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이 정보보안 태도 미치는 영향연구: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 의도 다중매개효과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wareness o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s: Information Security,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Personal Experience, Information Security Intent Multi-Mediation Effect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12, 2021년, pp.125 - 132  

윤일현 (광주대학교 사회복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정보보호 인식이 정보보안 태도와의 관계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의도의 다중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G대학교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 침해, 정보보안 의식은 단순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정보보안, 개인정보침해, 개인적 경험, 정보보안 의식이 병렬 다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태도 사이에서 개인정보침해와 정보보안 의식은 병렬 다중매개 상태에서 단순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상태에서 정보보안은 단순매개효과가 있지만, 병렬 다중매개상태에서는 단순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실증 비교하였으며, 매개변수를 다중으로 투입하여 연구의 다변화를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person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security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2)

  1. S. H. Kim, H. S. Park(2013).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and Protection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Invasion Experience. Korea Internet e-Commerce Association, 13(4), 79-105. 

  2. H. K. Rhee(2008). A Study of Privacy Protection Awareness of Mobile Phone Us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3(5), 386-394. 

  3. http://www. 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66 (2021. 10. 13). 

  4. K. J. Choi(2017).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53, 177-211. DOI: 10.22851/kjlr.2017..53.005 

  5. K. B. Lee(2016). An Effectiveness Analysis of Polic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6. H. J. Lee(2018). Convergence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4(2), 53-60. DOI: 10.17703/JCCT.2018.4.2.53 

  7. S. Y. Choi, D. Y. Lim, I. S. Ko & I. O. Moon. (2016). Perception and Performance about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in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1), 83-95. DOI: 10.5977/jkasne.2016.22.1.8 

  8. J. R Oh, J. H. Hun(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eakage, Time Saving, Space Reconfiguration, and Remote Adjustment on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and Usage Intention of IoT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7), 365-376. DOI: 10.21184/jkeia.2017.10.11.7.365 

  9. J. Y. Kim(2019). Improvement Method of Education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Survey on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3(3). 349-355. DOI: 10.6109/jkiice.2019.23.3.349 

  10. E. H. Park, J. Kim, L. L. Wiles & Y. S. Park (2019).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disclose patients' health information. Computers & Security, 87, 1-13. DOI: 10.1016/j.cose.2018.05.003 

  11. K. A. Park(201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of Youth on Security Attitude and Security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4(4), 79-98. DOI: 10.9723/jksiis.2019.24.4.079 

  12. L. A. Catherine, A. Ritu(2010). Practicing Safe Computing: A Multimedia Empirical Examination of Home Computer User Security Behavioral Intentions. MIS Quarterly, 34(3), 613-644. DOI: 10.2307/25750694 

  13. J. E. Ryan(2006). A comparison of information security trends between formal. Ph. D.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14. D. L. Huang, P. L. Rau & G. Salvendy(2010).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9(3), 221-232. 

  15. B. Bulgurcu, H. Cavusoglu &, I. Benbasat(2010).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An Empirical Study of Rationality-Based Belief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MIS Quarterly, 34(3), 523-548. DOI: 10.2307/25750690. 

  16. S. J. Lee, M. J. Lee(2008).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Indicator. Informatization policy, 15(3), 100-119. 

  17. Y. R. Kim(2010). Measuring Individuals' Privacy Concerns and Survey of Privacy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15(5). 259-271. 

  18. J. G. Choi(2014).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ersonal Optimistic Bia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Behavior in the Activity of Information Ethis. Ph. D. dissertation, Seoul Venture University. 

  19. M. J. Baek(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Ethics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n Organization. Ph. 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1. H. J. Smith, J. S. Milberg, and S. J. Burke(1996).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20(2), 167-196. 

  22. S. H. Hu & I. H. Hwang(2021).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organization-control o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9(8), 49-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