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한 도서관 정책 및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Policy and Performance Analysis to Practice Social Inclus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5 no.4, 2021년, pp.245 - 266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신영지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사회적 포용을 실천하기 위해 현재 제3차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발표된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해당 정책을 기반으로 중앙행정기관과 시·도 도서관에서 추진한 과제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적극적 정보 복지 실현 측면에서는 지식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으나, 향후 대상 범위를 확대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체제 구축 및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간의 개방성 확대 측면에서는 열린공간으로서의 개방공간 확장 및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이 수행되고 있다. 향후 지속적인 공간 재구성을 위한 예산 투자 및 이용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범위 확대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경계를 넘는 서비스의 연계 측면에서는 영·유아, 어린이, 여성, 노인, 소외계층, 구직자, 다문화 가정 등을 대상으로 서비스 및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향후 도서관의 포용적 서비스 확장을 위한 서비스 제도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련 부처들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향후 사회적 포용을 위한 정책 수립 시 장서,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과제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한 사서의 교육과 유관기관과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마케팅에 관한 추진과제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practice the social inclusion of libraries, the related policies currently announced in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were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asks promot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ibraries was e...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6)

  1. Kang, Ji-Hye & Bae, Jae-Bae (2020). Strategies for increasing library inclusion by analyzing local-based demands of vulnerable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2), 295-318. 

  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Sejong: Ministry of Science and ICT. 

  3. Nam, Young-Joon (2007).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library service for the alienated clas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4), 49-68. 

  4. Noh, Younghee & Ro, Ji-Yoon (2020).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utilization of libraries as evacuation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2), 55-77. 

  5. Noh, Younghee & Chang, Rosa (2019a).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poo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3), 63-82. 

  6. Noh, Younghee & Chang, Rosa (2019b).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inequality measurement indicator optimized for th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4), 53-81. 

  7.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2014). The 2n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4~2018). Seoul: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8.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2019).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9-2023). Seoul: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9. Yoon, Hee-Yoon (2012). Strategie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lass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3-75. 

  10. Lee, Jung Yeoun (2011). A study on the social welfare library policy for the information alienated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2), 27-39. 

  11. Lee, Jungyeoun & Kim, Hyunae (2021). A study on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nd user experience of public library in contactless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2(1), 223-246. 

  12. Chang, Durk Hyun (2012).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ervice agenda for the core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3), 193-210. 

  13. Policy Briefing (2021). A state-of-the-art inclusive state. Available: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55401#L2 

  14. Kaeding, J., Velasquez, D. L., & Price, D. (2017). Public libraries and acces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 proposed inclusive library model. Journal of the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66(2): 96-115. 

  15. Noh, Y. H., Ahn, I. J., & Park, M. Y. (2011).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2), 29-42. 

  16. Okeke, O. C., Eze, S. G. N., Eze, J. U., & Asogwa, G. E. (2017). Status of medical library resources and services in teaching hospitals in Enugu State, Nigeria: implications for quality health care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7(2), 2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