.19, No.2, pp.14-22, 2016. 

  48. F. F. Susan, Creating mandala-for insight, healing, self-expression, 김진숙 옮김, 만다라를 통한 미술치료-자기탐구, 완성, 치유를 향하는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13. 

  49. R. M. Simion, "The Fractal Technique-An Experiential Approach of Fractal Images in Reducing Perceived Stress Through Therapy of Unification," Journal of Experiential Psychotherapy, Vol.18, No.2, pp.40-47, 2015. 

  50. I. M. Rian, P. Jin-Ho, A. Hyung-Uk, and C. Dong-Kuk, "Fractal geometry as the synthesis of Hindu cosmology in Kandariya Mahadev temple, Khajuraho," Building and Environment, Vol.42, No.12, pp.4093-4107, 2007. doi:10.1016/j.buildenv.2007.01.028 

  51. 정여주, 노인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pp.68-76, 2010. 

  52. N. R. Carlson, Foundations of behavioral neuroscience, Pearson Education, pp.60-65, 2013. 

  53. R. M. Simion, "Fractals and Personal Esthetic Preferences-Indicators of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Experiential Psychotherapy, Vol.20, No.1, pp.13-20, 2017. 

  54. 신종호, 조영환, 이규민, 이현주, "신경과학, 교육심리, 인지심리 연구를 통해 본 교육의 타당성,"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4호, pp.87-109, 2006. 

  55. R. P. Taylor, "Reduction of physiological stress using fractal art and architecture," MIT Press, Vol.39, No.3, pp.245-251, 2006. 

  56. 이승복, 정우현, 손정우, 조성우, "프랙탈 이미지를 이용하여 본 미적 경험의 뇌 활성화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감성과학, 제14권, 제3호, pp.403-414, 2011. 

  57. N. Hass-Cohen and J. C. Findlay, Art therapy & the neuroscience of relationships, creativity & resiliency: skills and practices, 김갑숙 외 옮김, 미술치료와 신경과학: 관계, 창조성 그리고 탄력성, 서울: 학지사, pp.23-34, 2018. 

  58. A. Sharghi, M. A. Azizmoghadam, and Z. J. Gandomani, "Comparative Study of Fractal Geometry Patterns in Iranian Garden and Landscape Architecture," Bagh-e Nazar, Vol.17, No.85, pp.35-50, 2020. 

  59. A. Forsythe, T. Williams, and R. G. Reilly, "What paint can tell us: A fractal analysis of neurological changes in seven artists," Neuropsychology, Vol.31, No.1, pp.1-10, 2017. 

  60. M. Nagao, K. Murase, T. Kikuchi, M. Ikeda, A. Nebu, R. Fukuhara, Y. Sugawara, H. Miki, and J. Ikezoe, "Fractal analysis of cerebral blood flow distribution in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Nuclear Medicine, Vol.42, No.10, pp.1446-1450, 2001. 

  61. D. Chatterjee, "Fractal Analysis of a Sequence of LSD-InfluencedSelf-Portraits," Bridges 2019 Conference Proceedings, pp.481-484, 2019. 

  62. G. M. Henemann, A. Brachmann, and C. Redies, "Statistical image Properties in Works from the Prinzhorn collection of artists with schizophrenia," Frontiers in psychiatry, Vol.8, No.273, pp.1-15, 2017. 

  63. S. Rezaei, F. Yousefi, and A. Qorbanpoor Lafmejani, "Preferences, Descriptions and Response Latency to Fractal Images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chizophrenia," Casp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Vol.6, No.1, pp.31-44, 2020. 

  64. K. Seong-in, B. Jun Young, and L. Young Ho, "A computer system to rate the color-related formal elements in art therapy assessments," Arts in Psychotherapy, Vol.34, No.3, pp.223-237, 2007. 

  65. K. Seong-in, G. Ji-ho, C. Eun-Young, K. Ok-Soon, and K. Maria, "A computer system using a structured mandala to differentiate and identify psychological disorders,"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41, No.2, pp.181-186, 2014. 

  66. 안이환, "그림검사 도구의 문제점과 전망," 미술치료 연구, 제19권, 제1호, pp.157-175, 2012. 

  67. F. F. Kaplan, Art therapy and social action, London & Philadephia, 최 한 옮김, 사회행동과 미술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6. 

  68. S. A. Thong, "Redefining the tools of art therapy," Art Therapy, Vol.24, No.2, pp.52-58, 2007. 

  69. M. Braus and B. Morton, "Art therapy in the time of COVID-19," Psychological Trauma: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Vol.12, No.S1, 202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