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팅 사고력 수업이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on Learning Flow and Collective Self-Efficac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1, 2021년, pp.167 - 174  

이경희 (호서대학교 혁신융합학부) ,  박혜영 (호서대학교 교수학습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양교육으로써 컴퓨팅 사고력 수업 효과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남의 4년제 대학 1학년 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IC 14를 사용하여 ��2 test와 t-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학습몰입은 수강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유의(t=3.837 p<.001)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수강하지 않은 학생과 비교해 유의(t=2.277 p<.01)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컴퓨팅 사고력 수업은 학습몰입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 수업의 중요성과 효과,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on learning flow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 course as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is study, 177 freshmen at a university in Chu...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2)

  1. S. H. Park. (2016). Study of SW Education in University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4), 1-10. DOI : 10.14400/JDC.2016.14.4.1 

  2. S. H. Jung. (2019).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liberal computing classes in terms of computational think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0), 235-243. DOI : 10.35873/ajmahs.2019.9.10.021 

  3. K. K. Kim & J. Y. Lee. (2016).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ational Thinking-Based Programming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9(1), 27-39. DOI : 10.32431/kace.2016.19.1.004 

  4. Y. J. Lee. & Y. S. Kim. (2020). Comparis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mprovement Based on Teaching Aids and Student's Level in Elementary Softwar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2), 31-39. DOI : 10.32431/kace.2020.23.2.004 

  5. K. H. Lee & J. W. Cho. (2019).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Digital Media Produc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8), 1523-1531. 

  6. E. K. Lee & Y. J. Lee. (2008). The Effects of Scratch Based Programming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Flow Level and Programming Achievement.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6(20), 359-382. 

  7. J. Y. Park & M. H. Kang. (2015).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Characters, Learning Flow, and Thinking Ability in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8(4), 145-170. DOI : 10.25152/ser.2008.56.2.359 

  8. H. S. Choi. (2018). Domestic Literature Review on Computational Thinking Development through Software Programm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3), 743-774. DOI : 10.17232/KSET.34.3.743 

  9. S. Papert. (1980). Mindstorms: Children, computers, and powerful ideas. New York: Basic Books. 

  10. J. Wing. (2011). Research Notebook: Computational Thinking - What and Why? The Link. Pittsburgh, PA: Carneige Mellon (Online). https://www.cs.cmu.edu/link/research-notebookcomputational-thinking-what-and-why 

  11. S. H. Kim & J. B. Chae. (2014). Analysis of Trends and Teaching-Learning Cases of Programming Language for Google Education. KERIS. 

  12. J. Nakamura & M. Csikszentmihalyi. (2009). Flow Theory and Research. In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195-206. 

  13. M. Csikszentmihalyi. (2014). Applications of Flow in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pp. 153-172). Dordrecht: Springer. 

  14. J. A. Fredricks & P. C. Blumenfeld. (2004). School engagement: Potentioal of the concept, state dof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1), 59-109. DOI : 10.3102/00346543074001059 

  15. A. Bandur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16. K. Y. Lim. (2011). Self-efficacy in Group Investigation Collaborative Learning. Koreanisch-Deutsche Gesellschaft Fuer Erziehungswissenschaft, 16(2), 19-36. UCI : G704-001913.2011.16.2.005 

  17. S. B. Alavi & J. McCormic. (2008).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m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 375-393. 

  18. M. M. Handelsman, L. W. Briggs, N. Sullivan & A. Towler. (2005).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2. 

  19. J. W. Yoo.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S. J. Han & S. S. Kim. (2018). The Effect of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from App Program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2), 41-48. DOI : 10.32431/kace.2018.21.2.005 

  21. K. H. Park & J. M. Lee. (2018).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ing Outcomes in Flipp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4(1), 147-175. DOI : 10.15833/KAFEIAM.24.1.147 

  22. B. S. Park. (2019).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 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Interaction and Flow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9(4), 29-48. DOI : 10.21214/kecse.2019.19.4.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