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구실 안전' 관련 정부연구개발사업 동향 분석
Status of Government Funded Projects for "Laboratory Safety"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31 no.4, 2021년, pp.396 - 416  

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김혜민 (서울여자대학교 화학과) ,  배선영 (서울여자대학교 화학과) ,  박정임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s of government R&D (R&D) projects related to laboratory safety over the past 20 years. Methods: We collected publications from various databases(DBs) with words such as laboratory(ies), lab(s), researcher(s), laboratory worker(s), safety, env...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12)

  1. Kim DH, Oh KW, Park SJ. Initial adoption and convergence of accounting system under the k-ifrs by the quasi-government entity : a cas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 Sep;13(9):57-75(http://dx.doi.org/10.14400/JDC.2015.13.9.57) 

  2. Kim TH. Disaster Management Theory. Baeksan publishing corporation. 2010. p. 1-476 

  3. Keckler MS, Anderson K, Mcallister S, Rasheed JK, Wang J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tools for a public health laboratory. Safety Science 2019;117: 205-216 (https://doi.org/10.1016/j.ssci.2019.04.003) 

  4. Lee JY, Choi SM. A study on the disaster management R&D of the US and Japan. Journal of the KOSOS 2016;31(3):123-129 (http://dx.doi.org/10.14346/JKOSOS.2016.31.3.123) 

  5. Ministry of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MSIT). Korea research safety 2.0 promotion plan. 2017a. p. 1-22 

  6. Ministry of Scienc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MSIT). Implementation plan for laboratory safety environment establishment sup-port project. 2017b. p. 1-21 

  7. Nichols JH. Laboratory quality control based on risk management. Ann Saudi Med 2011; 31(3): 223-228 (https://doi.org/10.4103/0256-4947.81526) 

  8. Park JI, Byun HJ. A review on chemical exposure and related health risks in laboratory workers. J. Env. Hlth. Sci 2010;36(6):441-455 (https://doi.org/10.5668/JEHS.2010.36.6.441) 

  9.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Research on the 2nd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fe laboratory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2012. p. 1-128 

  10. Suh JY. Laboratory safety policy for people, environment and facilities. Sejo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2. p. 1-30 

  11. Suh JY, Park JI, Park HJ.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laboratory safety. Sejo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5. p. 1-159 

  12.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Laboratory quality management system: handbook. 2011. p. 1-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