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Seoul Public Bi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475 - 486  

김소윤 (공주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도시융합시스템공학전공) ,  이경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  고은정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공공자전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6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IPA분석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IPA 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 도로설치, 자전거 도로의 연결성 개선, 자전거 도로관리상태 개선, 차도와 자전거 도로 구분, 야간주행 시 안전성 개선, 안전시설물 설치의 경우 중요도는 높은 반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장 시급하게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된 근린환경특성 변수를 추가함에 따라 모형의 설명력이 0.062에서 0.437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지된 근린환경특성이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지된 근린환경특성 중에서는 접근성, 편의성, 관리성, 경제성 변수가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 편의성, 관리성, 접근성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olicy direction to improve the service of public bicycles in Seoul by identify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ublic bicycle use environ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는 인지된 근린환경요인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며, 따릉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인지된 근린환경특성과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환경 분석과 함께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및 잠재적 수요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 개선 및 확대 적용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셋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인지요소들의 영향력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자들의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며, 특히 인지된 근린환경특성과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 인지요소들이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서울시 공공자전거(따릉이) 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IPA 분석(중요도-만족도) 및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첫째,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용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구체적으로는 IPA 분석을 활용하여 따릉이 이용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어떤 분야에 대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지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a, K.E. & Lee, S.G.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Usage of Public Bike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Different Influences of Factors by Distance to Bike St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6), 39-59, 2018. DOI: http://dx.doi.org/10.17208/jkpa.2018.11.53.6.39 

  2. Jang, J.M., Lee, S.B., Lee, Y.I. & Lee, M.Y. "Effects of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on Public Bicycle Traffic : Focusing on the Seoul Bike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52(4), 47-58, 2018 pp.209-234, Oct. 2010. DOI:http://dx.doi.org/10.7855/IJHE.2018.20.4.047 

  3. Yun, S.Y., Min, K.H. & Ko, H. J. "Spatio-Temporal Patterns of a Public Bike Sharing System in Seoul - Focusing on Yeouido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8(1), 1-14, 2020. DOI: http://dx.doi.org/10.7855/IJHE.2018.20.4.047 

  4. Handy, S., Cao, X. & Patricia L.M. "Self-Se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Empirical Evidence from Northern California",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55-74, 2007. DOI: https://doi.org/10.1080/01944360608976724 

  5. Alfonzo, M., "The Relationship of Neighbourhood Built Environment Features and Adult Parents' Walking", Journal of Urban Design, 29-51, 2008. DOI: https://doi.org/10.1080/13574800701803456 

  6. Park, S.H., Choi, E.M., Seo, H.R. & Kim, J. H.,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8 No.8, 253-261, 2009. 

  7. Kim, I.G.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Public Bicycle Use - Focusing on Seoul Public Bicycl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8. 

  8. Park, H.G. An analytic study on usag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bike rental service, Seoul Bike at rush hour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18. 

  9. Won, D. H. & Lee, K. H. "Analysis for Impact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on Resident's Satisfaction of Bicycle Us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0), 4877-488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10.4877 

  10. Lee, S. Y. Impacts of Urban Characteristics on the Public Bicycle Use - Analysis of the 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Public Bicycles OD Flow-data in Changwon-si,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14. 

  11. Yoon, Y. C. & Cho, B. Y.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Bike-Sharing Tashu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25(2), 591-608, 2014. 

  12. Kim, H. S.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Public Bicycle Facilities in Changwon, Master's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2010. 

  13. Oh, J. S., Kim, M. S. & Lee, C. H.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ublic Bicycle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16(2), 107-118, 2014. DOI: http://dx.doi.org/10.7855/IJHE.2014.16.2.107 

  14. Lee, J. B., . Behavior Analysis and Promotion Plan for Bicycling of Industrial Complex,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2014. 

  15. Li, H. Zhang, J., Li, J & Shi, Z. "An Investigation of User Satisfaction with Shared Bicycles in Nanjing", 18th COTA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ransportation Professionals, 2018 DOI: http://dx.doi.org/10.1061/9780784481523.096 

  16. Xia, X., Jiang, H., & Wang, J.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shared bicycles based on SEM", Journal of Ambient Intelligence and Humanized Computing, 2018. DOI: http://dx.doi.org/10.1007/s12652-019-01422-y 

  17. Bachand-Marleau, J., Lee, Brian H. Y. & Ahmed M.El-Geneidy. "Better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Likelihood of Using Shared Bicycle Systems and Frequency of Us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0. DOI: https://doi.org/10.3141/2314-09 

  18. Kim, J. H., Kim, Y. J. & Kwon, J. Y., "An Analysis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Goyang City Public Bike (Fifteen) using IPA Method",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6), 557-569(13 pages),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