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YOLO와 OCR 알고리즘에 기반한 시각 장애우를 위한 유통기한 알림 시스템
Expiration Date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YOLO and OCR algorithms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6, 2021년, pp.1329 - 1338  

김민수 (동서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문미경 (동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한창희 (동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자를 제외한 시각 장애우들이 유통기한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시각 장애우들의 식품 안전성이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우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실시간 객체 인식 알고리즘(you only look once, YOLO) 및 광학 문자 인식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에 기반한 유통기한 알림 시스템을 개발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총 4가지 단계로 시각 장애우에게 유통기한 정보를 전달한다: (1) 표적 제품의 바코드 스캔을 통한 제품 확인 (2)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품 영상에서 YOLO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유통기한이 표기된 이미지 영역 검출; (3) 검출된 이미지 영역에서 OCR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문자 인식; (4) Text to Speech (TTS) 기술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 성능 평가를 위한 온라인 실험 결과, 앞이 보이지 않는 피험자가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해서 제품의 유통기한을 평균 86%의 높은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안하는 시스템이 저시력자를 포함한 시각 장애우들의 식품 안전성 확보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rarely effective methods to help visually impaired people when they want to know the expiration date of products excepted to only Braill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xpiration date notification system based on YOLO and OCR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The handicapped people can autom...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2)

  1. Alzanet Special Education Archives, "World Disability Report 2011," Report, 2011. 

  2. Korea Consumer Agency,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guideline of medicine braille," Report, 2019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n the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echnical survey, 2017. 

  4. A. Koul, A. Li, E. Haroun, I. W. L. Chen, S. Sharma, C. Bianchet, S. Shaikh, S. Morichere - Matte, B. T. Lai, N. P. K. Lam, and W. Lu, "Augmented imaging assistance for visual impairment," 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5/242940, Aug. 2016. 

  5. J. Shim, H. Lee, J. Shin, G. Kim, and Y. Han,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Prevention of Accidents of Visually Impaired Peopl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4, no. 06, Dec. 2019, pp. 1241-1248. 

  6. T. A. Qureshi, M. Rajbhar, Y. Pisat, and V. Bhosale, "AI Based App for Blind People," International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Journal, vol. 08, no. 03, Mar. 2021, pp. 2883-2887. 

  7. S. Kim, Y. Bang, and S. Cho, "Expiration Date Management Program,"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2017. no. 6, June. 2017, pp. 1712-1714. 

  8. S. Choi, Y. Cho, and Y. Lee, "Automated management of food expiration date using text recognition,"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2019. no. 6, June. 2019, pp. 1660-1662. 

  9. S. Oh and Y. Bae, "Braille Block Recognition Algorithm for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YOLO V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31, no. 1, Feb. 2021, pp. 60-67. 

  10. J. Yoo, D. Han, C. Hur, and U. Oh, "YOLO-based Walking Assistance Application for Blind People,"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2019. no. 6, June. 2019, pp. 1776-1778. 

  11. J. Lee and H. Song, "An On-Line Barcode Verifica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07, no. 05, Oct. 2012, pp. 1053-1059. 

  12. S. Park, N. Kim, M. Jeong, D. Hwang, U. Enkhjargal, B. Kim, M. Park, H. Yoon, and W. Seo, "Study on Detection Technique for Coastal Debris by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Sensing and Object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Deep Learning,"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5, no. 06, Dec. 2020, pp. 1209-1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