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 GNSS 천정방향 대류권 습윤지연 추정 연구
Estimation of GNSS Zenith Tropospheric Wet Delay Using Deep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9 no.1, 2021년, pp.23 - 28  

임수현 (Dept. of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배태석 (Dept. of Geoinformation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딥러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인 MLP (Multi-Layer Perceptron)와 LSTM (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을 통해 ZWD (Zenith tropospheric Wet Delay)을 추정함으로써 딥러닝을 활용한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반 기상 연구를 수행하였다. 딥러닝 모델은 기상 데이터와 천정방향 대류권 총 지연, 건조지연을 통해 추정한 ZWD로 학습되었고,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기상 데이터를 학습된 모델에 적용하여 두 모델에서 센티미터 수준의 RMSE (Root Mean Square Error)로 ZWD 결과를 산출하였다. 추후 해안지역의 GNSS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고 시간 해상도를 높여 다양한 상황에서도 ZWD가 추정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ta analysis research using deep learning has recently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 In this paper, we conduct a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based meteorological study applying deep learning by estimating the ZWD (Zenith tropospheric Wet Delay) through MLP (Multi-Layer Perceptron) an...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류권 지연은 대기 중 수증기에 영향을 많이 받아 기상 변동이 클 경우 추정값과 차이가 크게 발생하며, 우리나라의 기상은 계절별로 비슷한 변화를 보이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내륙지역의한 예시만을 나타내어 지역적인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정과정에서 계절적인 변화를 고려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 T.-S. (2018), Accuracy analysis of GNSS-based public surveying and proposal for work proce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6, No. 6, pp. 457-467. 

  2. Bevis, M., Businger, S., Herring, T.A., Rocken, C., Anthes, R., and Ware, R.H. (1992), GPS meteorology-remote sensing of atmospheric water vapor usin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7, No. D14, pp. 15787-15801. 

  3. GDC (2020),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ntegrated Data Center home page, http://gnssdata.or.kr (last date accessed: 20 November 2020). 

  4. Hofmann-Wellenhof, B., Lichtenegger, H., and Collines, J. (2001), GPS Theory and Practic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Wien, Austria, 382p. 

  5. Jason, H. (2020), Using machine learning to Nowcast precipitation in high resolution, Google AI Blog, https://ai.googleblog.com/2020/01/using-machine-learning-tonowcast.html (last date accessed: 10 November 2020). 

  6. Katsougiannopoulos, S. and Pikridas, C. (2009), Prediction of zenith tropospheric delay by multi-layer perceptron, Journal of Applied Geodesy, Vol. 3, No. 4, pp. 223-229. 

  7. Kim, S.-K. and Bae, T.-S. (2012), Long-term analysis of tropospheric delay and ambiguity resolution rate of GPS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6-2, pp. 673-680. 

  8. Kim, J.S. and Bae, T.-S.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meteorologic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3, No. 4, pp. 317-324. 

  9. Kim, H.-U. and Bae, T.-S. (2017), Preliminary study of deep learning-based precipitation predi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5, No. 5, pp. 423-429. 

  10. Kim, S.-K. and Bae, T.-S. (2018), Long-term GNSS analysis for local geodetic datum after 2011 Tohoku earthquake, The Journal of Navigation, Vol. 71, No. 1, pp. 117-133. 

  11. KMA (20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 page, http://www.kma.go.kr/home/index.jsp (last date accessed: 10 November 2020). 

  12. Nam, J.Y. and Song, D.S. (2019), Retrieval biases analysis on estimation of GNSS precipitable water vapor by tropospheric zenith hydrostatic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7, No. 4, pp. 233-242. 

  13. Olah, C. (2015), Understanding LSTM Networks, Colah's Blog, http://colah.github.io/posts/2015-08-UnderstandingLSTMs (last date accessed: 23 December 2020). 

  14. Saastamoinen, J. (1973), Contribution to theory of atmospheric refraction, Bulletin Geodesique, Vol. 107, pp. 13-34. 

  15. Selbesoglu, M.O. (2020), Prediction of tropospheric wet delay b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based on meteorological and GNSS data,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 23, No. 5, pp. 967-972. 

  16. Seo, Y.-M. (2019), Analysis of Prediction Accuracy of Fine Dust Concentration for Seoul Region Using LSTM Model,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77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