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2, 2021년, pp.384 - 399
강주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at Korean musical enthusiasts take on as cultural intermediaries of musical content by analyzing the real-time conversations they have while watching musicals performed in online spaces. To this end, the 'Live TALK' chat during the 'onta...
배영임, 신혜리, "코로나19, 언택트 사회를 가속하다," 이슈&진단, 제416호, pp.1-25, 2020.
정성철, 이민주, "충북형 온택트(Ontact) 활용을 위한 정책 제언," 충북 FOCUS, 제179호, pp.1-25, 2020.
조복행, 뮤지컬 반복소비자의 특성과 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강주영, "온택트를 통한 뮤지컬 관람 연구: 뮤지컬 온라인 관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6권, 제1호, pp.5-58, 2021.
원종원, 뮤지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김수영, 국내 뮤지컬 문화 권력의 생성과 분화,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박혜성, "한국 뮤지컬 마니아 관객 활동의 문화 정치적 함의," 언론과 사회, 제25권, 제1호, pp.37-96, 2017.
김설화, 김태은, "뮤지컬 광고커뮤니케이션이 관객의 관람태도, 관람의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81-290, 2019.
임지영, 박신의, "뮤지컬 관객의 SNS사용에서 자기 결정적 태도가 만족과 SNS재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제9권, 제2호, pp.1-30, 2014.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20.
이민희, "온오프라인의 상호작용으로 구축되는 연쇄적 관극 문화에 관한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제63호, pp.261-315, 2019.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0/12/1275512/, 2021.8.6.
최연수, 뮤지컬 관객의 재관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박성연,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형성과 자발적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민지혜,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차윤미, 한국뮤지컬로 바라본 대중문화 속 팬덤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김현우, 밀레니얼 세대 청년층의 수도권 재집중화 요인에 관한 연구: 삶의 자기결정권 선호와 불안정 속의 안정 선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남주원, '언택트(Untact)' 기법의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마케팅,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5. 최종철(역),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새물결, 2006.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2호, pp.154-176, 2010.
민지은, "문화콘텐츠 소비 촉진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36권, pp.111-136, 2015.
지영호, 민지은, "문화예쑬 향유권 확대를 위한 '문화매개' 및 '문화매개자'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29권, 제1호, pp.28-49, 2015.
J. Smith Maguire and J. Matthews, "Are We All Cultural Intermediaries Now? An Introduction to Cultural Intermediaries in Context,"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Vol.15, No.5, pp.551-562, 2012.
김정현, 김보영, "디지털 문화매개자로서 1인 미디어,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 한국콘텐츠학회문지, 제18권, 제6호, pp.50-62, 2018.
J. Fiske,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I.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김은미, 권경은,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 제49권, 제2호, pp.74-114, 2012.
https://awards.kmusical.kr/history-awards/5rd-awards/, 2021.8.10.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0/08/850009/, 2021.8.10.
https://tv.naver.com/l/52130, 2021.7.1.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미디어, 젠더&문화, 제21호, pp.101-134, 2012.
김지현, 이상길,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1호, pp.5-40, 2012.
김은미, 권경은, "공연예술계 온라인 문화매개자의 등장과 변화," 언론정보연구, 제49권, 제2호, pp.74-114, 2012.
이호영, 박현주, 김세은, 서우석, 이상길, 황준옥, 인터넷으로 인한 문화권력의 변동,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J. Fiske,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NY:Routledge, 1989.
오수연, "언택트를 넘어 온택트 뜬다," 마케팅, 제54권, 제6호, pp.55-611, 2020.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2004.
J. Grotowski, Towards a Poor Theatre, NY:Routledge, 2002.
P. Kotler and J. Scheff, Standing Room only: Strategies for Marketing the Performing Arts, Boston, Mass: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7.
S. Nixon and P. Du Gay, "Who Needs Cultural Intermediaries?," Cultural Studies, Vol.1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