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대 사용자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Exploring Different Users' Perception of Smart Harness on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v.4 no.1, 2021년, pp.22 - 29  

김현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안창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근로자의 단순 실수와 부주의까지 포용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 스마트 안전장비 사용 의무화 등의 정책 및 법령이 시행됨에 따라, 스마트 안전장비 기술 개발 및 현장 도입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안전장비의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채택되거나 사용되지 않으면 건설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는 주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의 성능과 특징에 따른 사용자별 인식과 기대의 차이를 통해 스마트 안전장비 채택에 관한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안전장비 중 최근 국내/외에서 기술개발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스마트 안전대에 대한 안전관리자 및 근로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안전장비에 대한 사용자별 인식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건설현장 추락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 활성화에 관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fall from height, interest in the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smart harness is increasing as policies and laws such as mandatory use of smart safety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s. However, despite the potential of smart harness, construction safety cannot be contributed unless adopt...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4)

  1. MOEL(2021). 중대재해처벌법 주요내용. 

  2. MOLIT(2020). 스마트 안전장비 도입으로 건설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겠습니다: 18일 건설기술 진흥법 하위법령 개정안 공포.시행,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3. Kim, Y. and Bang, M. (2019). 안전대 부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안전대 개발 연구 - 추락방지대 중심 - (울산: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9-연구원-1541. 

  4. Park, K., Lim, S., Kim, S., and Ku, KI. (2020).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Safety, 3 (1). 

  5. Yu, Bong Su. (2021). 스마트 안전고리 시스템, 등록특허 제 10-2218840. 대전:특허청. 

  6. Lim, H. and Kim, H. (2021). 스마트 안전고리, 공개특허 제 10-2021-0075457. 대전:특허청. 

  7. (주)Digiqutous. (2019). 스마트 안전 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등록특허 제10-2061560. 대전:특허청. 

  8. (주)Safeon. (2020). 체결 탐지용 훅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대, 공개특허 제10-2020-0132318. 대전:특허청. 

  9. (주)Safeon. (2021). 체결 탐지용 훅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대, 등록특허 제10-2211426. 대전:특허청. 

  10. (주)Safeon, and Korea South-East Power Co. (2019). 추락방지 시스템, 등록특허 제10-2057239. 대전: 특허청. 

  11. (주)Elssen (2021). 안전고리 체결시스템과 안전고리 체결제어방법, 공개특허 제10-2021-0071269. 

  12. (주)GSIL. (2019).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유니트를 이용한 작업안전 관리시스템, 등록특허 제10-1964727. 대전:특허청. 

  13. (주) Hanlim Tech. (2021).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공개특허 제10-2021-0000451. 대전:특허청. 

  14. C. Buenaflor and H.C. Kim. (2013). Six human factors to acceptability of wearable computers. Int. J. Multimed. Ubiquit. Eng., 8 (3), 103-114. 

  15.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16. C. R. Ahn, S. H. Lee, C. Sun, H. Jebelli, K. H. Yang, and B. J. Choi. (2019). Wearable Sensing Technology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J. Constr. Eng. Manage., 145 (11), 03119007. 

  17. Choi, B., Hwang, S., and Lee, S. (2017). What drives construction workers' acceptance of wearable technologies in the workplace?: Indoor localization and wearable health device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utom. Constr. 84, 31-41. 

  18.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ag. Inf. Syst. Q., 13 (3), 319-340. 

  19. Francis, J. J., Johnston, M., Robertson, C., Glidewell, L., Entwistle, V., Eccles, M. P., and Grimshaw, J. M. (2010). What is an adequate sample size? Operationalising data saturation for theory-based interview studies. Psychology & Health, Routledge, 25 (10), 1229-1245. 

  20. H. Li, A. Gupta, J. Zhang, and R. Sarathy (2014). Examining the decision to use standalone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as a trust-enabled fair social contract. Decis. Support. Syst. 57, 376-386. 

  21. J. M. Gomez-de-Gabriel, J. A. Fernandez-Madrigal, A. Lopez-Arquillos, and J. C. Rubio-Romero (2019). Monitoring harness use in construction with BLE beacons. Measurement, 131, 329-340. 

  22. M. d. C. Rey-Merchan, J. M. Gomez-de-Gabriel, J. Fernandez-Madrigal, and A. Lopez-Arquillos (2020). Improving the prevention of fall from height on construction sit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2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Guidelines on the prevention of fall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 

  24. Park, Y., H. Son, and C. Kim. (2012).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professionals' acceptance of web-based training: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utom. Constr., 22 (Mar), 377-386. 

  25. S. S. Binyamin and Md. R. Hoque(2020). Understanding the Drivers of Wearable Health Monitoring Technology: An Extension of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Sustainability. 12, 9605. 

  26. Son, H., S. Lee, and C. Kim. (2015). What drives the adop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design organizati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antecedents affecting architects' behavioral intentions. Autom. Constr., 49 (Part A), 92-99. 

  27. T.K.M. Wong, S. S. Man, and A.H.S. Chan. (2021). Exploring the acceptance of PPE by construction workers: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safety management practices and safety consciousness. Saftey Science, 139, 105239. 

  28. V. Venkatesh, F.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 Sci., 46 (2), 186-204. 

  29. V. Venkatesh, J.Y. Thong, and X. Xu. (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anag. Inf. Syst. Q., 36 (1), 157-178. 

  30. V. Venkatesh,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anag. Inf. Syst., 27 (3), 425-478. 

  31. X. Yang, Y. Yu, S. Shirowzhan, S. sepasgozar, and H. Li (2020). Automated PPE-Tool pair check system for construction safety using smart IoT.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2, 101721. 

  32. Y. Gao, H. Li, and Y. Luo. (2015). An empirical study of wearable technology acceptance in healthcare. Ind. Manag. Data Syst. 115 (9), 1704-1723. 

  33. Y. Sun, N. Wang, X. Guo, Z. and Peng. (2013). Understanding the acceptance of mobile health services: a comparison and integration of alternative models. J. Electron. Commer., 14 (2), 183-200. 

  34. Zhang, Y., H. Luo, M. Skitmore, Q. Li, and B. Zhong. (2019). Optimal camera placement for monitoring safety in metro station construction work. J. Constr. Eng. Manage, 145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