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놀이 연주자의 악기 대상관계 경험
Samulnori Musicians' Experiences of Object Relations With Their Instrument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8 no.2, 2021년, pp.87 - 107  

김천사 (광명장애인종합복지관) ,  김경숙 (수원대학교 음악대학원 음악융합학과 음악치료상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가 사물놀이에서 경험하는 악기와의 대상관계 현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사물놀이 연주자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Giorgi(2004)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21개의 의미단위, 7개의 하위 범주, 3개의 대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대범주는 '중간대상의 매체', '내적 욕구 표현 및 인식의 수단', '타인 인식과 소통의 도구'로 나타났다.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내적 몰입을 도와주는 대상 경험을 하게 하는 매체가 된다. 또한 연주자는 악기연주를 통해 자신의 내적 욕구를 표현하고 자신의 성격과 정체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다. 이와 동시에 연주자는 악기 특성과 사물놀이에서의 역할에 따라 악기를 사람처럼 대상화하여 내적 표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주에서의 관계를 이해하고 타연주자와 소통한다. 마지막으로 사물놀이에서 악기는 연주자에게 이상적 자기 성격에 따른 대리적 대상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물놀이라는 합주 형태가 연주자의 대상관계 발달을 촉진하며 연주자의 내면화된 표상체계와 상호작용 방식을 외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연주자와 악기 간의 심리내적인 기능적 관계를 밝히고 음악치료에서 사물놀이 악기 활용에 대한 기초를 제시해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phenomenon of object relations with musical instruments as experienced by professional Samulnori musicia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five Samulnori players who also completed questionnaires with open-ended questions....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6)

  1. Boesky, D. (1983). The problem of mental representation in self and object theory. The Psychoanalytic Quarterly, 52(4), 564-583. 

  2. Bruscia, K. E. (1987).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Publishers. 

  3. Builione, R. S., & Lipton, J. P. (1983). Stereotypes and personality of classical musicians. Psychomusicology: A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Cognition, 3(1), 36-43. 

  4. Chong, H. J. (200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5. Chong, H. J. (2011). Influence of music on human behavior. Seoul: Hakjisa. 

  6. Creswell, J. W. (2014).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7. Fairbairn, W. R. D. (1952). Psychoanalytic studies of the personality. London: Routledge. 

  8. Fortney, P. M., Boyle, J. D., & DeCarbo, N. J. (1993). A study of middle school band students' instrument choice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1(1), 28-39. 

  9. Giorgi, A. (2004).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K. L. Shin, Y. J. Jang, I. S. Park, M. Y. Kim, & S. E. Jung, Trans.). Seoul: Hyunmoon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10. Hamilton, N. G. (2007). An introduction to object relations (J. S. Kim, C. D. Kim, J. Y. Lee, Trans.). Seoul: Hakjisa.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11. Horner, A. J. (1984). Object relations and the developing ego in therapy. New York: Jason Aronson. 

  12. Jeon, J. Y. (2015). Samulnori as a symbol of Korean society.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12, 117-136. 

  13. Ju, J. Y. (2010). Achievements of cultural-commercial aspects of Samulnori through an analysis of its hist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4. Kim. J. S. (2001). A review of object relations theory and its application in counsel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2), 327-343. 

  15. Kim, S. D. (2020). A musical analysis of Kim Duk-Soo's Samdo Seol Jang-gu melody: Centered on the "Samdo Seol Jang-gu melody" performance from the 2nd Korean traditional music festival in 1982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Seoul. 

  16. Klein, M. (1952). Some theoretical conclusions regarding the emotional life of the infant. New York: Delacorte Press. 

  17. Klein, M. (1975). The psychoanalysis of children. New York: Delacorte Press. 

  18. Kohut, H., & Levarie, S. (1950). On the enjoyment of listening to music. The Psychoanalytic Quarterly, 19(1), 64-87. 

  19. Korstjens, I., & Moser, A. (2018). Series: Practical guidance to qualitative research. Part 4: Trustworthiness and publishing. European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4(1), 120-124. 

  20. Moustakas, C.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21. Omery, A. (1983). Phenomenology: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2), 49-64. 

  22. Paek, D. U. (2003). Langue and parole of traditional music. Seoul: Tongnamu. 

  23. Rangell, L. (1985). The object in psychoanalytic theory.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33(2), 301-334. 

  24. Rhee, H. J. (2006). Role of music in therapist-client relationship.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3(2), 29-44. 

  25. Summers, F. (2004). Object relations theories and psychopathology: A comprehensive text (J. H. Lee, Trans.). Seoul: Korean Institute for Contemporary Psychoanalysis. (Original work published 1994) 

  26. Yeo, S. B. (2014). A textlinguistic analysis on Samulnori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