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 주요 세균병의 충북지역 발생현황
Occurrence of the Bacterial Diseases of Soybean in Chungbuk Province in 2017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6 no.4, 2021년, pp.339 - 349  

윤건식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문혜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태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익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영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김홍식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차재순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봄 기온의 지속적인 상승과 콩 생육 중·후반기 집중된 비로 인한 다습한 날씨로 콩 세균병이 증가함에 따라, 경제적인 피해도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조사되지 않았던 충청북도 내 콩 주요세균병인 불마름병, 세균점무늬병, 들불병의 지역별 발생양상을 파악하여 세균병의 방제접근에 활용하고자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마름병 발병 포장률은 76.6%로, 보은 93.3%, 제천 83.9%, 옥천 83.3%, 괴산 81.7%, 청주 80.0%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29.3%를 나타냈다. 병 발생이 시작되는 7월과 8월 평균기온이 평년에 비해 높고, 그 시기에 집중된 강우는 초기 병의 발생과 확산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들불병 발병 포장율은 23.2%로, 단양 60.5%, 옥천 30.2%, 제천 26.8%, 괴산 26.7%로 순으로 발병 포장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10.1%를 나타냈다. 단양, 괴산, 음성, 제천지역이 도내 북부권이면서, 상대적으로 지대가 높고, 초가을 9월 평균기온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낮은 것이 들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3. 세균점무늬병 발병 포장율은 13.9%로, 괴산과 옥천지역이 30.0%, 보은 20.0%, 청주 15.0% 순으로 발병 포장율이 높은 경향이었으며, 포장 내 발병주율은 4.6%를 나타냈다. 세균점무늬병은 불마름병이나 들불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24~26℃의 시원하고 다습한 환경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볼 때 7월의 잦은 비로 인한 시원한 날씨가 다발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4. 세균병이 발생한 포장에서 실제 병 발생의 심각성 알아보고자 발병주율을 조사한 결과, 불마름병은 37.9%, 세균점무늬병은 21.0%, 들불병은 25.0%순으로 높은 경향이었으며, 전체 필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보다 각각 8.6%p, 16.4%p, 14.9%p 높았다. 5. 콩 품종에 따른 불마름병 발병 포장률은 콩나물콩 88.9%, 서리태 84.0%, 대원콩 81.2% 순으로 높은 경향이었고, 세균점무늬병은 대원콩 19.6%, 서리태 15.2%, 콩나물콩 12.5%, 들불병은 콩나물콩 25%, 대원콩 24.7%, 서리태 5.4% 순으로 발생이 많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우람콩은 불마름병 7.1%, 세균점무늬병과 들불병은 발병되지 않아 콩 세균병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 occurrence of bacterial diseases of soybea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rise in spring temperature and the humid weather as a result of rain concentrated at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crop growth. The resulting severe economic damage is also a concern. Unfortuna...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34)

  1. Agrios, G. N. 2006. Pant pathology. Elsevier press. p. 253. 

  2. Barnes, S., H. Kim, T. G. Peterson, and J. Xu. 1998. Isoflavones and cancer-the estrogen paradox. Korea Soybean Digest. 15: 81-93. 

  3. Chamberlain, D. W. 1973. Soybean diseases in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p. 1-24. 

  4. Cho, Y. S. and Y. H. Yoo. 1977. Studies on bacterial disease of soybean. Korea J. PI. Prot. 1 : 47-53. 

  5. Crouse, J. R., T. M. Morgan, J. G. Terry, J. E. Ellis, M. Z. Vitolins, and G. L. Burke. 1999.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the effect of casein with that of soy protein containing varying amounts of isoflavones on plasma concentrations of lipids and lipoproteins. Arch. Intern. Med. 159(17) : 2070-2076. 

  6. Daft, G. C. and C. Leben. 1972. Bacterial blight of soybean: Epidemiology of blight outbreaks. Phytopathol. 62 : 57-62. 

  7. Deall, K. W. and J. S. Cole. 1986. A comparative study of the pathogenicity and epidemiology of strains of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the cause wildfire and angular leaf spot disease of tobacco in Zimbabwe. Plant pathol. 35 : 74-78. 

  8. Faske, T., T. Kirkpatrick, J. Zhou, and I. Tzanetakis. 2014. Soybean diseases. University of Arkansas System. pp. 1-18. 

  9. Graham, J. H. 1953. Overwintering of three bacterial pathogens of soybean. Phytopathology. 43(4) : 189-192. 

  10. Groth, D. E. and E. J. Braun. 1986. Growth kinetics and histopathology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in leaves for resistant and susceptible soybeans. Phytopathology. 76 : 959-965. 

  11. Heitkamp, E. C. and R. S. Lamppa. 2014. First report of bacterial pustule on soybeans in North Dakota. 15(4) : 155-156. 

