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문화매개자적 특성 연구 : 뮤지컬 <마리 퀴리> 라이브 TALK 채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Intermediary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Enthusiasts: Focusing on the 'Live TALK' Chat Record of the Musical Marie Curi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384 - 399  

강주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뮤지컬 마니아 관객들이 온라인 공간에서 상연되는 공연을 보며 실시간으로 나누는 대화의 내용 분석을 통해 이들이 뮤지컬 콘텐츠의 문화매개자로서 가지는 특성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 <마리 퀴리>의 온택트 공연 라이브 TALK 채팅에 참여하여 이들의 대화를 관찰하고 온라인 문화매개자적 특성 중 소유 자본의 특성, 매개언어의 특성, 수용자와의 관계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뮤지컬 마니아 관객들은 실제적인 경험과 탐색을 통해 풍부한 문화 자본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언어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 수용자와 소통에서는 상호교류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실시간으로 일어나는 즉각적인 대화나 문답의 흐름으로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라이브 TALK 채팅이라는 온라인 공간에서 안내자이자 중개자 역할을 하는 마니아 관객들의 문화실천을 통해 이들이 새로운 문화매개자로서 위치하게 됨을 확인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at Korean musical enthusiasts take on as cultural intermediaries of musical content by analyzing the real-time conversations they have while watching musicals performed in online spaces. To this end, the 'Live TALK' chat during the 'onta...

Keyword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마니아 관객들의 문화매개자 적 활동의 특성을 온택트 뮤지컬 <마리 퀴리>를 관람하며 드러나는 참여 방식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온라인 공간에서 이뤄지는 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의 문화매개자 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이 이뤄지는 온라인 공간 중 하나인 ‘라이브 TALK’ 채팅창을 관찰하고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를 바탕으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마니아 관객과 일반 관객이 한 공간에 공존하면서 나누는 대화의 내용과 구조를 바탕으로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살피는 것이다. 또 이러한 역할이 향후 뮤지컬 공연에서 마니아 관객의 위치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도 함께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배영임, 신혜리,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하다," 이슈&진단, 제416호, pp.1-25, 2020. 

  2. 정성철, 이민주, "충북형 온택트(Ontact)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충북 FOCUS, 제179호, pp.1-25, 2020. 

  3. 조복행, 뮤지컬 반복소비자의 특성과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강주영, "온택트를 통한 뮤지컬 관람 연구: 뮤지컬 온라인 관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6권, 제1호, pp.5-58, 2021. 

  5. 원종원, 뮤지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6. 김수영, 국내 뮤지컬 문화 권력의 생성과 분화,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7. 박혜성, "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 활동의 문화 정치적 함의," 언론과 사회, 제25권, 제1호, pp.37-96, 2017. 

  8. 김설화, 김태은, "뮤지컬 광고커뮤니케이션이 관객의 관람태도, 관람의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81-290, 2019. 

  9. 권혁인, 정순규, 최용석, "관객유형에 따른 공연관람 구매의사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139-150, 2015. 

  10. 임지영, 박신의, "뮤지컬 관객의 SNS사용에서 자기 결정적 태도가 만족과 SNS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2호, pp.1-30, 2014. 

  11.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20. 

  12. 이민희,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으로 구축되는 연쇄적 관극 문화에 관한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제63호, pp.261-315, 2019. 

  13.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0/12/1275512/, 2021.8.6. 

  14. 최연수, 뮤지컬 관객의 재관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5. 박성연,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형성과 자발적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6. 민지혜,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차윤미, 한국뮤지컬로 바라본 대중문화 속 팬덤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김현우,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수도권 재집중화 요인에 관한 연구: 삶의 자기결정권 선호와 불안정 속의 안정 선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9. 남주원, '언택트(Untact)' 기법의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마케팅,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0.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최종철(역),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새물결, 2006. 

  21.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2호, pp.154-176, 2010. 

  22. 민지은, "문화콘텐츠 소비 촉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36권, pp.111-136, 2015. 

  23. 지영호, 민지은, "문화예쑬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9권, 제1호, pp.28-49, 2015. 

  24. J. Smith Maguire and J. Matthews, "Are We All Cultural Intermediaries Now? An Introduction to Cultural Intermediaries in Context,"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Vol.15, No.5, pp.551-562, 2012. 

  25. 김정현, 김보영,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 한국콘텐츠학회문지, 제18권, 제6호, pp.50-62, 2018. 

  26. J. Fiske,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I.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27. 김은미, 권경은,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 제49권, 제2호, pp.74-114, 2012. 

  28. https://awards.kmusical.kr/history-awards/5rd-awards/, 2021.8.10. 

  29.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0/08/850009/, 2021.8.10. 

  30. https://tv.naver.com/l/52130, 2021.7.1. 

  31.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미디어, 젠더&문화, 제21호, pp.101-134, 2012. 

  32. 김지현, 이상길,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1호, pp.5-40, 2012. 

  33. 김은미, 권경은,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 제49권, 제2호, pp.74-114, 2012. 

  34. 이호영, 박현주, 김세은, 서우석, 이상길, 황준옥, 인터넷으로 인한 문화권력의 변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35. J. Fiske,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NY:Routledge, 1989. 

  36. 오수연,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 뜬다," 마케팅, 제54권, 제6호, pp.55-611, 2020. 

  37.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38. J. Grotowski, Towards a Poor Theatre, NY:Routledge, 2002. 

  39. P. Kotler and J. Scheff, Standing Room only: Strategies for Marketing the Performing Arts, Boston, Mass: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40. S. Nixon and P. Du Gay, "Who Needs Cultural Intermediaries?," Cultural Studies, Vol.1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