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과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Cancer and Network Structure of Depressive Symptom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9 no.2, 2021년, pp.121 - 127  

황휘진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경규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석범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정재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경민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도현 (단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연구목적 우울증은 감정, 생장증상, 자살 사고 등 다양한 증상들이 혼재되어 있으나 암 환자에서개별 우울증상간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암 진단군과 대조군에서의 우울증상 네트워크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방 법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599명의 암 진단군과 연령 성별을 맞춘 599명의 대조군을 선정하였다.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을 활용하여 우울증상을 평가하였고, 각 증상에 대해 Ising fit 모델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 과 두 군에서 개별 PHQ-9의 점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고, 두 군 모두에서 집중력저하-정신운동성 변화, 흥미의감소-우울한 기분, 우울한기분-자살사고 간에 강한 연결성을 보였다. 그러나 무가치함의 중심연결성은 암 진단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암 진단군에서 무가치함과 다른 우울증상들 간의 연결성이 강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은 암 환자의 우울증상에서 무가치함이 치료목표가 되는 중요한 증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cancer is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group. However, few research has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in cance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twork structure of depressive symp...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7)

  1. Hotopf M, Chidgey J, Addington-Hall J, Ly KL. Depression in advanced disease: a systematic review Part 1. Prevalence and case finding. Palliative Medicine 2002;16:81-97. 

  2. Massie MJ.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NCI Monographs 2004;2004:57-71. 

  3. Park B, Youn S, Yi KK, Lee SY, Lee JS, Chung 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the top ten most common cancers in South Korea. Psychiatry Investigation 2017;14:618. 

  4. Trask PC. Assessment of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JNCI Monographs 2004;2004:80-92. 

  5. Satin JR, Linden S, Phillips MJ.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and mortality in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Cancer 2009;115:5349-5361. 

  6. Colleoni M, Mandala M, Peruzzotti G, Robertson C, Bredart A, Goldhirsch A. Depression and degree of acceptance of adjuvant cytotoxic drugs. The Lancet 2000;356:1326-1327. 

  7. Yousaf U, Christensen ML, Engholm G, Storm H. Suicides among Danish cancer patients 1971-1999.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5;92:995-1000. 

  8.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1999;282:1737-1744. 

  9. Eaton WW, Smith C, Ybarra M, Muntaner C, Tien A.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ew and revision (CESD and CESD-R);2004. 

  10.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3;67:361-370. 

  11. Sollner W, DeVries A, Steixner E, Lukas P, Sprinzl G, Rumpold G, Maislinger S. How successful are oncologists in identifying patient di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ed for psychosocial counselling?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1; 84:179-185. 

  12. Vachon ML. Caring for the caregiver in oncology and palliative care. Semin Oncol Nurs 1998;14:152-157. 

  13. Mitchell AJ, Meader N, Symonds P. Diagnostic validity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in cancer and palliative settings: a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6:335-348. 

  14. Thekkumpurath P, Walker J, Butcher I, Hodges L, Kleiboer A, O'Connor M, Wall L, Murray G, Kroenke K, Sharpe M. Screening for major depression in cancer outpatien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Cancer 2011;117:218-227. 

  15. Hartung TJ, Fried EI, Mehnert A, Hinz A, Vehling S. Frequency and network analysi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cancer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9;256:295-301. 

  16. Borsboom D, Cramer AO. Network analysis: an integrative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psychopathology.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2013;9:91-121. 

  17. Schmittmann VD, Cramer AO, Waldorp LJ, Epskamp S, Kievit RA, Borsboom D. Deconstructing the construct: a network perspective on psychological phenomena. New Ideas in Psychology 2013;31:43-53. 

  18. Borsboom D. Psychometric perspectives on diagnostic system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64:1089-1108. 

  19. Hartung T, Brahler E, Faller H, Harter M, Hinz A, Johansen C, Keller M, Koch U, Schulz H, Weis J. The risk of being depressed is significantly higher in cancer patients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and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cross major cancer types.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7;72:46-53. 

  20. Mehnert A, Brahler E, Faller H, Harter M, Keller M, Schulz H, Wegscheider K, Weis J, Boehncke A, Hund B. Four-week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patients with cancer across major tumor entitie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4;32: 3540-3546. 

  21. Lie H, Hjermstad M, Fayers P, Finset A, Kaasa S, Loge J, EPCR Collaborative. Depression in advanced cancer-assessment challenges and associations with disease load.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5;173:176-184. 

  22. Mullarkey MC, Marchetti I, Beevers CG. Using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central symptoms of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2019;48: 656-668. 

  23. Van Borkulo CD, Borsboom D, Epskamp S, Blanken TF, Boschloo L, Schoevers RA, Waldorp LJ. A new method for constructing networks from binary data. Scientific Reports 2014; 4:1-10. 

  24. Hinz A, Mehnert A, Kocalevent RD, Brahler E, Forkmann T, Singer S, Schulte T. Assessment of depression severity with the PHQ-9 in cancer patients and in the general population. BMC Psychiatry 2016;16:1-8. 

  25. Chaturvedi SK, Peter Maguire G, Somashekar B. Somatization in cancer.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006;18:49-54. 

  26. Mermelstein HT, Lesko L.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Psycho-Oncology 1992;1:199-215. 

  27. Grapp M, Terhoeven V, Nikendei C, Friederich HC, Maatouk I. Screening for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sing the PHQ-9: the accuracy of somatic compared to non-somatic ite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9;254:74-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