  12. Hong, S. J., Y. G. Kim, H. J. Jee, C. K. Shim, M. J. Kim, J. H. Park, E. J. Han, and B. C. Lee. 2011. Influence of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pustule caused by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on soybean yield. Res. Plant Dis. 17(3) : 317-325. 

  13. Hong, S. J., Y. K. Kim, C. K. Shim, M. J. Kim, J. H. Park, E. J. Han, and H. J. Gee. 2014. Effect of cultivars, sowing data and cropping system on the development of soybean bacterial pustule in the field. Korean J. Organic Agri. 22(4) : 773-787. 

  14. Hong. S. J., Y. K. Kim, H. J. Jee, B. C. Lee, Y. N. Yoon, and S. T. Park, 2010.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Res. Plant Dis. 16 : 266-273. 

  15. Kang, D. S., J. Y. Moon, J. Y. Heo, Y. C. Cho, and H. Y. Shin. 2014. Selection of resistant soybean cultivar against bacterial pustule and screening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A Report for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pp. 36-46. 

  16. Kang, H. B., Y. F. Zhang, J. D. Yang, and K. L. Lu. 2012. Study on soy isoflavone consumption and risk of breast cancer and survival. Asian Pac. J. Cancer Prev. 13(3) : 995-998. 

  17. Kang, I. J., S. H. Kim, H. K. Shim, M. J. Seo, D. B. Shin, J. H. Roh, and S. G. Heu. 2016. Incidence of wildfire disease on soybean of Korea during 2014-2015. Res. Plant Dis. 22(1) : 38-43. 

  18. Kent, G. C. 1945. A Study of soybean diseases and their control. Rep. Agric. Res. Iowa Agric. Exp. Stn. pp. 221-222. 

  19. Kim, H. T., W. Y. Han, J. H. Seo, B. K. Kang, S. O. Shin, H. S. Kim, Y. H. Lee, B. W. Lee, H. T. Yun, C. H. Park, and D. Y. Kwak. 2018. Pod shattering tolerant black soybean cultivar 'Cheongja4' with green cotyledon and without seed coat cracking. Korea J. Breed. Sci. 50(3) : 289-295. 

  20. Kim, J. Y., Y. S. Lee, S. S. H, H. D. K, I. S. Oh, and H. S. Sim. 2011. Simple diagnosis and test technology for bacterial pustule and wildfire of soybean. Agricultural Utilization technology.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21. Ko. J. M., W. Y. Han, H. T. Kim, Y. H. Lee, M. S. Choi, B. W. Lee, S. U. Shin, J. H. Seo, K. W. Oh, H. T. Yun, M. G. Jeon, K. H. Choi, J. H. Shin, E. J. Lee, W. S. Yang, and I. S. Oh. 2016. Soybean cultivar for soy-paste, 'Uram' with mechanization harvesting, large seed, disease resistance and high yield. Korean J. Breed. Sci. 48(3) : 301-306. 

  22. Korea Seed & Variety Service. 2019. Production plan of government supply seed. http://www.seed.go.kr/. 

  23. Leben, C. 1974. Survival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Ohio Agric. Res. Dev. Cent. Spec. p. 100. 

  24. Lee, S. D. 1999.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plant bacterial diseases in Korea.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5. Masuda, T. and P. D. Goldsmith. 2008. World Soybean Production: Area Harvested, Yield, and Long-Term Projections. The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pp. 1-32. 

  26. Myung, I. S., J. W. Kim, S. H. An, J. H. Lee, S. K. Kim, Y. K. Lee, and W. G. Kim. 2009. Wildfire of soybean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tobaci a new disease in Korea. Plant Dis. 93 : 1214. 

  27. Park, E. W. and S. M. Lim. 1986. Effects of bacterial blight on soybean yield. Plant Dis. 70 : 241-217. 

  28. Pataky, J. K. and S. M. Lim. 1981. Effects of Septoria brown spot on the yield components of soybeans. Plant Dis. 65 : 588-590. 

  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nalysis criteria for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p. 417. 

  3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ition (RDA). 2015. Soybean. RDA. pp. 30-31. 

  3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21. List of Korean plant disease. http://genebank.rda.go.kr/. 

  32. Setchell, K. D. and A. Cassidy. 1999. Dietary isoflavone: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J. Nutr. 129 : 758-767. 

  33. Turner, J. G. and R. R. Taha. 1984. Contribution of tabtoxin to the pathogenicity of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Phisiol. Plant Pathol. 25 : 55-69. 

  34. Williams, D. J. and R. F. Nyvall. 1980. Leaf infection and yield losses caused by brown spot and bacterial blight diseases of soybean. Phytopathol. 64 : 674-6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