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상풍력 및 육상태양광의 환경적 가용입지 분석
Environmentally Available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Onshore Wind and Photovoltaic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0 no.6, 2021년, pp.339 - 354  

이영준 (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  박종윤 (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연구는 재생에너지 중 육상풍력발전사업 및 육상태양광발전사업의 환경현황 및 환경적 가용입지를 분석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자연환경의 보존과 상호 공존할 수 있는 추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019년 6월까지 협의가 이루어진 환경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육상풍력 및 육상태양광에 대한 규모, 위치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생에너지사업 입지와 관련된 주요 제약사항 및 환경평가 단계에서 요구되는 고려사항들을 도출하고 지역별 가용 면적 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잠재용량을 추정하였다. 환경영향평가 대상 육상풍력발전사업 총 80건을 분석한 결과, 80개 중 63개(79%) 사업이 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환경평가가 이루어진 육상태양광발전사업은 총 7,363건에 이르고 있다. 환경적 규제요소를 모두 고려한 육상풍력에 대한 환경적 가용 면적은 2,440km2이며, 육상태양광의 경우 비우량농지 등을 대상으로 산정된 환경적 가용 입지면적은 2,877km2로 산출되었다. 이러한 환경적 가용입지의 지역적 분포 및 특성은 해당 지자체가 지역에서 재생에너지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현황 자료가 될 수 있다. 현재까지 계획된 발전사업의 규모 및 향후 예상되는 증가와 환경평가를 통해 나타나는 환경가치 보전 및 사회·경제적 수용성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현시점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위한 가용한 입지용량이 부족하지는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에너지원별 환경적 가용입지 자료와 같은 정량적이고 과학적인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자연환경 및 입지여건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재생에너지원별 보급 목표량(비율 및 잠재량)의 적정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태양광 및 풍력의 경우 해당 지역의 지형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잘 맞는 유형의 에너지원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data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status and potential forrenewable energy projects (or plans) based on environmental assessment (EA) data, so that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environmental assessments can be conducted. The study a...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26)

  1. Aydin NY, Kentel E, Duzgun S. 2010. GIS-base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wind energy systems for spatial planning: A case study from Western Turke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1): 364-373. 

  2. Ayodele TR, Ogunjuyigbe ASO, Amusan TO. 2018. Techno-economic analysis of utilizing wind energy for water pumping in some selected communities of Oyo state, Nigeri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91: 335-343. 

  3. Gorsevski PV, Cathcart SC, Mirzaei G, Jamali MM, Ye X, Gomezdelcampo E. 2013. A group-based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wind farm site selection in Northwest Ohio. Energy Policy 55: 374-385. 

  4. Hofer T, Sunak Y, Siddique H, Madlener R. 2016. Wind farm siting using a spatial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A case study of the Stadteregion Aachen. Applied Energy 163: 222-243. 

  5. Jager T, McKenna R, Fichtner W. 2016. The feasible onshore wind energy potential in Baden-Wurttemberg: a bottom-up methodology considering socio-economic constraints. Renewable Energy 96: 662-675. 

  6. Jang HJ, Park SJ. 2018.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anjulgi (mountain ridge) network system based on network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3: 485-500. [Korean Literature] 

  7. Kim HG, Hwang HJ, Kang YH. 2013. Evaluation of onshore wind resource potential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6): 717-721. [Korean Literature] 

  8. Kwon YH, Kim JY, Lee MJ. 2008.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siting of solar and wind power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9. Kwon SD, Joo WY, Kim WK, Kim JH, Kim EH. 2014. Analyzing Site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for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 86-100. [Korean Literature] 

  10. Lee SJ, Kwon YH, Choi HS, Lee MJ. 2008. Preliminary environmental evaluation method and guidelines for Baekdudaegan and Jeongmaeg.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1. Lee YJ, Chun DJ, Lee MJ, Park JY, Eun J. 2017. Analysis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status to sup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i) the status of development plan in major mountain ridges and ii) the assessment of watershed circulation health (the Geum River Watershe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2. Lee YJ, Park JY. 2019. Analysis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status to sup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Status and Environmentally Available Potential of Renewable Energy.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8a.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8b.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7. Renewable Energy 3020 Action Plan.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20. 2020 White paper on renewable energy. [Korean Literature] 

  18.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7. Environmental impacts of wind-energy proj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9. Park JY, Lee YJ, Chun DJ, Lee MJ, Eun J. 2017. Analysis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status to sup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status and potential of on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20. Park JY, Lee YJ, Lee WS, Lee BK. 2018. Analysis system for regional environmental status to sup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status of photovoltaic power plant installation projects proceeded through EIA and its environmental discuss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21. Park ST. 2010. New Sankyoungpyo, Chosun Magazine. [Korean Literature] 

  22. Ramirez-Rosado IJ, Garcia-Garrido E, Fernandez-Jimenez LA, Zorzano-Santamaria P, Monteiro B, Miranda V. 2008. Promotion of new wind farms based on a decision support system. Renewable Energy 33(4): 558-566. 

  23. Schallenberg-Rodriguez J, Notario-del Pino J. 2014. Evaluation of on-shore wind techno-economical potential in regions and islands. Applied Energy 124: 117-129. 

  24. Tegou LI, Polatidis H, Haralambopoulos DA. 2010. Environmental management framework for wind farm siting: Methodology and case stud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1(11): 2134-2147. 

  25. Xu Y, Li Y, Zheng L, Cui L, Li S, Li W, Yanpeng C. 2020. Site selection of wind farms using GIS and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in Wafangdian. China. Energy 207: 118222. 

  26. Yang BK. 1993. A system of nature recognition in the Choseon Dynasty. Citizens' Lecture in Korean History 14: 70-9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