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설악산 토양 내 황사의 퇴적과 풍화
Dust Deposition and Weathering in Soils of Seoraksan 원문보기

광물과 암석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v.34 no.4, 2021년, pp.255 - 264  

정기영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는 황사의 이동 경로에 있으나, 풍화와 침식이 활발한 산악 지형에서 황사의 퇴적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설악산 알칼리장석화강암 토양의 세립실트(< 20 ㎛)에 점토광물 특성, 광물조성, 미세조직 분석을 실시하여 산악지역 토양 내 황사퇴적물의 존재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지역 토양 세립실트는 기반암 유래 쇄설성 입자, 황사퇴적물, 그리고 이들의 풍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토양 내 황사기원 광물로 2:1 층상규산염, 녹니석, 각섬석, 녹염석, 함칼슘사장석이 확인되었다. 기반암인 알칼리장석화강암은 석영과 알칼리장석으로 구성되며, 알칼리장석 중 앨바이트가 부분적으로 풍화되어 소량의 깁사이트와 고령토 광물이 생성되었다. 산성토양환경에서 일라이트-스멕타이트 계열 2:1 층상규산염의 팽윤성 층간에 다핵 Al 양이온 종들이 교환 및 고정되어 히드록시-Al삽입점토광물이 생성되었다. 2:1 층상규산염 총량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조사한 토양 세립실트 내 황사의 양은 70% 정도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n dust (Hwangsa)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Korean Peninsula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ir existence in mountainous terrain undergoing active erosion and weathering. This study examined Asian dust sediments mixed in soils by analysing clay mineralogy, mineral composition, and microtextur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3)

  1. Banhisel, R.I. and Bertsch, P.M., 1989, Chlorites and hydroxyinterlayered vermiculite and smectite. In Minerals in Soil Environment (eds. Dixon, J.B. and Weed, S.B.),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729-788. 

  2. Georgiadis, A., Dietel, J., Dohrmann, R. and Rennert, T., 2020, What are the nature and formation conditions of hydroxy-interlayered minerals (HIMs) in soil? Journal of Plant Nutrition and Soil Science, 183, 12-26. 

  3. Jackson, M.L., 1962, Interlayering of expansible layer silicates in soils by chemical weathering. Clay and Clay Minerals, 11, 29-46. 

  4. Jeong, G.Y., 2008,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sian dust and a comparison with its source soil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 113, D02208, doi:10.1029/2007JD008606. 

  5. Jeong, G.Y., 2020,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Asian dust: dependence on migration path, fractionation, and reactions with polluted air.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20, 7411-7428 

  6. Jeong, G.Y. and Achterberg, E.P., 2014, Chemistry and mineralogy of clay minerals in Asian and Saharan dusts and the implications for iron supply to the ocea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4, 12415-12428. 

  7. Jeong, G.Y. and Nousiainen, T., 2014, TEM analysis of the internal structures and mineralogy of Asian dust particles and the implications for optical modeling.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4, 7233-7254. 

  8.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08, Quantitative bulk and single-particle mineralogy of a thick Chinese loesspaleosol section: implications for loess provenance and weathering. Quaternary Science Reviews, 37, 1271-1287. 

  9. Jeong, G.Y., Hillier, S. and Kemp, R.A., 2011, Changes in mineralogy of loess-paleosol sections across the Chinese Loess Plateau. Quaternary Research, 75, 245-255. 

  10. Jeong, G.Y., Choi, J.H., Lim, H.S., Seong, C.T. and Yi, S.B., 2013, Deposition and weathering of Asian dust in Paleolithic sites,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78, 283-300. 

  11. Jeong, G.Y., Kim, J.Y., Seo, J., Kim, G.M., Jin, H.C. and Chun, Y., 2014, Long-range transport of giant particles in Asian dust identified by physical, mineralogical, and meteorological analysi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4, 505-521. 

  12. Jo, H.-Y., Park, M.Y., and Jeong, G.Y., 2019, Mineralogy, geochemistry, and eolian source of mountain soils on quartzit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5, 87-103. 

  13. Kee, W.-S., Kim, H., Kim, B.C., Choi, S.-J., Park, S.-I. and Hwang, S.K., 2010, Geological Report of the Seoraksan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Korea, 94p. 

  14. Kim, J.C., Lee, Y.I., Lim, H.S. and Yi, S., 2011, Geochemistry of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eongokri archaeological site, Korea: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palaeoenvironments during the Late Pleistocene. Journal of Quaternary Science, 27, 260-268. 

  15. Kim, Y.B., 2010,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amjeom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Korea, 80p. 

  16. Kukla, G. and An., Z., 1989, Loess stratigraphy in central Chin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72, 203-225. 

  17. Kwak, T.H. and Jeong, G.Y., 2017,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properties of clay-silt sediments exposed in Jangdongri, Naju,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30, 11-19. 

  18. Park, M.Y. and Jeong, G.Y., 2016, Mineralogical properties of Asian dust sampled at Deokjeok Island, Incheon, Korea in February 22, 2015.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9, 79-87. 

  19. Shin, J.-B., Naruse, T. and Yu, K.-M., 2005, The application of loess-paleosol deposits on the development age of river terraces at the midstream of Hongcheon River.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323-333. 

  20. Song, K.-Y., Park, S.-I. and Cho, D.-L.,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Sokcho-Yangyang Shee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ejeon, Korea, 81p. 

  21. Viennet, J.-C., Hubert, F., Tertre, E., Ferrage, E., Robin, V., Dzene, L., Cochet, C. and Turpault, M.-P., 2016,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experimental dissolution and auto-aluminization processes of K-vermiculit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180, 164-176. 

  22. Yoon, S., Park, C.-S. and Hwang, S., 2011, Geochemical properties of loess-paleosol sequence in the Haemi area, Seosa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343-362. 

  23. Yu, K.-M., Shin, J.-B. and Naruse, T., 2008, Loess-paleosol stratigraphy of Dukso area, Namyangju City, Korea (South).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96-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