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민 옥사이드 양쪽성 계면활성제 첨가가 리포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Amine Oxide Zwitterionic Surfactant on Characteristics of Liposom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3, 2016년, pp.291 - 298  

모다희 (동국대학교-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이수민 (동국대학교-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이주연 (동국대학교-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  한동성 (애경산업(주) 중앙연구소) ,  임종주 (동국대학교-서울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H 변화에 따른 양쪽성 계면활성제 첨가가 리포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고 $^1H$ NMR, $^{13}C$ NMR 및 FT-IR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계면활성제의 임계 마이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표면장력 등의 계면 물성(interfacial property)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타 전위(zeta potential) 측정을 통하여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양이온 계면활성제(cationic surfactant)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로 작용이 전환되는 등전점(isoelectric point)을 결정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전점을 중심으로 한 pH 변화 및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 길이가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 변화 및 제타 전위 등과 같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살펴보았다. 또한 pH 및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 길이 변화에 따른 및 리포좀과 계면활성제의 결합 정도(binding degree) 및 리포좀 막의 가변형성(deformability) 등의 측정을 통하여 리포좀 막의 유동성(fluidity)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zwitterionic surfactants were added to liposome systems at different pH condition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urfactants on liposom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amine oxide surfactants having different hydrocarbon chain lengths were synthesized and the structure of the res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전점을 중심으로 한 pH 변화 및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 길이가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변화 및 제타 전위 등과 같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살펴보았다. 또한 pH 및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 길이 변화에 따른 및 리포좀과 계면활성제의 결합 정도 및 리포좀 막의 가변형성 등의 측정을 통하여 리포좀 막의 유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C NMR 및 FT-IR 분석을 통하여 구조를 규명하였으며, 계면활성제의 임계 마이셀 농도 및 표면장력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타 전위 측정을 통하여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양이온 계면활성제에서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작용이 전환되는 등전점을 결정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전점을 중심으로 한 pH 변화 및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의 탄화수소 사슬 길이가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변화 및 제타 전위 등과 같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어떤 특성으로 인해 어떠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가? pH 조건에 따라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띄는 양쪽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혹은 amphoteric surfactant)는 피부, 눈 및 점막에 대하여 온화하며, 생분해가 높고 독성이 적으며, 강산 및 강염기 조건에서도 안정하므로 화장품, 샴푸, 목욕세제, 액체비누, 피부세정제, 화장 제거용크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21-28].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의 pH 조건에 따라 양이온과 비이온 혹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한 분자를 가지고 세정, 유연, 대전방지, 저자극성 등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의 pH에 관한 특징은 무엇인가? pH 조건에 따라 음전하 또는 양전하를 띄는 양쪽성 계면활성제(zwitterionic 혹은 amphoteric surfactant)는 피부, 눈 및 점막에 대하여 온화하며, 생분해가 높고 독성이 적으며, 강산 및 강염기 조건에서도 안정하므로 화장품, 샴푸, 목욕세제, 액체비누, 피부세정제, 화장 제거용크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21-28].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의 pH 조건에 따라 양이온과 비이온 혹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한 분자를 가지고 세정, 유연, 대전방지, 저자극성 등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복합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피부, 눈 및 점막에 대하여 온화하며,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성질로 화장품, 샴푸, 목욕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어, 환경과 인체에 무해하고 자극이 적으며, 생분해성을 동시에 갖춘 제품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1-28].
계면활성제는 어떠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가?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 surfactant)는 한 분자 내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동시에 가진 양친매성(amphiphilic) 화합물로서 용액의 표면장력 저하, 유화, 가용화, 분산, 기포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섬유 산업, 염색 산업, 피혁 산업, 제지, 화장품, 의약, 농약, 고분자, 플라스틱 관련 산업, 자동차, 페인트와 도료, 금속공업용, 토목․건축 산업, 생활용품, 세정제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있다[5-20]. 또한 나노기술(nanotechnology)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계면활성제의 초분자적 미세구조(molecular assembly)를 고기능성 나노 입자와 분자 자기조립 박막 제조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 D. Bangham, M. M. Standish, and J. C. Watkis, Diffusion of univalent ions across the lamellae of swollen phospholipids, J. Mol. Biol., 13, 238-252 (1965). 

  2. P. M. Elias and D. S. Friend, The permeability barrier in mammalian epidermis, J. Cell Biol., 65, 180-191 (1975). 

  3. C. D. Stubbs, T. Kouyama, K. Kinosita Jr., and A. Ikegami, Effect of double bonds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hydrocarbon region of lecithin bilayers, Biochemistry, 20, 4257-4262 (1981). 

  4. J. Marcelino, J. L. F. C. Lima, S. Reis, and C. Matos, Assessing the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posome membranes, Chem. Phys. Lipids, 14, 94-103 (2007). 

  5. W. G. Cutler and E. Kissa, Detergency: Theory and Technology, Surfactant Science Series, 20, 1, Marcel Dekker, New York (1987). 

  6. A. M. Schwartz, The Physical Chemistry of Detergency ed. E. Matijevic, Surface Colloid Sci., 195, Wiley, New York (1972). 

  7. C. A. Miller and P. Neogi, Interfacial Phenomena: Equilibrium and Dynamic Effects, Surfactant Science Series, 17, 150, Marcel Dekker, New York (1985). 

  8. J. C. Lim, Phase equilibrium, dynamic behavior and detergency in systems containing hard surface soils and nonionic surfactant, J. Kor. Ind. Eng. Chem., 6, 610-617 (1995). 

