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중요도-실행도분석(IPA)의 적용
A Study on Social Work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1, 2020년, pp.624 - 635  

이남정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동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권리보장 취약성이 높은 발달장애인에 대해 다른 권리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권리침해 가능성이 높은 자기결정권에 초점을 맞추어 이의 학문적 논의토대와 실제적 실천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및 실천의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강원지역 사회복지사 302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을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중요도 및 실행도의 기술적 분석, 차이분석, 매트릭스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중요도와 실행도는 긍정적 수준보다 낮은 절대적 수준으로 평가되고, 전체 평균기준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보다 늦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 간의 수준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요도와 실행도 간 불균형적 사항인 과소 실천요소로서 목표설정 및 성취, 자기관리 및 조절, 가지인식 및 지각 등이 확인되었다. 이에 인권보장의 상호성을 감안한 사회복지사와 발달장애인의 균형적 긍정성 향상을 위해 사람중심프로그램과 자기결정향상프로그램의 적용이라는 큰 기반 위에 응용행동분석, 긍정적 행동지원, 목표성취척도의 적용 하 개별화서비스계확 등 세부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which has a higher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righ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more vulnerable to rights protection than other types of disabilities, and seeks to obtain implications of the basis for academic discu...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자료수집 과정 중 기관 및 응답자의 상황적 특성을 감안하여 자기보고식 응답이 어려울 경우에 한하여 전화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지하였는데, 자료수집방법의 이질성에 따른 편의발생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고자 전화조사 사례 수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조사과정 중 연구자(장애인복지종사자)의 개인적 선입견이나 관계적 특성으로 응답의 신뢰성이 문제시 되는 부분을 최소화하고자 객관적 입장의 견지와 충분한 사전설명(정확한 응답의 요청포함)을 시행하여 조사응답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실태분석의 경우 빈도 및 기술통계를, 차이분석은 대응 및 독립표본 T-test를, 매트릭스분석은 IPA분석에 의한 도표분석을 통해 각각 결과물을 산출 하였다.
  • ”)은 중요도의 경우 평균보다 낮은 항목이지만 실행도의 경우 평균 이하에서 상대적으로보다 더 낮게 평가되어 실행도가 중요도 수준에 비해 과소 실천된 이슈라 할 수 있다. 본 이슈는 자기관리 및 자기조절 요소에 해당하는 것인바 행동요소의 통제 등 관리에 있어 중요도와 실행도를 낮게 평가하고 있고, 실행도는 중요도에 비해 더 낮은 실천 수준을 보임으로써 이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하겠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분석결과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고, 이로부터 논의 가능한 실천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논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권익을 옹호하는 관련 기관 사회복지사들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권리보장 기틀의 공고한 토대 위에 올곧은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초점은 첫째, 장애인복지 서비스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고.
  • 두 번째 연구질문은 앞서 시행한 기술적 분석에서 나타난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양상을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러한 평균값의 차이가 단순히 우연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충분히 의미 있게 판단할 정도로 가치 있는 내용임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중요도 전체평균과 실행도 전체 평균,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주요 특성에 따른 하위 평균들의 차이를 차이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차이인지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연구질문은 매트릭스분석의 시행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문항별 상대적 위치를 가시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 기준 자기결정 세부문항별 분포패턴과 실질적 균형 및 간극의 현황을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과정 중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중요도), 얼마나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실천(실행도)하고 있는가? 둘째,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통계적 차이가 있는가? 추가적으로, 종사자 및 종사기관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양상이 나타나는가? 셋째,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분석에 의한 항목별 분포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즉 첫째 연구질문은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자기결정권관련 인식과 실행의 기술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당 이슈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서비스과정 중 이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질문은 앞서 시행한 기술적 분석에서 나타난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양상을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러한 평균값의 차이가 단순히 우연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충분히 의미 있게 판단할 정도로 가치 있는 내용임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과정 중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중요도), 얼마나 관련 내용을 반영하여 실천(실행도)하고 있는가? 둘째,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사이에 통계적 차이가 있는가? 추가적으로, 종사자 및 종사기관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양상이 나타나는가? 셋째,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매트릭스분석에 의한 항목별 분포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즉 첫째 연구질문은 사회복지사의 발달장애인에 대한 자기결정권관련 인식과 실행의 기술적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당 이슈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서비스과정 중 이를 실행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질문은 앞서 시행한 기술적 분석에서 나타난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양상을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그러한 평균값의 차이가 단순히 우연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충분히 의미 있게 판단할 정도로 가치 있는 내용임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C. Nussbaum, The Monarchy of Fear: A Philosopher Looks at Our Political Crisis [Reprint edition, Simon & Schuster, 2019. 

  2. J. Robertson, E. Emerson, N. Gregory, C. Hatton, S. Kessissoglou, A. Hallam and C. Linehan, "Social network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 residential settings," Mental Retardation, Vol.39, No.3, pp.201-214, 2015. 

  3. S. Field, Steps to Self-Determination, 2nd edition. ProEd., 2005. 

  4. C. Thomas, "Disability theory: key ideas, issues and thinkers," In C. Barnes, (ed.), Disability Studies Today, Polity Press, pp.38-57, 2002. 

  5. 이복실, 제철웅, 이동석, "성인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40권, pp.5-32, 2018. 

  6. 성명진, "발달장애인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 고찰,"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제1권, 제2호, pp.47-70, 2015. 

  7. 김동현,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범죄 피해 방지, 무엇이 우선인가? : 발달장애인 대상 휴대폰 관련 범죄를 중심으로," 공익과 인권, 제19권, pp.35-64, 2019. 

  8. 김희선, "발달장애인의 권리보장에 관한 법적 고찰: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사회법연구, 제36권, pp.203-237, 2018. 

  9. 최문경, 임지희, 신원식,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한국장애인복지학, 제37권, pp.5-32, 2017. 

  10. 이종남, 김근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유형," 주관성연구, 제45권, pp.67-88, 2019. 

  1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12. A. J. Ayers, Sensory integration and child,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2005. 

  13. M. L. Wehmeyer and M. Schwartz, "Self-determination and positive adult outcomes: A follow-up study of youth with mental retardation or learning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Vol.63, No.2, pp.245-255, 1997. 

  14. M. L. Wehmeyer and S. B. Palmer, "Adult outcomes for stud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three-years after high school: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8, No.2, pp.131-144, 2003. 

  15. E. L. Deci and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1985. 

  16. 유하얀, 김미옥, "장애인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지원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11권, 제3호, pp.69-94, 2017. 

  17. M, L. Wehmeyer, S. B. Palmer, M. D. E. Agran, and J. E. Martin, "Promoting casual agency: The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Exceptional Children, Vol.66, No.4, pp.439-453, 2000. 

  18. 오정민, 자기결정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에 관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9. C. Oldman, "Deceiving, theorizing and self-justification: a critique of independent living," Critical Social Policy, Vol.23, No.1, pp.44-6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