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과학교육 종합 지표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Korea's Science Education Indicato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1 no.6, 2021년, pp.471 - 481  

홍옥수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도경 (한국과학창의재단) ,  고수영 (한국과학창의재단) ,  강다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능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양을 위해 과학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과학교육에 대한 국가의 역할 및 책무성은 법으로 명시되어 있다. 과학교육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관련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과학교육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학교육 정책의 성과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단·점검할 수 있는 종합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토대로 '학습자'와 '과학교육 맥락'의 2개 차원과, '투입', '과정', '결과'의 3개 범주로 구성된 과학교육 종합 지표 체제를 도출하였으며, 국내외에서 개발된 과학교육 관련 지표의 내용을 검토하여 지표의 요소와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과학교육연구, 초·중등 현장교육, 과학교육정책, 교육과정,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 25인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지표의 체제와 요소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과학교육 종합지표의 조사대상 및 조사도구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 '투입' 범주에 대해서는 '학생 특성', '교사 특성', '교육 인프라'의 3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과정' 범주에 대해서는 '과학 교육과정 운영', '과학 콘텐츠 보급 및 프로그램 운영',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운영'의 3개 요소가 도출되었고, '결과' 범주에 대해서는 '과학 역량', '참여와 실천', '정의적 성취', '인지적 성취', '만족도'의 5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또한 학생, 교사, 교육청/기관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문항양호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육 종합 지표'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여건, 성과,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과학교육 정책 수립 및 추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s gradually being strengthened. The governmen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for science education are stipulated by laws and policies in Korea. In order to systematically support scie...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3)

  1. Ayre, C., & Scally, A. J. (2014).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https://doi.org/10.1177/0748175613513808 

  2. George, D., & Mallery, M. (2003). Using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Boston, MA: Allyn & Bacon. 

  3. Godin, B. & Gingras, Y. (2000). What i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ulture and how is it measured? A multidimensional model.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9, 43-58. 

  4. Hong, O., Kim, D., Koh, S., & Kang, D. Y. (2021).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index for Korean science education. Seoul: KOFAC. 

  5. Hsu, C., & Sandford, B. (2007). The delphi technique: making sense of consensu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2(10), 1-8. https://doi.org/10.7275/pdz9-th90 

  6. Kang, M., Lee, H., & Lee, C. (1988).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s. Seoul: KEDI. 

  7. Kim, G., Jung, D., Jung, H., & An, S. (2002). Special education indicators in Korea. Ansa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8. Kim, J., Kim, K., Han, S., Im, S., & Park, J.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youth development indicators.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9. Koo, N., Kim, M., Lee, S., Kwak, M., Kim, J., & Jung, T. (2021).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middle school. Jincheon: KICE. 

  10.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21). 2020 KOFAC science education data book. Seoul: KOFAC. 

  11. Kwak, Y., Lee, H., Yoo, S., Shin, Y., Lee, I., Ha, J., Baek, J., & Son, H. (2019).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ion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oul: KOFAC. 

  12. Lee, J., & Jung, Y. (2006). Operation of career information center(2006):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indicators. Seoul: KRIVET. 

  13. Ministry of Education (MOE). (2020). The master plan for science education (2020-202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4.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NASEM). (2021). Call to action for science education: building opportunity for the futur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5.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9). PISA 2018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Paris: OECD Publishing. https://doi.org/10.1787/b25efab8-en. 

  16. Park, H. (2017). Challenges for program evaluation based on quality data.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7(2), 169-199. http://dx.doi.org/10.23036/kapae 

  17. Sang, K., Kim, K., Park, S., Jun, S., Park, M., & Lee, J. (2020).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nalysis of the results of TIMSS 2019. Jincheon: KICE. 

  18. Shin, Y., Kang, H., Kim, H., Nam, K., Lee, S., & Lee, S. (2016). Research on index of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Seoul: KOFAC. 

  19. Song, J., Kang, S., Kwak, Y., Kim, D., Na, J., Do, J., Park, S., Son, Y., Son, J., Oh, P., Lee, J., Lee, H., Lhm, H., Jeong, D., & Joung, Y. (2019). Developing performance expectations, school implementation strategies,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KSE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20. Tak, J. (2007). Phychological testing: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test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s. 2nd ed. Seoul: Hakjisa. 

  21.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05). EFA global monitoring report 2005: education for All - the quality imperative. Retrieved from Right to Eduction website: https://www.right-to-education.org/resource/efa-global-monitoring-report-2005-education-all-%E2%80%93-quality-imperative. 

  22. World Economic Forum (WEF) (2020). The future of jobs report. Retrieved from WEF website: http://www3.weforum.org/docs/WEF_Future_of_Jobs_2020.pdf. 

  23. You, J., Cheon, B., Shin, K., Lee, D., & Choi, S. (2020). Using administrative data for evidence-based policy research. Korea Social Policy Review, 27(1), 5-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