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작업 기억 용량과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 관계 연구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F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English Vocabulary Size, and Listening Competen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2, 2021년, pp.365 - 370  

이고은 (전주대학교) ,  최선희 (전주대학교 영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EFL 학습자의 작업 기억과 영어 어휘 및 듣기 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영어 교육 전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참가자의 작업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거꾸로 숫자 폭 과업과 작업 폭 과업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은 '듣기 어휘 수준 시험(LVLT)'과 '미시건 영어 시험(MET)'을 각각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이 클수록 영어 입력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동질적인 연구 참가자들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 기억 용량, 영어 어휘 수준, 그리고 영어 듣기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vocabulary size, and listening competence of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30 English education majors from a university in Korea were recruited. The backward digit span and the operation s...

Keyword

표/그림 (6)

참고문헌 (16)

  1. S. Krashen.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London: Longman. 

  2. M. Daneman, & P. M. Merikle. (1996). Working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 meta-analysi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3(4), 422-433. DOI : 10.3758/BF03214546 

  3. S. Andringa, N. Olsthoorn, C. van Beuningen, R. Schoonen, & J. Hulstijn. (2012). Determinants of Success in Native and Non-native Listening Comprehension: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Language Learning, 62(2), 49-78. DOI : 10.1111/j.1467-9922.2012.00706.x 

  4. A. R. A. Conway, N. Cowan, & M. F. Bunting. (2001). The Cocktail Party Phenomenon Revisited: The Importance of Working Memory Capacity.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8(2), 331-335. DOI : 10.3758/BF03196169 

  5. L. Vandergrift. (2006). Second Language Listening: Listening Ability or Language Proficienc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90(1), 6-18. DOI : 10.1111/j.1540-4781.2006.00381.x 

  6. L. Vandergrift. (2007). Recent Developments in Second and Foreign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Research. Language Teaching, 40(3), 191-210. DOI : 10.1017/S0261444807004338 

  7. L. Vandergrift, & S. Baker. (2015). Learner Variables in Second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An Exploratory Path Analysis. Language Learning, 65(2), 390-416. DOI : 10.1111/lang.12105 

  8. Z. Wen, M. G. Mota, & A. McNeill. (2013). Working Memory and SLA: Towards an Integrated Theory. Asi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23, 1-18. 

  9. A. D. Baddeley. (2003).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n Overview.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Disorders, 36(3), 189-208. DOI : 10.1016/S0021-9924(03)00019-4 

  10. S. Choi. (2019). Working Memory and the Learning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urrent Research Practices and Future Directions. Studies o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45(1), 415-437. DOI : 10.21559/aellk.2019.45.1.019 

  11. S. McLean, B. Kramer, & D. Beglar. (2015). The Creation and Validation of a Listening Vocabulary Levels Test. Language Teaching Research, 19(6), 741-760. DOI : 10.1177/1362168814567889. 

  12. S. McLean, N. Hogg, & B. Kramer. (2014). Estimations of Japanese University Learners' English Vocabulary Sizes Using the Vocabulary Size Test. Vocabulary Learning and Instruction, 3(2), 47-55. DOI : 10.7820/vli.v03.2.mclean.et.al 

  13. I. S. P. Nation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I. S. P. Nation. (2006). How Large a Vocabulary is Needed for Reading and Listening? The Canadian Modern Language Review, 63(1), 59-82. DOI : 10.3138/cmlr.63.1.59 

  15. S. Andringa, N. Olsthoorn, C. van Beuningen, R. Schoonen, & J. Hulstijn. (2012). Determinants of Success in Native and Non-native Listening Comprehension: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Language Learning, 62(S2), 49-78. DOI : 10.1111/j.1467-9922.2012.00706.x 

  16. S. Miki. (2012). Working Memory as a Factor Affecting L2 Listening Comprehension Sub-skills. Kumamoto University Departmental Bulletin Paper, 10, 119-12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