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Effective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4 no.3, 2021년, pp.267 - 276  

한제준 (남원대산초등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이 무엇인지 연구하는데 있다. 초등 예비교사 24명과 함께 계절별 별자리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실험이 무엇인지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역할놀이를 통한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한 별자리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중·고등학교에서는 stellariu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를 관찰하고 추리해보는 활동을 효과적인 실험으로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초등학교에서는 직접적인 체험과 구체적인 조작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을, 중·고등학교에서는 사실적인 자연현상의 관찰과 이를 통한 추리 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and to find out what are effective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according to school salary. we organized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s with 24 elementary preparatory teachers and asked them to what effective exper...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1)

  1. 교육부(1997). 7차 과학과 교육과정. 

  2. 교육부(2007).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3. 교육부(2009).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4. 교육부(2015).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5. 맹승호, 이기영(2018).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81-494. 

  6. 이석희, 이용섭(2012).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수업이 과학학습동기와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105-113. 

  7. 한제준, 임성만, 양일호, 채동현(2012).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천체관측 경험 실태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66-174. 

  8. 한제준, 채동현(2020).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공전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297-304. 

  9. Bailey, J., & Slater, T. (2003).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Astronomy Education Review, 2(2), 20-45. 

  10. Barab, S. A., Hay, K. E., Squire, K., Barnett, M., Schmidt, R., Karrigan, K., & Johnson, C. (2000). Virtual solar system project: Learning through a technology-rich, inquiry-based, participatory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1), 7-25. 

  11. Brazell, B. D., & Espinoza, S. (2009). Meta-analysis of planetarium efficacy research. Astronomy Education Review, 8(1), 1-11. 

  12. Chen, C. H., Yang, J. C., Shen, S., & Jeng, M. C. (2007). A desktop virtual reality earth motion system in astronomy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3), 289-304. 

  13. Hintz, E. G., Hintz, M. L., & Lawler, M. J. (2015). Prior knowledge base of constellations and bright stars among non-science majoring undergraduates and 14-15 year old students. Journal of Astronomy & Earth Sciences Education, 2(2), 115-134. 

  14. Jacobson, J. (2013). Digital dome versus desktop display: Learning outcome assessments by domain experts. International Journal of Virtual and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s, 4(3), 51-65. 

  15. Lai, C. S., & Wu, C. H. (2005). The study of the hands-on astronomical instruction an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National Taipei Teachers College, 18(1), 59-86. 

  16. Martin, R., Sexton, C., Franklin, T., & Gerlovich, J. (2005).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an inquiry approach. Boston: Pearson Publishing. 

  17. Mohler, J. L. (2000). Desktop virtual reality for the enhancement of visualization skills.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9(2), 151-165. 

  18. Padalkar, S., & Ramadas, J. (2011). Designed and spontaneous gestures in elementary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2), 1703-1739. 

  19. Pena, B. M., & Quilez, M. J. (2001). The importance of images in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125-1135. 

  20. Perez-Lisboa, S., Rios-Binimelis, C. G., & Allaria, J. C. (2020). Augmented reality and stellarium: Astronomy for children of five years. Alteridad, 15, 25-35. 

  21. Plummer, J. D. (2009). Early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92-209. 

  22. Plummer, J. D., Bower, C. A., & Liben, L. S. (2016). The role of perspective taking in how children connect reference frames when explaining astronomical phenomen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345-365. 

  23. Plummer, J. D., Kocareli, A., & Slagle, C. (2014). Learning to explain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Exploring the role of classroom and planetarium-based instruction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7), 1083-1106. 

  24. Soga, M., Ohama, M., Ehara, Y., & Miwa, M. (2011). Real-world oriented mobile constellation learning environment using gaze pointing.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94(4), 763-771. 

  25. Sung, Y. T., Chang, K. E., Hou, H. T., & Chen, P. F. (2010). Designing an electronic guidebook for learning engagement in a museum of histor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1), 74-83. 

  26. Tian, K., Urata, M., Endo, M., Mouri, K., Yasuda, T., & Kato, J. (2019). Real-world oriented smartphone AR supported learning system based on planetarium contents for seasonal constellation observation. Applied Sciences, 9(17), 3508. 

  27. Turk, C. (2010). Teaching of elementary education basic astronomy concep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Ondokuz Mayis University, Turkey. 

  28. Turk, C., & Kalkan, H. (2015). Developing an achievement test for astronomy education. Journal of Studies in Education, 5(3), 89-112. 

  29. Ucar, S., & Demircioglu, T. (2011).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 attitudes toward astronomy within a semester-long astronomy instruction and four-year-long teacher training programm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1), 65-73. 

  30. Yair, Y., Mintz, R., & Litvak, S. (2001). 3D-virtual reality in science education: An implication for astronomy teaching. Journal of Computer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ing, 20(3), 293-305. 

  31. Zhang, J., Sung, Y. T., Hou, H. T., & Chang, K. E. (2014).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armillary sphere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instruction. Computers & Education, 73, 178-18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