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가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과 삶의 균형(WLB : Work-Life Balance)의 매개효과
Effects of Shiftwork on Workers' Safety and Health: The Mediation Effect of WLB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5, 2020년, pp.66 - 73  

홍민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 in labor consciousness began to draw social attention to work-life balance (WLB). The WLB is one of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safety problems of workers. Although shiftwork adversely affects WLB, safety, and health problems of workers, WLB of shift workers has received l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근로자의 WLB을 고려하여 이들의 안전과 건강 문제를 조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여가활동의 참여가 교대근무자의 WLB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는 결국 교대근무자의 안전과 건강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 연구원에서 2017년에 실시한 5차 근로환경조사(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원시자료를 기반으로 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근로환경조사는 유럽근로환경조사(European Working Condition Survey: EWCS)와 영국 노동력조사(Labour Force Survey: LFS)를 벤치마킹하여 전국의 만 15세 이상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근로형태, 고용형태, 직종, 업종 위험요인 노출, 고용안정 등 업무환경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조사다15).
  • 본 연구에서는 고용 계약 기간이 제약이 없거나 1년 이상인 상용 및 임금근로자 대상의 교대근무자 및 비교대근무자를 조사하였다. 「근로기준법」 제50조에 의하면, 1주간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1일 근로시간은 휴게시간을 제외하고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제145조는 유해 및 위험 작업의 근로시간은 1일 6시간, 1주 34시간을 초과하지 못하고 연장근로도 할 수 없다고 명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 및 위험 작업을 하는 직종의 근로자까지 분석대상에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제 5차 근로환경조사의 전체 대상자 50,205명 중 4일 이상 근무자, 34시간 이상~68시간 이하의 근무 조건을 만족하는 임금 및 상용근로자 18,227명을 조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업무 외 여가활동 참여로 조절된 WLB이 교대근무여부와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문제를 조절 매개하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대근로자의 WLB을 조사한 대규모 연구는 드물었다26). 이에 본 연구는 교대근무근로자의 WLB을 고려하여 이들의 안전과 건강 문제를 조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여가활동의 참여가 교대근무자의 WLB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는 결국 교대근무자의 안전과 건강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 Chun, M. A. Son, Y. Kim, E. Cho, J. Kim and D. Paek, "Effect of Shift Work on Worker's Health Family and Social Life at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Vol. 10, No. 4, pp. 587-598, 1998. 

  2. KOSHA, Health Management Guidelines of Shift Workers, KOSHA GUIDE, pp. 1-5, 2011. 

  3. D. Son, K. Lee and S. Yoon, "Safety and Productivity in Shift Work",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esearch Report, S-RD-I-2000-27-147, 1999. 

  4. K. Straif, R. Baan, Y. Grosse, B. Secretan, F. EI. Ghissassi, V. Bouvard, A. Altieri, L. Benbrahim-Tallaa and V. Cogliano, "Carcinogenicity of Shift-Work, Painting, and Fire-Fighting", The Lancet Oncology, Vol. 8, No. 12, pp. 1065-1066, 2007. 

  5. K. Baek and K. Ha, "Work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Shift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29, No. 4, pp. 550-561, 2019. 

  6. J. S. Yoon, S. H. Kook, H. Y. Lee, I. S. Shin and A. J. Kim,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s o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8, No. 4, pp. 713-722, 1999. 

  7. J. Ryu, C. Jung, K. Choi, H. Kim and H. Kwon, "Shiftwork and Accidents in a Semiconductor Organizatio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p. 336, 2016. 

  8. M. Nam, S. H. Joe, I. K. Jung, K. Y. Soh and C. K. Chung, "Anxiety, Depression and Immune Functions of Shift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1. 9, No. 3, pp. 478-486, 1997. 

  9. F. Tuchsen, H. Hannerz and H. Burr, "A 12 Year Prospective Study of Circulatory Disease among Danish Shift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3, No. 7, pp. 451-455, 2006. 

  10. S. K. Choi, K. S. Lee, J. W. Lee, J. W. Koo and C. Y. Park, "Health Behavior Practices and Need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According to Shift Work Pattern in subway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Vol. 15, No. 1, pp. 37-51, 2003. 

  11. J. Y. Kim, "A Study on the Safety Accidents by Shift System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Vol. 8, No. 2, pp. 330-339, 1996. 

  12. J. S. Park, D. M. Paek, K. B. Lee, K. Y. Rhee and K. H. Yi, "Shiftwork and Sickness Absence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27, No. 3, pp. 475-486, 1994. 

  13. S. Folkard and P. Tucker, "Shift Work, Safety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Vol. 53, No. 2, pp. 95-101, 2003. 

  14. Y. J. Seo, M. Kazuya, S. K. Moon, M. S. Jung and M. I. Kim, "Relationships between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in a Steel Company", J. Korean Soc. Saf., Vol. 20, No. 3, pp. 188-196, 2005. 

  15. Y. Choi and S. Jun, "A Study of Shift Work System Reorganization", Symposium of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pp. 906-908, 2014. 

  16. KOSHA, Final Report of 2017: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1-162, 2017. 

  17. E. Samaha, S. Lal, N. Samaha and J. Wyndham, "Psychological, Lifestyle and Coping Contributors to Chronic Fatigue in Shift-worker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9, No. 3, pp. 221-232, 2007. 

  18. J. Lee and H. Kang,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Part 1) : Focused on Generation Dif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2, No. 3, pp. 267-291, 2018. 

  19. C. W. Kim, C. Y. Park, Y. M. Sohn and H. Ja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n 'Work-Life Balance' and its Effectiveness",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 2, No. 3, pp. 29-48, 2005. 

  20. H. Kim and C. G. Moon, "Empirical Analysis of Work-Life Balance: Using the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s", Journal of the Korean Social Security, Vol. 33, No. 2, pp. 167-206, 2019. 

  21. C. W. Kim and C. Y.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Work-Life Balance' Scale", Journal of Leisure Studies, Vol. 5, No. 3, pp. 53-69, 2008. 

  22. N. George, P. R. Kiran, T. Sulekha, J. S. Rao and P. Kiran, "Work-Life Balance among Karnataka State Road Transport Corporation (KSRTC) Workers in Anekal Town, South India", Indi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22, No. 2, p. 82, 2018. 

  23. P. E. Mott, "Shift Work: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sequenc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65. 

  24. G. Y. Cho, Y. J. Kim and J. K. Park,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Health by Type of Wag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1, No. 3, pp. 569-577, 2020. 

  25. H. Choi, S. Moon and S. -Y. Ok "Factor Analysis and Intergroup Awareness Investigation of Workers' Safety in Logistic Center", J. Korean Soc. Saf., Vol. 30, No. 4, pp. 113-119, 2015. 

  26. H. Lee and S. Choi,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tigue of Korean Shift Workers: Using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 14, No. 4, pp. 1-10,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