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강우분포 및 CN에 따른 미래 홍수량 평가
Assessment of Future Floo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Rainfall Distribution and C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2 no.6, 2020년, pp.85 - 95  

곽지혜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지혜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전상민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황순호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성학 (Convergence Center for Watershed Management,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nstitute) ,  이재남 (Water Resources & Environment Research Group,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강문성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standard guidelines of design flood (MLTM, 2012; MOE, 2019), the design flood is calculated based on past precipitation. However, due to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s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future floods' volume by using clima...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2025s (2010-2039), 2055s (2040-2069), 2085s(2070-2099)으로 구간을 나누어 30년별 확률강수량을 산정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최대/최소 확률강수량을 보이는 기후모델을 채택함으로써 CMIP5와 CMIP6의 전반적인 확률강수량 및 홍수량 값의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래 일단위 강수량 모의 자료를 통해 구축한 확률강수량의 지속시간은 24시간이며 재현 기간 200년과 500년에 대하여 산정하였다.
  • 5 시나리오와 SSP 245/585 시나리오의 일별 기후변화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확률강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홍수량 산정 방법이 수정됨에 따라 Huff 분포 및 논, 산림의 CN값이 새로이 제시되었으므로 이들이 홍수량 값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고려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강우분포와 CN에 따른 미래 홍수량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산정된 확률강수량과 강우분포 및 CN을 HEC-HMS 모형에 입력하여 구동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CMIP6 모델의 SSP 시나리오 및 CMIP5 모델의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산정된 확률강수량 값에 수정된 Huff 및 새롭게 제안된 산림 및 논의 CNⅢ를 적용하여 홍수량을 산정함으로써 이들 요소가 미래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i, Y., Z. Zhang, and W. Zhao, 2019.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flood events using HEC-HMS and CMIP5.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30(5): 119. doi:10.1007/s11270-019-4159-0. 

  2. Cho, J. P., 2013.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for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uncertainty. Research Report 2013-05. APEC Cllimate Center (in Korean). 

  3.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3(4): 1007-1019. 

  4. Joo, J. G., J. H. Lee, D. J. Jo, H. D. Jun, and J. H. Kim, 2007. Development of a rainfall time distribution model for urban watershe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8): 655-663 (in Korean). 

  5. Kim, J. H., J. H. Park, J. H. Song, S. M. Jun, and M. S. Kang, 2016. Design flood estimation in the Hwangguji River watershed under climate and land use changes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8(1): 30-51 (in Korean). doi:10.5389/KSAE.2016.58.1.039. 

  6. Kim, W. G., and T. S. Ryu, 2011. Strategy of flood control capacity enhancement on existing multipurpose dams to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44(2): 23-28 (in Korean). 

  7. Lee, J. K., and J. H. Lee, 2003. Effect of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on water-surface level of Sihwa Lak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325-343 (in Korean). doi:10.3741/JKWRA.2003.36.2.325. 

  8. Lee, H. S., and J. J. Lee, 2018. Applic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analyzing safety change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1(4): 293-299 (in Korean). doi:10.3741/JKWRA.2018.51.4.293. 

  9. Lim, W. H., D. Yamazaki, S. Koirala, Y. Hirabayashi, S. Kanae, S. J. Dadson, J. W. Hall, and F. Sun, 2018. Long-term changes in global socioeconomic benefits of flood defenses and residual risk based on CMIP5 climate models. Earth's Future 6: 938-954. doi:10.1002/2017EF000671. 

  10.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11-1380000-000014-10. Gyeonggi-do, Korea (in Korean). 

  1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complementation of probabilistic rainfall 11-1511000-001995-01 (in Korean). 

  12.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Design flood estimation methods (in Korean). 

  1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Standard guidelines for estimating flood volumes 11-148000- 001604-14 (in Korean). 

  14. Nyaupane, N., B. Thakur, A. Karlra, and S. Ahmad, 2018. Evaluating future flood scenarios using CMIP5 climate projections. Water 10(12): 1866. doi: 10.3390/w10121866. 

  15. Park, D. H., J. S. Yu, J. H. Ahn, and T. W. Kim, 2017. Redetermining the curve number of Korean forest according to hydrologic condition cla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10): 653-660 (in Korean). doi:10.3741/JKWRA.2017.50.10.653. 

  16. Park, J. H., M. S. Kang, I. H. Song, S. H. Hwang, and J. H. Song, 2013. Development of IDF curves based on RCP 4.5 scenario for 30-reservoir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3(6): 145-159 (in Korean). doi:10.9798/KOSHAM.2013.13.6.145. 

  17. Ryu, J. H., M. S. Kang, J. H. Park, S. M. Jun, J. H. Song, K. U. Kim, and K. D. Lee, 2015. Estimation of future design flood under non-stationarity for Wonpyeongcheon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5): 139-152 (in Korean). doi:10.5389/KSAE.2015.57.5.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