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덕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능보조 디바이스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Auxiliary Device to Improve Induction Safety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6, 2021년, pp.1263 - 1270  

김민경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서동민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유동헌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유진영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정성호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최헌수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백수황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음식 문화생활은 소비자들이 직접 요리를 하는 트렌드로 변화하고 있으며 인덕션 조리기구의 사용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리 인구 증가에 따른 요리의 편리성을 향상하도록 인덕션 조리기구의 안전성 개선을 위한 기능보조 디바이스 개발을 제안한다. 제안한 디바이스는 앱을 통해 IoT와 연동된다. 앱을 통해 디바이스는 인덕션의 화력 조절과 시간 예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시 용기의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고,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인덕션을 사용할 수 있다. 제작한 디바이스를 통해 실제 조리 상황을 가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디바이스를 통해 조리 시에 사용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초과 조리, 또는 물 넘침과 같은 위급상황 시에 사용자를 위한 안전성 개선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the food culture life, the trend of consumers cooking is changing, and the use rate of induction cookware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functional auxiliary device to improve the safety of induction cookwar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cookin...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3)

  1. K. Lee, "A s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consumer policies with the advent of one-person household era," J. of Consumer Policy Studies, vol. 48, no. 2, Aug. 2017, pp. 61-85. 

  2. S. Lee and D. Lee, "Lessons learned from battling covid-19: the korean experience," Int. J.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17, no. 20, 2020, pp. 1-20. 

  3. C. Jeong, Y. Moon, and Y. Hwang, "Analysis for daily food delivery & consumption trends in the post-covid-19 era through big data," J.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26, no. 1, Jan. 2021, pp. 231-238. 

  4. J. Mun, H. Ban, and H. Kim,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meal-kit: after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19 (COVID-19),"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vol. 26, no. 10, Oct. 2020, pp. 198-207. 

  5. H. Oh, "Analysis of major social changes and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fter covid-19,"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ol. 38, no. 9, Sept. 2020, pp. 48-56. 

  6. S. Hong, "A study on one-person households and their media consumptions," Information Society & Media, vol. 16, no. 3, Dec. 2015, pp. 59-84. 

  7. K. Yoon and S. Baek, "A study on the structural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cantilever actuator for removal of pollutant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4, no. 4, Aug. 2019, pp. 651-656. 

  8. H. Lee and J. Oh, "A study of indoor air monitoring IoT system customized for medical institution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5, no. 6, Dec. 2020, pp. 1217-1222. 

  9. D. Seo and K. Yoon, "A study on indoor air-quality improvement system using actuator,"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6, no. 1, Feb. 2021, pp. 183-190. 

  10. D. Park, M. Kwon, D. Lee, E. Seo, and Y. Park, "Study on the cooling performance of heatsink for induction cooktop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he Korean Society for Fluid machinery J. of Fluid Machinery, vol. 18, no. 3, 2015, pp. 33-37. 

  11. H. Gu, B. Kim, and Y. Yoon, "Fabrication of conductive pastes for induction cookware with the variation of the contents of silver powder and glass frit,"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9, no. 11, 2016, pp. 690-695. 

  12. M. Lee, M. Jeong, and M. Kang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PM2.5) emission on cooking condition," The J.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1, Feb. 2018, pp. 325-329. 

  13. C. Long, H. Suh, and P. Koutrakis, "Characterization of indoor particle sources using continuous mass and size monitors," J.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 50, no. 7, July 2000, pp. 1236-12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