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프린터의 출력시간 단축과 재료소모량 감소를 통한 편의성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venience through Reduction of Printing Time and Material Consumption of 3D Printer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5, 2021년, pp.909 - 916  

김성연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김은찬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김희찬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남재욱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이상우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  백수황 (상명대학교 휴먼지능로봇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D 프린터는 개인의 창의력을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특성을 활용하려는 사람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적합한 프린팅 교육의 기회 부족과 잘못된 출력 방법으로 문제 발생의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저하된 출력물 품질이 사용자의 관심을 낮춰 점차 3D 프린터의 활용빈도 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의 오작동 해결과 편의성의 개선을 위해 직접 기기를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분석했다. 여러 문제점 중 안착 불량, 스트링 현상, 노즐 막힘을 중점으로 해결과 완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3D 프린터의 기능을 실험을 통해 재료소모량 감소와 출력시간 단축 방법을 고찰했다. 최종적으로 3D 프린팅 중 빈번하게 발생하는 출력문제를 해결해 외관이 온전한 출력물을 얻을 수 있었고 편의성을 개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3D printing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truly realize their creativity.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want to take advantage of this feature but they have lack opportunities for suitable printing training and struggle with problems with incorrect printing methods...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4)

  1. J. Park, "Correlation analysis of product element and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utilization of 3D printing," J.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 19, no. 1, Mar. 2020, pp. 91-108. 

  2. C. R. Hatz, B. Msallem, S. Aghlmandi, P. Brantner, and F. M. Thieringer, "Can an entry-level 3D printer create high-quality anatomical models Accuracy assessment of mandibular models printed by a desktop 3D printer and a professional device," Int. J.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ol. 49 no. 1, Jan. 2020, pp. 143-148. 

  3. M. Kim, M. Kim, and Y. You, "Food 3D printing technology and food material of 3D printing," Clean Techology, vol. 26, no. 2, 2020, pp. 109-115. 

  4. S. Lee, "Prospect for 3D printing technology in medical, dental, and pediatric dental field," J.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ol. 43, no. 1, 2016, pp. 93-108. 

  5. N. Sathishkumar, A. S. M. Udayakumar, B. Vincent, and V. A. Kumar, "Study and analysis of 3D printed FDM components by non-destructive testing techniques," Int. J. of Research and Review, vol. 7, no. 5, 2020, pp. 217-222. 

  6. S. Dul, L. Fambri, and A. Pegoretti, "Fused deposition modeling with ABS-graphene nanocomposites,"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ng, vol. 85, 2016, pp. 181-191. 

  7. S. Park, J. Park, H. Lee, and N. Lee, "Current status of biomedical application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J.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vol. 31, no. 12, 2014, pp. 1067-1076. 

  8. Y. Kim, K. Kim, and C. Lee, "Accuracy improvement of output in pojection sereolithography by optimizing projection resolution," J.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vol. 24, no. 6, 2015, pp. 710-717. 

  9. D. Jang, H. Lee, and J. Oh, "Design of individual 3D printer remote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beacon,"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vol. 15, no. 2, Apr. 2020, pp. 225-230. 

  10. D. Jang, H. Lee, and J. Oh, "Design of IoT system for 3D printer multi-manage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5, no. 4, Aug. 2020, pp. 759-764. 

  11. W. Kim and S. Lee, "Structural design of 3D printer nozzle with superior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for deposition of materials with high melting poi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5, no. 2, Apr. 2020, pp. 313-318. 

  12. H. Jeon, J. Park, S. Kim, K. Park, and C. Yoon, "Effect of nozzle temperature on the emission rate of ultrafine particles during 3D printing," Indoor Air, vol. 30 no. 2, Mar. 2020, pp. 306-314. 

  13. N. Shahrubudin, T. Lee, and R. Ramlan, "An overview on 3D printing technology: technological, materials, and applications," Procedia Manufacturing, vol. 35, 2019, pp. 1286-1296. 

  14. S. Choi and S. Hwang, "3D printing design for minimizing flection phenomenon,"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12, Dec. 2014, pp. 1415-14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