  9. J. C. Lim, Dynamic behavior study using videomicroscopy in systems containing polar oils and nonionic surfactant, J. Kor. Ind. Eng. Chem., 8, 473-481 (1997). 

  10. S. K. Lee, J. W. Han, B. H. Kim, P. G. Shin, S. K. Park, and J. C. Lim, Solubilization of sulfur compounds in the diesel oil by nonionic surfactants, J. Kor. Ind. Eng. Chem., 10, 537-542 (1999). 

  11. H. K. Ko, B. D. Park, and J. C. Lim, Studies on phase behavior in systems containing NP-series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D-limonene, J. Kor. Ind. Eng. Chem., 11 679-686 (2000). 

  12. J. G. Lee, S. S. Bae, I. S. Cho, S. J. Park, B. D. Park, S. K. Park, and J. C. Lim, Effect of cosurfactant on microemulsion formation and cleaning efficiency in systems containing alkyl ethoxylates nonionic surfactant, D-limonene and water, J. Kor. Ind. Eng. Chem., 16, 664-671 (2005). 

  13. J. G. Lee, S. S. Bae, I. S. Cho, S. J. Park, B. D. Park, S. K. Park, and J. C. Lim, Effect of solvents on phase behavior and flux removal efficiency in alkyl ethoxylates nonionic surfactant based cleaners, J. Kor. Ind. Eng. Chem., 16, 677-683 (2005). 

  14. J. C. Lim, Effect of cosurfactant on intermediate phase formation in systems containing alkyl ethoxylate nonionic surfactant, water and lubricant, J. Kor. Ind. Eng. Chem., 16, 778-784 (2005). 

  15. M. J. Bae and J. C. Lim, Solubilization mechanism of n-octane by polymeric nonionic surfactant solution, J. Kor. Ind. Eng. Chem., 20, 15-20 (2009). 

  16. M. J. Bae and J. C. Lim, Dynamic behavior study using videomicroscopy in systems cotaining nonpolar hydrocarbon oil and C10E5 nonioinc surfactant solution, J. Kor. Ind. Eng. Chem., 20, 473-478 (2009). 

  17. M. J. Bae and J. C. Lim, Solubilization mechanism of hydrocarbon oils by polymeric nonionic surfactant solution, Korean Chem. Eng. Res., 47, 24-30 (2009). 

  18. M. J. Bae and J. C. Lim, Dynamic behavior study in systems containing nonpolar hydrocarbon oil and $C_{12}E_{5}$ nonionic surfactant, Korean Chem. Eng. Res., 47, 46-53 (2009). 

  19. S. Lee, B. J. Kim, J. G. Lee, and J. C. Lim,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sorbitan laurate surfactant, Appl. Chem. Eng., 22, 37 (2011). 

  20. S. Lee, B. J. Kim, J. G. Lee, and J. C. Lim, A study on synthesis of glycidol based nonionic surfactant, Appl. Chem. Eng., 50, 282-291 (2012). 

  21. M. J. Rang, J. D. Kim, S. G. Oh, B. M. Lee, J. C. Lim, J. D. Hong, H. H. Kang, and J. G. Lee,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Colloid and Interface Chemistr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80, 45, Seoul (2007). 

  22. J. S. Kim, J. S. Park, and J. C. Lim, Measurement of isoelectric point of amine oxide zwitterionic surfactant by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 J. Kor. Ind. Eng. Chem., 20, 9-14 (2009). 

  23. J. S. Kim, J. S. Park, and J. C. Lim, Measurement of isoelectric point of betaine zwitterionic surfactant by QCM(quartz crystal microbalance), Korean Chem. Eng. Res., 47, 31-37 (2009). 

  24. J. C. Lim and D. S. Han, Synthesis of dialkylamidoamine oxide surfactant and characterization of its dual function of detergency and softness, Colloids Surf. A, 389, 166-174 (2011). 

  25. J. C. Lim, D. H Mo, J. S. Lee, J. S. Park, and D. S. Han, Measurement of an isoelectric point and softness of a EO-PO adducted zwitterionic surfactant, Korean Chem. Eng. Res., 50, 455-463 (2012). 

  26. J. C. Lim, J. S. Kim, D. H Mo, and J. S. Lee, Measurement of an isoelectric point and softness of a zwitterionic surfactant, Appl. Chem. Eng., 23, 112-118 (2012). 

  27. J. S. Kim, D. H. Mo, J. S. Lee, J. S. Park, D. S. Han, and J. C. Lim, Study on softness of an EO adducted amine oxide zwitterionic surfactant, Korean Chem. Eng. Res., 50, 960-968 (2012). 

  28. J. C. Lim, J. S. Park, D. S. Han, J. S. Kim, S. Lee, D. H. Mo, and J. S. Lee, A study on isoelectric point and softness of an ethylene oxide adducted amphoteric surfactant, Appl. Chem. Eng., 23, 521-528 (2012). 

  29. E. J. Bae, J. J. Lee, Y. H. Kim, K. H. Choi, and J. H. Yi,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safety assessment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J. Korean Soc. Environ. Anal., 12, 59-73 (2009). 

  30. R. A. A. Muzzarelli,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chitosan, Anal. Biochem., 260, 255-257 (1998). 

  31. B. A .I. van den Bergh, P. W. Wertz, H. E. Junginer, and J. A. Bouwstra, Elasticity of vesicles assess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electron microscopy and extrusion measurements, Int. J. Pharm., 217, 13-2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