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척제를 사용한 과일 및 채소의 세척단계별 계면활성제 잔류량
Determining the residual surfactants in the fruits and vegetable washed with deterg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6, 2021년, pp.792 - 798  

이소정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박나연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고영림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김정환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일 및 채소의 세척방법에 대한 실태와 세척제를 야채과일의 세척에 사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 6종(LAS, SLES, AOS, SLS, CAPB, LDAO)의 잔류 정도를 LC-MS/M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과일 및 채소 세척 시 세척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4-16%이며, 이중 세척제의 표시사용 농도를 인지하고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14%에 불과하였다. 표시 사용량인 0.2%로 세척제를 희석하여 야채와 과일을 담근 경우 평균 2.61%의 계면활성제 잔류율을 보였으며, 표시사용농도의 5배와 25배로 희석한 1와 5% 세척액의 경우 평균 4.68-5.50%의 계면활성제 잔류율을 보였다. 헹굼과정에서 방울토마토는 0.2% 세척액으로 세척 후 30초간 1회 헹굼을 하면 계면활성제가 잔류하지 않았으며 1%와 5% 세척액은 2회 반복 시 잔류하지 않았다. 상추의 경우 0.2%와 1% 세척액으로 세척 후 30초간 2회 헹굼을 하면 계면활성제가 잔류하지 않았으며 5% 세척액은 3회 반복 시 잔류하지 않았다. 따라서 1종 세척제를 사용하여 과채류를 세척할 경우 제품에 표기되어 있는 표시사용량을 준수하고, 깨끗한 물로 30초씩 3회 이상 헹구는 것이 계면활성제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washing conditions in which surfactants were not detected after washing fruits and vegetables with detergent. Residual surfactants were analyzed using LC-MS/MS. The analyzed surfactants were LAS, SLES, AOS, SLS, CAPB, and LDAO. The survey found that 14% of t...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1)

  1. Broze G. Handbook of detergents, Part A: Properties, surfactants: Classification. CRC Press. NY, USA (1999) 

  2. Bureau of Social Welfare and Public Health,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Results of a Survey on Neutral Detergent. Bureau of Social Welfare and Public Health,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Tokyo. Japan. (1973) 

  3. Farn RJ. In Chemistry and Technology of Surfactants. Blackwell, Oxford, United Kingdom (2008) 

  4. Hong SU, Lee HW, Yu YH. Toxicological studies on surfactants and synthetic detergents. Korea. J. Environ. Toxicol. 5: 37-44 (1990) 

  5. Hrabak A, Antoni F, Szabo MT. Damaging effect of detergents on human lymphocytes. B Environ Contam Tox. 28: 504-511 (1982) 

  6. Ivankovic T, Hrenovic J. Surfactants in the environment. Arh Hig Rada Toksikol. 61: 95-110 (2010) 

  7. Kim JS, Bang OK,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ood Hyg. Saf. 19: 60-65 (2004) 

  8. Kim EH, Jung BK, Son YJ, Kim MS, Lee HK, Kim YC, Oh YH. Residual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s on tablewares, fruits and vegetables after washing with detergent. Report of S.I.H.E. 52: 23-33 (2016) 

  9. Kim HS, Nam SW, Lee HW, Hong SU. Study on the residual amounts and its safety of synthetic detergents and commercial surfactants on the surfaces of fruits, vegetables and tableware. Korea J. Environ. Toxicol. 9: 1-11 (1994) 

  10. Ko BS, Jeon TH, Jung KS, Lee SK. Removal Effects of Organic-Phosphorus Pesticide Residue in lettuce by washing methods. Korean J of Rural med. 21: 159-171 (1996) 

  11. Ku PT, Jin SH, Kang JM, Kwon HD, Park SH, Lee JY.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treated by additional materials. Appl Biol Chem. 48: 388-393 (2005) 

  12. MFDS. Risk Assessment of Cosmetic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p. 195-214 (2018) 

  13. MFDS. The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cleansing and hygie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p. 10-12 (2019) 

  14. MFDS. Food Additives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 1714 (2020)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Foodborne disease outbreak.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main.do, Accessed Jul. 20, 2021. 

  16. Painter JA, Hoekstra RM, Ayers T, Tauxe RV, Braden CR, Angulo FJ, Griffin PM. Attribution of foodborne illnesses, hospitalizations, and deaths to food commodities by using outbreak data, United States, 1998-2008. Emerg Infect Dis 19: 407-415 (2013) 

  17. Park NY, Lee SJ, Kim JH, Kho YL. Analysis method of surfactants for identification of residue dishwashing detergent. J. Korean Chem. Soc. In press (2021) 

  18. Seweryn A, Klimaszewska E, Ogorzalek M. Improvement in the safety of use of hand dishwashing liquids through the addition of sulfonic derivatives of alkyl polyglucosides. J. Surfact. Deterg. 22: 743-750 (2019) 

  19. Song HY, Kim YH, Seok SJ, Gil HW, Yang JO, Lee EY, Hong SY. Cellular toxicity of surfactants used as herbicide additives. J. Korean Med. Sci. 27: 3-9 (2012) 

  20. Tolls J, Kloepper-Sams P, Sijm THM. Surfactant bioconcentration-A critical review. Chemosphere 29: 693-717 (1994) 

  21. Wang Z, Huang J, Chen J, Li F. Effectiveness of dishwashing liquids in removing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residues from cherry tomatoes. Chemosphere 92: 1022-102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