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ecture Content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2 no.4, 2021년, pp.5 - 24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93명의 응답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응답자의 93.3%가 실시간 화상 강의(47.7%) 또는 녹화 강의(45.6%)의 형태의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로 사용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교양(47.3%)과 전공(39.8%) 모두에서 전자책(자료)과 종이 책(자료)을 혼용하거나 전자 책 또는 자료(각각 36.6%, 37.6%)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이외에 외부자료는 전공과 교양 모두 웹자료(각각 47.6%, 40.5%)와 유튜브 자료(각각 33.3%, 48.0%)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 내용 공유를 위한 콘텐츠는 교양 전공 모두에서 교수자가 정리, 저술한 PT 또는 텍스트 형태의 전자파일(각각 62.9%, 58.1%), 인터넷 자료(각각 16.7%, 19%), 종이 책 또는 자료(각각 10.4%, 12.3%)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에서는 93.5%가, 교양과목에서는 90.2%가 화면 현시 강의 콘텐츠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첫째 멀티미디어 기반의 강의 콘텐츠를 개발할 것과 실시간 시험 감독 등이 가능한 평가 솔루션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과제물에 대한 AI 기반의 표절검색, 과제지도, 과제평가 등이 가능한 과제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유비쿼터스 개념에서 수업이 가능하도록 강의 교재 전자화를 위한 저작권문제 해결 방안을 제도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ecture content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93 respondents, 93.3% of the respondents took real-time online lectures (47.7%) or recorded vi...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8)

  1. Alessi, S. M. & Trollip, S. R. (1985). Computer-based instruction: Methods and Development. New Jersey: Englewood Cliffs. requoting: Jeong, S., Lim, K., Ko, Y., Sim, H., & Kim, K. (2010). The analysis of trends in smart phone applications fo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d educational use.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1(2), 203-216. 

  2. Announcement on Standards for Equipment of Distance Education. Education Announcement No. 2019-213. 

  3. Bae, Y. S. (2010). A study on contents design of online lectures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classes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1(3), 307-314. 

  4. Chang, S. Y. (2013). The analysis of learner's needs based on the current usages of e-learning open educational resources in higher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5(1), 289-315. http://dx.doi.org/10.17927/tkjems.2013.25.1.289 

  5. Higher Education Act. Act No. 17656. 

  6. Jang, Eun Jung & Chon, Eunhwa (2008). Effect of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rogram types on the cyber university contents satisfaction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ian Journal of Education, 9(2), 113-136. 

  7. Jang, S. H. (2020). Diagnosis of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in the era of non-face-to-face education. Happyedu, 460, 24-25. 

  8. Kim, H. & Kam, S. W. (2021). The effect of lecture satisfaction for non-face-to-face video lessons on the learning effect and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COVID-19 in South Korea. KALCI, 21(1), 363-387. http://dx.doi.org/10.22251/jlcci.2021.21.1.363 

  9. Kim, J. M. (2015). Analysis of learner's preference on the type of e-learning lecture contents: About basic linguistics subject and theoretic subject. KDK Journal, 34, 175-182. http://dx.doi.org/10.17246/jkdk.2015..34.016 

  10. Kwan, Y. S. (2020). Eine Studie uber die Einflussfaktoren auf das effektive Lehren und Lernen in der kontaktfreien Lernsituation. DaF in Korea, 47, 5-28. http://dx.doi.org/10.31302/KGDaF.47.1 

  11. Lee, D. J. & Kim, M. (2020).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ractices of onlin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59-377. http://journal.kamall.or.kr/wp-content/uploads/2020/09/23_3_s07.pdf 

  12. Lee, H. & Kim, T. (2007). Influence of e-Learning contents type on learning outcom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Proceedings of the Fall Comprehensive Conference, 727-732.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CFKO200728660923697.pdf 

  13. Lee, H. B. (2014).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open lecture cont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47, 567-591. 

  14. Lee, Y. & Shin D. (2020).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3(4), 39-57. 

  15. Lifelong Education Act. Act No. 16677. 

  16. Lim, I., Kim, J., Hwang, J., & Park, D. (2020). Exploring teaching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non-face-to-face lecture in college: focusing on learner experienc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30(4), 23-54. 

  17. Ministry of Education (2021, January 29). Announcement of the results of 「the 2020 Distance University Certification and Competency Diagnosis: Reinforcement of adult learners' right to learn through support for autonomous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vailable: https://blog.naver.com/moeblog/222223065381 

  18. Worle Laws Information Center (2021, November 17). [Law Information] Higher Education Act. Available: https://world.moleg.go.kr/web/wli/lgslInfoReadPage.do?AA&searchTypeall&searchPageRowCnt10&searchNtnlUS&CTS_SEQ47731&AST_SEQ3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