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 및 효율성
Poverty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237 - 247  

노혜진 (KC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급여가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하여 공적연금, 기초연금, 양육수당, 장애수당, 기초생활보장지원금, 근로장려금, 기타 정부보조금 등 7개 급여의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빈곤율 감소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는 전체가구의 빈곤율을 6.8%p 낮추었고, 빈곤율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급여는 공적연금으로써 이는 특히 남성노인에게서 명확하다. 둘째, 빈곤강도 감소 측면에서 노인세대 남성가구에게는 공적연금이, 노인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연금이, 근로세대 여성가구주에게는 기초보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빈곤완화 효율성 측면에서, 사회보장급여 중에서 약 33% 정도가 빈곤격차를 줄이는데 기여하는데, 여성가구주의 빈곤완화 효율성은 57.6%, 남성가구주는 24.3%로써, 사회보장급여가 여성가구주에게는 빈곤격차 완화 기능을, 남성가구주에게는 가구소득 보충 기능을 주로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사회보장 급여 효과성의 다각적 검토,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전략으로써 다양한 빈곤상태 발굴,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기초보장 확대, 사회보장급여의 목적과 핵심 대상과의 연결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curity benefits to poverty allevi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public pension, basic pension, child-rearing allowance, disability allowance, basic living security subsidy,...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사회보장급여를 통한 빈곤 완화 효과를 정의하고 측정하는 방법에도 주목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사회보장급여 전후의 빈곤율이나 빈곤갭의 변화를 통한 정책의 ‘효과성’만을 분석해왔다.
  • 또한 빈곤완화 효율성은 빈곤갭 감소에 기여한 액수를 개별 사회보장급여액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이 때 빈곤완화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근로세대와 노인 세대, 남성가구주가구(이하 남성)과 여성 가구주 가구(이하 여성)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 2019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보장급여가 빈곤완화 효과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효과 성분 석은 빈곤율과 빈곤갭을 활용하여 사회보장급여를 제외한 상태와 포함한 상태의 차이를 중심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보건복지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148만원으로 오른다,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0.01.02.) 

  2. 통계청, 올해 근로장려금, 평균 110만원 받을 것으로 기대, 통계청 보도자료(2019.05.07.) 

  3. D. Pearce, "The Feminization of Poverty: Women, Work and Welfare," Urban and Social Change Review, Vol.11, No.1-2, pp.28-36, 1978. 

  4. S. Bradshaw, S. Chantn and B. Linneker, "Challenges and Changes in Gendered Poverty: The Feminization, De-feminization, and Re-feminization of Poverty in Latin America," Feminist Economics Vol.25, No.1, pp.119-144, 2019. 

  5. 노혜진, 김윤민, "한국사회 빈곤의 여성화의 장기적 변화와 영향요인," 페미니즘연구, 제20권, 제2호, pp.51-87, 2020. 

  6.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제54권, pp.120-159, 2017. 

  7. 노혜진, 이지은, "근로장려금 수급이 여성의 노동공급과 소득에 미치는 영향: 가구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7권, 제3호, pp.63-95, 2020. 

  8. 박진화, 이진숙, "국민연금 수급권을 통해 본 한국여성의 사회권," 인문논총, 제34권, pp.137-166, 2014. 

  9. 이석민, "공적이전소득이 근로소득과 사적이전소득에 미치는 영향: 국민기초생활보장 장기수급자의 구조적 문제 분석," 행정논총, 제53권, 제3호, pp.171-195, 2015. 

  10. 신혜리, 남승희, 이다미,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17-138, 2014. 

  11. 진재문, 김수영, 문경주, "노인가구의 빈곤 실태와 소득이전 효과에 관한 연구: 빈곤율, 빈곤갭, 소득이전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3호, pp.239-258, 2014. 

  12. 허수정, 박희란, "기초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빈곤감소 및 소득불평등 정도 완화,"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9권, 제3호, pp.179-200, 2018. 

  13. 우해봉, 한정림, "국민연금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4호, pp.193-217, 2016. 

  14. 이래혁, 남재혁, "2015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이 빈곤층의 물질적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3호, pp.85-113, 2020. 

  15. 김정현, 전미애,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 가구 소득액과 소득구성의 변화: 성별 및 가구유형별 비교," 사회복지정책, 제47권, 제1호, pp.31-50, 2020. 

  16. 남상호, "기초연금 지급액 확대가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분석," 재정정책논집, 제20권, 제1호, pp.143-177, 2018. 

  17.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 불평등 개선," 페미니즘연구, 제15권, 제2호, pp.205-236, 2015. 

  18. 이정화, "여성노인의 경제적 상태에 대한 기초연금의 효과성 분석," 한국정책연구, 제14권, 제3호, pp.49-67, 2014. 

  19. 최옥금, 이은영, 기초연금 도입 전.후 노인빈곤 실태분석, 국민연금공단, 2017. 

  20. 김환준,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3호, pp.5-28, 2017. 

  21. 김지훈, 강욱모, "이전소득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감소효과: 기초연금 도입 전후 비교,"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3호, pp.127-144, 2020. 

  22. 이용재, "노인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591-600, 2016. 

  23. F. G. Castle, and D. Mitchell,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or Four?," LIS Working Paper, No.63, Differdange, Lumembourg: CEPS/INSTEAD, 1991. 

  24. 이현주, 2019년 빈곤통계연보,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5. W. Beckerman, Poverty and the Impact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in Four Developed Countries. Geneva: ILO, 197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