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의 보행에 관한 근거기반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Gait in Dementia Pati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2, 2021년, pp.667 - 675  

권애령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  정해익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보행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보행에 필요한 다양한 중재 방법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의의를 두고자 근거 기반 중재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PRISMA의 가이드라인과 근거 중심 중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지난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 된 논문을 수집하고 중재 유형 및 보행과 함께 측정 된 종속 변수를 분석 하였다. 자료 검색은 RISS, KISS, 국립중앙 도서관, 국회 도서관을 통해 2011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의 연구 논문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는 '치매환자'와 '보행', '보행능력'이였다. 문헌 선택 기준에 해당하는 치매환자와 보행에 관한 57개의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그 중 2010년 이전의 논문과 중복된 논문, 종속변인이 보행 능력과 상관없는 논문을 제하고, 마지막으로 치매질환이 아닌 다른 질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을 제하자 5권이 선정되었다. 보행의 중재종류는 낙상 예방, 신체 활동 등 운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많았으며, 보행과 함께 측정 된 종속 변수는 신체적, 심리적으로 다양했다. 치매환자를 위한 국내연구는 다각적인 방향과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신체적인 부분 중 하지부분의 기능향상과 보행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보행에 관한 다각적이며, 다양한 중재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based intervention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gait in dementia patients and to inform the necessity of various interventions necessary for gait. Based on PRISMA's guidelines and evidence-based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were conducted, 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치매 환자의 보행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치매 환자의 보행에 필요한 다양한 중재 방법의 필요성을 알리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는 추후 국내 치매 환자들의 보행 패턴 분석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유용한 이론적 배경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되어진 치매환자의 보행에 관한 근거 기반 중재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분석된 연구는 총 5권으로 저자, 출처와 종속변수, 중재방법의 종류, 측정, 결과로 연구가 진행된 논문이었다[표 4].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보행의 중요성과 중재방법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하여 근거 기반 중재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치매환자를 위한 연구는 다각적인 방향과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성순창, "저항성운동과 평형성 운동이 여성 노인의 시.공간적 보행능력 및 보행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57권, 제4호, pp.363-373, 2018. 

  2. 김선용, 과제지향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 변재철,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이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통합의학회지, 제6권, 제3호, pp.103-112, 2018. 

  4. 엄상용,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성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5. 손호희, 오정림, 박래준, "치매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균형 및 인지능력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3-61, 2010. 

  6. 남기원, 고재청, 서동열, "궁둥신경 가동술이 여성노인의 뻗은다리 올림 검사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물리의학회지, 제12권, 제4호, pp.11-18, 2017. 

  7. 엄기매, 왕중산, "노인의 근육뼈대계 통증이 횡단보도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370-377, 2015. 

  8. 김홍룡, 노인치매 환자에 대한 기독교적 영적케어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9. 주혜정, 전미향, "요양병원 치매 노인을 위한 율동적 걷기 프로그램이 보행, 인지 및 낙상위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초간호학회, 제20권, 제3호, pp.141-149, 2018. 

  10. 이용희, 강서정, "12주간 수중보행과 지상보행 운동이 편마비 장애인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9권, 제1호, pp.457-464, 2010. 

  11. 박현주, 강태우, 임진구, 신경화, "지역사회보행 훈련이 치매환자의 인지능력, 보행능력 및 일상생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한국신경근육재활학회지, 제9권, 제2호, pp.35-47, 2020. 

  12. 박정민, 이상기, "기능성 보행운동이 만성관절염 여성노인 환자의 균형능력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기능성 밸런스 보행 킷의 개발과 적용연구," 운동과학, 제26권, 제4호, pp.281-287, 2015. 

  13. 박현주, 강태우, 오덕원, "음악기반 슬링운동 프로그이 치매환자의 인지, 보행 및 기능적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물리의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43-152, 2019. 

  14. 최기영, 김선엽, "낙상예방 운동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균형, 보행과 하지근력, 심리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제14권, 제1호, pp.75-89, 2019. 

  15. 이병희, 박준수, 김나라,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 신체적 수행능력, 보행,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0권, 제2호, pp.307-328, 2011. 

  16. O. Beauchet, C. D. Annweiler, M. L. Callisaya, A. M. De Cock, J. L. Helbostad, R. W. Kressig, V. Srikanth, J. P. Steinmetz, H. M. Blumen, and J. Verghese, "Poor Gait Performance and Prediction of Dementia: Results From a Meta-Analysis," Journal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17, No.6, pp.482-490, 2016. 

  17. R. Mc Ardle, R. Morris, J. Wilson, B. Galna, A. J. Thomas, and L. Rochester, "What Can Quantitative Gait Analysis Tell Us about Dementia and Its Subtypes? A Structured Review,"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Vol.60, No.4, pp.1295-1312, 2017. 

  18. R. Mc Ardle, S. Del Din, B. Galna, A. Thomas, and L. Rochester, "Differentiating dementia disease subtypes with gait analysis: feasibility of wearable sensors?," Gait and Posture, Vol.76, pp.372-376, 2020. 

  19. G. Grande, F. Triolo, A. Nuara, Anna-Karin Welmer, L. Fratiglioni, and D. L. Vetrano, Measuring gait speed to better identify prodromal dementia, Experimental gerontology pub, 2019. 

  20. http://blog.daum.net/shin55145, 2020.08.30. 

  21. M. Arbesman, J. Scheer, and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CAT) and critically papper(CAT)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 OT Practice, Vol.13, No.5, pp.18-22, 2008. 

  22. 노효련, "치매환자의 다각적 접근과 치료-국내 치매환자를 중심으로,"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03-111, 2003. 

  23. 유하나, 정은정, 이병희, "오타고 운동과 요가 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 우울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2호, pp.261-279, 2012. 

  24. 한상인, 김찬희, 오충현, "슬링운동 전.후에 따른 여성 노인의 근력, 근 지구력 및 보행능력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제49권, 제3호, pp.363-372, 2010. 

  25. 안청좌, 실 뜨기 손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후 단계별 치매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6. http://www.snuh.org, 건강정보, 2020.07.25. 

  27. 김윤성, 80세이상 치매환자의 8주간 Home-based 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인지기능, 근력, C-반응성 단백질 및 대사 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8. 이인실, 이근희, 김승준, 김병조, 배성수, "노인 치매환자의 보행능력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물리치료학회, 제13권, 제3호, pp.551-559, 2001. 

  29. 박희경, 유종윤, 이숙정, 김성렬, 김미정, 권미선, 이재홍, 이명종, 정선주, "파킨슨병 환자에서 보행동결과 인지기능의 연관성," 대한치매학회, 제8권, 제1호, pp.67-73, 2009. 

  30. 박주현, 치매노인들의 공간인지와 보행행태, 동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31. 황재호, 김민영, 이영선, "하지에 대한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5권, 제1호, pp.35-45, 2015. 

  32. 박수향, 신중일, "노인환자들의 휠체어 사용실태와 만족도 조사 연구,"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257-263,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