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체 폐암 세포주 A549에서 Euonymus porphyreu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분석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uonymus porphyreus Extract in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2, 2021년, pp.199 - 208  

진수정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  오유나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  손유리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  배수빈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  박정하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  김병우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개발센터) ,  권현주 (동의대학교 생체조직재생 핵심연구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onymus porphyreus는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식물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식물학상의 특징에 대한 보고는 있으나 항산화능과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세포인 A549를 사용하여 E. porphyreus 에탄올 추출물(EEEP)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EEEP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15.42 mg/g, 23.07 mg/g이었다. EEEP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가 11.09 ㎍/ml로 뛰어난 항산화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EEP는 농도의존적으로 인체폐암세포주인 A549의 세포 성장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A549 세포의 SubG1기 세포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nnexin V 염색과 DAPI 염색으로 EEEP 처리에 의해 apoptotic 세포와 apoptotic body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EEEP에 의해 A549 세포의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EEEP에 의해 Fas, p53, Bax의 발현이 증가하고 Bcl-2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며, caspase-8, -9와 caspase-3의 활성화를 통해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EEP는 내인성 및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A549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활성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uonymus porphyreus, a species of plant in the Celastraceae family, is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 especially in Southern China.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E. porphyreus have been reported, but its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EEEP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폐암세포 A549, 인체 대장암세포 HT29, 인체 간암세포 HepG2 등 다양한 암세포주와 정상 폐섬유모세포인 IMR90에적정농도의 EEEP를 처리하고 48시간 배양 후 WST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Fig.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서 사용한 E. porphyreus 에탄올 추출물은 해외 생물 소재 허브센터(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분양번호 FBM123-020) 에서 구입하였다. E.

데이터처리

  • 실험의 측정결과는 평균(mean) ± 표준편차(SD)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 사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student’s t test를 통해 p값이 0.05 미만(p-value<0.05)인 경우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dam, J. M. and Cory, S. 2007. The Bcl-2 apoptotic switch in cancer development and therapy. Oncogene 26, 1324-1337. 

  2. Adamczak, A., Ozarowski, M. and Karpinski, T. M. 2020.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flavonoids and organic acids widely distributed in plants. J. Clin. Med. 9, 109. 

  3. Andreas, G. 2003. Introduction to apoptosis. ApoReview 

  4. Bailon-Moscoso, N., Cevallos-Solorzano, G., Carlos Romero-Benavides, J. and Isabel Ramirez Orellana, M. 2017. Natural compounds as modulators of cell cycle arrest: application for anticancer chemotherapies. Curr. Genomics 18, 106-131. 

  5. Briguglio, G., Costa, C., Pollicino, M., Giambo, F., Catania, S. and Fenga, C. 2020. Polyphenols in cancer prevention: New insights (Review). Int. J. Funct. Nutr. 1, 9. 

  6. Carson, D. A. and Ribeiro, J. M. 1993. Apoptosis and disease. Lancet 341, 1251-1254. 

  7. Choi, I. P. 2013.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ancer. Hanyang Med. Rev. 33, 118-122. 

  8. Devasagayam, T. P., Tilak, J. C., Boloor, K. K., Sane, K. S., Ghaskadbi, S. S. and Lele, R. D. 2004.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 Physicians India 52, 794-804. 

  9. Dickinson, B. C. and Chang, C. J. 2011. Chemistry and biolog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signaling or stress responses. Nat. Chem. Biol. 7, 504-511. 

  10. Dorai, T. and Aggarwal, B. B. 2004. Role of chemopreventive agents in cancer therapy. Cancer Lett. 215, 129-140. 

  11. Elmore, S. 2007.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Toxicol. Pathol. 35, 495-516. 

  12. Fadok, V. A., Voelker, D. R., Campbell, P. A., Cohen, J. J., Bratton, D. L. and Hensen, P. M. 1992. Exposure of phosphatidylserine on the surface of apoptotic lymphocytes triggers specific recognition and removal by macrophages. J. Immunol. 148, 2207-2216. 

  13. Fluda, S. and Debatin, K. 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 4798-4811. 

  14. Galluzzi, L., Lopez-Soto, A., Kumar, S. and Kroemer, G. 2016. Caspases connect cell-death signaling to organismal homeostasis. Immunity 44, 221-231. 

  15. GBD 2015 Risk Factors Collaborators.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79 behavioural,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and metabolic risks or clusters of risks, 199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659-1724. 

  16. Gonzalez-Burgos, E. and Gomez-Serranillos, M. P. 2012. Terpene compounds in nature: a review of their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Curr. Med. Chem. 19, 5319-5341. 

  17. Green, D. R. and Reed, J. C. 1998. Mitochondria and apoptosis. Science 281, 1309-1312. 

  18. Halliwell, B. H. and Gutteridge, J. M. C.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9. Han, S. I., Kim, Y. S. and Kim, T. H. 2008. Role of apoptotic and necrotic cell death under physiologic conditions. BMB Rep. 41, 1-10. 

  20. Hanahan, D. and Weinberg, R. A. 2000. The hallmarks of cancer. Cell 100, 57-65. 

  21. Hartwell, L. H. and Kastan, M. B. 1994. Cell cycle control and cancer. Science 266, 1821-1828. 

  22. Haupt, S., Berger, M., Goldberg, Z. and Haupt, Y. 2003. Apoptosis-the p53 network. J. Cell Sci. 116, 4077-4085. 

  23. Kim, S. B., Kim, B. W. and Hyun, S. K. 2017.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teas for development of substitute tea materials. J. Kor. Tea Soc. 23, 49-55. 

  24. Kaufmann, S. H., Desnoyers, S., Ottaviano, Y., Davidson, N. E. and Poirier, G. G. 1993. Specific proteolytic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 early marker of chemotherapy-induced apoptosis. Cancer Res. 53, 3976-3985. 

  25. Kedare, S. B. and Singh, R. P. 2011. Genesis and development of DPPH method of antioxidant assay. J. Food Sci. Technol. 48, 412-422. 

  26. Kim, C. and Kim, B. 2018. Anti-cancer natural products and their bioactive compounds inducing ER stress-mediated apoptosis: A review. Nutrients 10, 1021. 

  27. Koopman, G., Reutelingsperger, C. P., Kuijten, G. A., Keehnen, R. J., Pals, S. T. and van Oers, M. H. 1994. Annexin V for flow cytometric detection of phosphatidylserine expression on B cells undergoing apoptosis. Blood 84, 1415-1420. 

  28. Landis-Piwowar, K. R. and Iyer, N. R. 2014. Cancer chemoprevention: current state of the art. Cancer Growth Metastasis 7, 19-25. 

  29. Li, P., Nijhawan, D. and Wang, X. 2004. Mitochondrial activation of apoptosis. Cell 116, S57-59. 

  30. Loesener, T. 1913. Notes from the Royal Botanic Garden, Edinburgh. Edinburgh and Glasgow 8, 2-3. 

  31. Martin, S. J., Reutelingsperger, C. P., McGahon, A. J., Rader, J. A., van Schie, R. C., LaFace, D. M. and Green, D. R. 1995. Early redistribution of plasma membrane phosphatidylserine is a general feature of apoptosis regardless of the initiating stimulus: inhibition by overexpression of bcl-2 ad abl. J. Exp. Med. 182, 1545-1556. 

  32. Neergheen, V. S., Bahorun, T., Taylor, E. W., Jen, L. S. and Aruoma, O. I. 2010. Targeting specific cell signaling transduction pathways by dietary and medicinal phytochemicals in cancer chemoprevention. Toxicology 278, 229-241. 

  33. Nieva Moreno, M. I., Isla, M. I.,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34. Oh, Y. N., Jin, S., Kwon, H. J. and Kim, B. W. 2017.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Julbernardia globiflora extract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HT29 cells. J. Life Sci. 27, 545-552. 

  35. Riccardi, C. and Nicoletti, I. 2006. Analysis of apoptosis by propidium iodide staining and flow cytometry. Nat. Protoc. 1, 1458-1461. 

  36. Riedl, S. J. and Shi, Y. 2004. Molecular mechanisms of caspase regulation during apoptosis. Nat. Rev. Mol. Cell Biol. 5, 897-907. 

  37. Scaria, B., Sood, S., Raad, C., Khanafer, J., Jayachandiran, R., Pupulin, A., Okoko, M., Arora, M., Miles, L. and Pandey, S. 2020. Natural health products and natural compound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Mechanisms of anti-cancer activity of natural compounds and overall trends. Int. J. Mol. Sci. 21, E8480. 

  38. Talyor, R. C., Cullen, S. P. and Martin, S. J. 2008. Apoptosis: controlled demolition at the cellular level. Nat. Rev. Mol. Cell Biol. 9, 231-241. 

  39. Tsujimoto, Y. and Shimizu, S. 2000. Bcl-2 family: life-or-death switch. FEBS Lett. 466, 6-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